산행기

승학산(乘鶴山497m).구덕산(九德山 565m).시약산(蒔藥山391m)/부산 사상구

월매스 2020. 9. 9. 16:36

승학산(乘鶴山497m).구덕산(九德山 565m).시약산(蒔藥山391m)/부산 사상구

산행일자;2020년9월8일(화). 날씨;맑음. 산행거리;약9.5km 산행시간;4시간30분

 

교통편;대중교통

<갈때>

가양역(05;37)-9/3호선)-전철수서역(06;35)-SRT수서역이동(약15분)

SRT수서역(07;00)-(SRT/36,400원/2시간24분)-SRT부산역(09;24)

전철부산역(09;55)- (부산지하철1호선/시니어무료 신분증티켓팅/25분)-전철하단역(10;20)

 

<올때>전철 괴정역 화장실에서 씻고 새옷갈아입고(14;50~15;20/30분)

 

전철괴정역(15;30)-(부산지하철1호선/시니어무료 신분증티켓팅/15분)-자갈치역(15;45)-자갈치시장횟집(뒷풀이15;40~17;40/약2시간/전어모듬회 복분자 소주혼합주/물회백반) 자갈치역(17;40)-(부산지하철1호선/시니어무료 신분증티켓팅/15분)-전철부산역(17;50)-(이동약10분)- SRT부산역(18;10)-(SRT/36,400원/2시간35분)-SRT수서역(20;45)-전철수서역이동10분

전철 수서역(20;55)-지하철 3/9호선- 전철가양역(21;45)-귀가(21;55)

 

산행코스;하단역-백용사/건국교-동아대학교 주등로-405봉-승학산- 승학문화마루터-무선항공표지소 낙동정맥진입- 구덕산정상-시약정자왕복-기상레이더기지 - 낙동정맥과 이별- 시약산- 약수터이정표-괴정성당- 괴정역1번출구

 

 

 

 

 

■승학산(乘鶴山497m)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에 있는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사상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승학산은 고려 말 승려 무학이 전국을 다니면서 산세를 살피다가 이곳에 이르러 산세를 보니 마치 학이 날아오르는 듯하다고 하여 승학산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승학산은 북동쪽으로 구덕산을 지나 엄광산에 이어지고 남서쪽으로 동매산(210.4m)을 지나 몰운대로 연결된다. 전형적인 노년 산지이나 산정은 예리한 원추형을 나타내고 동쪽과 서쪽 산록이 비교적 경사가 급하다. 주봉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곳곳에 안산암질의 기반암으로 이루어진 토르(Tor;지하의 암괴덩어리가 오랜 풍화 작용으로 동글동글한 돌인 핵석을 만들게 되고, 이후 오랜 침식으로 주변의 층이 제거되며 핵석이 높게 쌓여 돌탑처럼 드러나게 되는 지형)와 타포니(Tafoni;암벽에 마치 벌집처럼 구멍이 파여 있는 지형)가 있다. 산지의 북쪽 사면에는 침식 평탄면이 형성되어, 억새가 군락을 이루는 고산 습원이 자리하고 있다. 세계적인 철새 서식지 및 도래지인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와 낙동강 삼각주 지형 및 경관을 조망할 수 있으며, 정상 부근에는 수만 평에 이르는 억새밭이 펼쳐져 있다. 주변에는 동아 대학교 하단캠퍼스와 에덴 공원이 있다.

 

■구덕산(九德山 565m)은 부산 서구 서대신동(西大新洞) 서쪽에 있는 산이다. 사상구 학장동(鶴章洞)과 서구 당리동(堂里洞) ·서대신동의 경계에 솟아 있다. 산기슭에는 구덕사가 있고, 서대신동에서 구덕고개에 이르는 일대는 경치가 아름답고 곳곳에 원예수와 꽃이 재배되어 시민들의 산책로로도 많이 이용된다. 구덕고개 밑으로는 구덕 터널이 뚫려 있다. 예전에는 이 산을 구덕산(舊德山) 또는 엄광산(嚴光山)이라고 불렀다. 사병산(四屛山) 또는 구덕산(舊德山)으로 부르기도 한다. 구덕산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금정산맥의 남쪽 부분에 속한다. 금정산맥은 북쪽으로부터 금정산(金井山, 802m)·상학봉(上鶴峰, 638m)·백양산(白楊山, 642m)·구덕산·천마산(天馬山, 325m)을 거쳐 다대포(多大浦)의 몰운대(沒雲臺)로 이어진다.

구덕산의 동쪽 사면으로는 보수천(寶水川)이 흐르고, 서대신동 계곡과 구덕고개에 이르는 산록은 경치가 좋고 각종 원예수와 꽃재배가 성하여 시민들의 산책로로 이용된다. 남서쪽 사면에는 경치가 아름다운 제석곡(帝釋谷)이 있고, 경사가 급한 북쪽 사면으로는 학장천(鶴章川)이 흐른다.

1984년에 구덕터널이 개통되어 부산의 도심에서 직접 구포(龜浦) 방면 및 남해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도로망이 구축되었다. 이로 인하여 구덕산의 북쪽 학장동 일대가 개발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구덕산의 남서쪽 당리동 일대에 아파트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시약산(蒔藥山391m) 은 부산광역시 사하구와 서구의 경계를 이루는 산. 능선을 따라 북쪽에는 구덕산(562m)이 있다. 시약산과 구덕산은 부산광역시 서구와 사하구의 경계를 이루며 시약산 정상에는 기상관측용 레이더가 설치되어 있다. 괴정동과 서구 서대신동과의 경계를 이룬다. 산 정상에서 낙동강 하구 일대가 한눈에 조망되어 경관이 뛰어나다. 괴정천이 서쪽 산록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유입한다. 산 아래쪽으로 서구와 사하구를 연결하는 대티터널이 개통되어 있다. 지명은 '시(蒔)' 자가 '모종낼 시', '풀이름 시'로 약초를 심거나 채취한 곳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괴정천이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합류한다. 남쪽사면에는 해인정사가 있고 서쪽 사면에는 부산일과학고등학교가 있다. 시약산을 오르는 등산로는 남쪽 자락 끝부분에 있는 괴정성당에서 주능선을 따라 오르는 산길이 일반적이다. 정상에 오르면 주변 일대를 조망하는 경치가 뛰어나다.

 

 

2020년 09월08(화)(05;37)가양역에서 전철 9호선 첫급행을 타고 고속버스터미널에서 3호선으로 환승 (06;35)전철 수서역에 도착합니다. 석봉님 만나 약15분 SRT수서역 이동 2번 플랫트홈에 대기중인 SRT고속열자에 탑승합니다.

 

모처럼 휴가를 얻어 2박3일 휴가겸 고향 부산 어머님도 뵙고 부산 근교 산을 목표로하는 석봉님과 하루 동행 산행을 합니다. 왕복 기차표를 석봉님이 사신 덕분에 생애 처음으로 SRT고속열차도 타보고 구덕산 시약산은 낙동정맥때 지나갔지만 승학산이 남아 있었는데 먼 부산에 있는 승학산,구덕산,시약산 연계산행을 기분 좋게 당일로 마무리하고 자갈치 시장 근처 횟집에서 뒷풀이도 하는 여유를 맛봅니다.

(07;00)SRT수서역을 출발한 고속열차는 (SRT/36,400원/2시간24분) (09;24)SRT부산역에 도착합니다. 물품보관함에 석봉님 짐 보관하고 부산전철역으로 이동 (09;45)전철 부산역에서 <부산지하철1호선/시니어무료 신분증티켓팅/25분>(10;15)전철하단역에 도착 (10;20) 하단역8번 출구를 나와 바로 산행시작합니다.

 

 

0km 0분[하단역8번출구](10;20)

하단역에서 통상 승학산 산행들머리 동아대학교 정문까지는 도로를 걷기는 멀고 택시타기도 애매한 거리다. 그래서 들머리를 백용사.건국교로 한다.

하단역 8번출구 나와 직진으로 도로따르다가 2번째 우측도로 따라 오른다. 초반부터 급경사를 도로 좌측 계단 밟고 오르면 실질적 산행들머리 백용사다.[0.3km][7분]

 

0.3km 7분[백용사](10;27)

백용사는 가정집 같은 절짐이다. 도로 끝나고 공터에서 산으로 든다. KF-94 마스크 벗고 덴탈마스크 챙기고 [13분] 동안 그늘에 앉아 과일깎아 먹고 산행준한다. 모기가 엄청 달라 붙어

(10;40)서둘러 산행 시작한다. 완만한 등로 따라 좌측 아래에 건국고등학교를 끼고 오른다.

(10;43) 이정표(동아대학교1.3km/제석골 산림공원1.9km/ 건국교150m) 서있는 3거리에서 좌향 이정표(동아대학교1.3km) 방향 부드러운 둘레길을 따른다.

(10;52) 이정표 표시가 이상한 이정표(동아대학교 1.8km/정각사1.40km/관음사1.23km)를 지나 (10;55)조망터를 만나고 (11;09) 편백나무 숲 쉼터를 지나 (11;10)동아대학교에서 올라오는 승학산 주능선 등로에 선다.[1.4km][30분]

 

1.7km 50분 [주능선 등산로](11;10)

이정표(승학산정상1km/동아대학군단0.15km/정각사.관음사) 서있고 둘레길은 직진으로 진행 되지만 승학산은 이정표(승학산1.0km) 방향 우향 오름길이다.

 


405봉 정상까지는 급경사 오름길이다. (11;25) 405봉 정상에 서면 승학산 정상이 보이고 사하 낙동강이 조망된다. (11;39)이정표(승학산정상0.3km/동아대학교0.9km)에서 능선길 이어가 목책계단 밟고 오른후 급경사 오름길 오르면 승학산 정상이다.[1.0km][45분]

 

 

2.7km 95분 [승학산](497m)(11;55~12;10)[15분]

승학산 옛 정상석과 새로세운 커다란 정상 2개가 있고 사하구에서 세운‘새천년미래웅비사하’비석까지 3개의 정상석이 세워져있다. 그늘이 없는 바위가 듬성 박힌 정상에서 조망은 양호하다.

인증사진 남기고 등로 옆 공터에서 간식시간(11;58~12;10) 12분 갖고 능선 내림길 내려 간다. 좌측 목책계단 내려서면 (12;19)이정표(화엄사엄궁 갈림길)를 만나고 (12;20)산불감시초소다.

산불감시초소부터 승학산 명물 억새밭 능선길이 터진다. 조망 양호하다. 가을에 오면 장관이겠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긴다.

(12;38)거북약수 이정표(거북약수/학강동/코오롱대림아파트/승학산정상0.85km)를 지나 (12;40)억새 물결 밭을 지나 헬기장 봉에 올라 우측으로 내려 (12;46) 목책계단을 밟고 내려서면(12;48) 승학문화마루터 임도 공터다.[1.5km][38분]

 

4.2km 148분 [승학문화마루터](12;48)

넓은 터에 내려서니 임도(임업관리도로) 4거리다. 화장실과 정자도 있고,승학문화마루터(승학산~엄광산 트레킹 숲딜)이정표도 서있다. 좌우측 길은 하산하는 길이고, 구덕산은 직진한다. 구덕산을 향한다. 한 사람이 겨우 빠져 나갈 수 있는 비좁은 억새 숲길을 오른다. 급경사 오름길 극복하여 오르면(13;20) 철책울타리 쳐진 시설물이 서있다. 배의 모든 항로를 관찰한다는 ‘부산항공무선표지소’다. 낙동 정맥길에 들어 선다. 부산지역의 ‘낙동정맥’은 백양산, 엄광산, 구덕령 그리고 이곳 구덕산을 지나 천마산을 경유, 다대포 몰운대서 끝이 난다. 3번째 밟는 길이다 보니 감회가 깊다.‘부산항공무선표지소’ 좌측으로 시설물 철책 울타리를 따라 등로 아닌 등로를 지나면 드디어 구덕산 정상석이 서있는 구덕산 정상이다.[1.3km][42분]

 

5.5km 190분[구덕산](585m).(13;30~12;32) [2분]

구덕산 정상석이 서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정상석 뒤에 서있는 특이한 모양의 소나무를 담고 구덕산 정상에서 옆으로 틀어 내려서면 (13;33)이정표(무선항공표지소/구덕산정상) 서있는 도로에 내려서 도로따르면 (13;35) 이정표(시약산/무선항공표지소/부산항공/구덕산)서있는 도로곡각지점 따라 가면 좌측으로 무선항공 표지소 시설물을 지나고 (13;37)시약산 정장자 갈림 이정표(시약산정자/철쭉군락지전망대/기상관측소)에서 시약산 정자를 왕복한다. 약 20년전 낙동때도 그랬지만 시약산 정자가 서있는 바위암릉이 아름답기에 그냥 지나칠수 없어서다.

이정표로 돌아와 이정표(기상관측소) 방향 도로따르면 (13;52) 기상관측소 정문이다. 좌측으로 이정표(시약산)방향 조금이동하면 (13;53)이정표(시약산30m/낙동정맥)에서 낙동정맥과의 짧은 만남을 끝내고 시약산정상에 선다.[[23분]

 

6.0km 215분 [시약산](518m)(13;55~14;05)[10분]

시약산 정상석이 반긴다. 기상청 레이더가 건물 뒤편에 있다.

10여분 동안 인증사진 남기고 바쁠 것 없어 냉커피도 한잔하고 간식즐긴다.

(14;05)하산길에 든다. (14;17) 약수터이정표(한샘0.73km/싸리골1.66km/장수천0.56km)를 지나 코오롱스포츠 하단지점에서 세운 홍보입간판(자연보호/산불조심)을 지나고 잘정비된 등로를 따라 내려선다. (14;24) 헬기장 쉼터를 지나고 약수터 알림 이정표 2개를 지나 (13;32) 돌탑이 있는 우측등로 따라 완만하게 내려서 가면 (14;36)동주대학교 갈림이정표(동주대학교1.0km/제석골산림공원)를 지나 (14;40)이정표(괴정성당0.35km/대웅정사/사하골약수터)를 지나 (14;41)삼각점(방위표시만 보임)에서 우측 철망울타리를 끼고 내림길 내려서면(14;47)괴정성당이다. 좌측으로 도로따라 가다가 3거리에 우측으로 도로따르면 (14;50) 괴정역 1번출구다.[3.5km][45분]

 

9.5km 270분 [괴정역1번출구](14;50)

산행종료하고(14;50~15;20/30분)괴정역 화장실에서 머리감고 대충 씻고 새옷 갈아입으니 날아 갈 것 같습니다.

(15;30)전철 괴정역에서 부산지하철1호선/시니어무료 신분증티켓팅 하고 약15분이동 (15;45)자갈치역 내립니다. 어슬렁 걸어서 자갈치시장 입구 정갈한 횟집에서 우선 병맥주1병으로 목마름 달래고 전어 모듬회안주에 복분자 소주혼합주 건배이어간후 물회백반 식사 마치고 (15;40~17;40/약2시간) 다시 자갈치역으로 돌아와 자갈치역(17;40)-(부산지하철1호선/시니어무료 신분증티켓팅/15분)(17;50)전철부산역에 도착 약10분 이동하여 석봉님이 보관한

짐 찾고 의자에 앉아 쥬스 한잔씩하고 헤어져 (18;10)SRT부산역에서 SRT고속열차 탑승(36,400원/2시간35분)(20;45)SRT수서역에 도착합니다. 전철 수서역이동(10분)(20;55)전철 수서역에서 지하철 3/9호선으로 (21;45)전철 가양역도착 (21;55)귀가 합니다.

석봉님 덕분에 당일로 부산 승학산, 구덕산, 시약산을 연계산행한 즐겁고 행복한 하루였습니다. 감사합니다.

 

 

 

(10;20)하단역8번출구에서 약7분이동 (10;27) 백용사입니다.

(10;40) 사실상 산행시작입니다.

(10;43) 이정표(동아대학교1.3km/제석골 산림공원1.9km/ 건국교150m) 입니다.

(10;52) 이정표 표시가 이상한 이정표(동아대학교 1.8km/정각사1.40km/관음사1.23km)입니다.

 

10;55 조망터입니다.

 

11;09편백나무 쉼터 입니다.

11;09 편백나무 숲입니다.

(11;10) 주능선 등산로 이정표(승학산정상1km/동아대학군단0.15km/정각사.관음사)입니다.

11;25 조망

11;25 조망

11;28 405봉 오름길입니다.

11;38 405봉에서 승학산을 바라봅니다.

 

11;43 조망

11;54 조망

11;54 조망

11;55 승학산 정상 입니다.

11;55 승학산 옛 정상석입니다.

승학산 인증사진 입니다.

(11;55~12;10)[15분]승학산 새 정상석입니다.

(11;55~12;10)[15분]승학산 새 정상석 인증사진입니다

 

(11;55~12;10)[15분]승학산 사하구에서 세운‘새천년미래웅비사하’비석입니다.

 

 

12;02 조망

12;12 능선길 입니다.

(12;19)이정표(화엄사엄궁 갈림길)입니다.

12;20 산불감시초소입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20~12;38)천천히 능선길 걸어 가면서 그늘에 앉아 쉬기도 하고 조망즐깁니다.

(12;38)거북약수 이정표(거북약수/학강동/코오롱대림아파트/승학산정상0.85km)입니다.

12;40 억새밭입니다.

12;40 억새밭입니다.

12;40 억새

12;46 목책계단을 내려섭니다.

12;48 이정표입니다.

12;48 승학마루터 화장실과 정자 입니다.

12;48 승학문화마루터 이정표(승학산~엄광산 트레킹 숲길)입니다.

12;49 직진으로 목책계단을 오릅니다.

13;10 이정표 입니다. 이정표 구덕산 표지판 방향이 아닌 아무런 표시가 없는 직진으로 잡초가 우거진 좁은 등산로를 오릅니다.

13;20 사실상 구덕산 정상 무선항공표지소 시설물입니다. 낙동정맥에 듭니다.

13;20 억새 밭 정상입니다.

13;30 구덕산 정상석 서있는 구덕산 정상입니다.

13;32 구덕산 인증사진입니다

13;33 구덕산 정상석 뒤 명품 소나무입니다.

(13;33)이정표(무선항공표지소/구덕산정상) 서있는 도로에 내려섭니다.

(13;35) 이정표(시약산/무선항공표지소/부산항공/구덕산)서있는 도로곡각지점 입니다.

13;33 무인 항공표지소 안테나 탑입니다.

(13;37)시약산 정장자 갈림 이정표(시약산정자/철쭉군락지전망대/기상관측소)에서 시약산 정자를 왕복하고 기상관측소(시약산)으로 갑니다

13;38 암릉과 시약산 정상입니다.

13;37 쩔쭉 군락지 전망대 입니다.

13;39 이정표(시약산정자60m/철쭉군락지 전망대) 입니다.

13;40 시약정자 시약정 현판입니다.

13;40 시약산 설명판입니다.

 

13;44 시약산 정상 기상청 레이더입니다.

 

13;49 기상청 레이더기지 정문입니다

13;49 시약산 이정표 입니다.

13;50낙동정맥과 이별하는 이정표(시약산30m/낙동정맥)입니다.

13;50 시약산 정상석입니다.

13;52 시약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3;52 시약산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54 시약산 시비입니다.

14;17 약수터 이정표 입니다.

14;15 코오롱 하단지점 안내판입니다.

14;21 헬기장쉼터입니다.

 

14;25 돌탑입니다.

(14;36)동주대학교 갈림이정표(동주대학교1.0km/제석골산림공원)입니다.

(14;40)이정표(괴정성당0.35km/대웅정사/사하골약수터)입니다.

(14;41)삼각점(방위표시만 보임)입니다.

14;46 하산지점입니다.

14;50 괴정역 1번출구입니다.

14;50 괴정역1번출구 입니다. 산행 종료 합니다.

산행지도

로커스지도

e- 동아지도

오록스맵지도

오록스맵 트랙입니다.

승학산.구덕산.시약산020-09-08 1018__20200908_1018.gpx
0.1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