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신어산(神魚山630.8m)/경남 김해

월매스 2020. 9. 6. 19:41

신어산(神魚山630.8m)/경남 김해

 

산행일자;2020년9월5일(토). 날씨;비.산행거리;3.5km. 산행시간;1시간40분

교통편;(주)좋은사람들

비용;30,000원 (무척산+신어산 2산)

산행코스;은하사 주차장-영구암-신어산 정상-은하사주차장(원점회귀산행)

 

 

 

 

 

 


어산(神魚山630m)은 경상남도 김해시 상동면·삼방동·대동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높이 630m. 금관가야(金官伽倻) 시조 수로왕과 허황옥(許黃玉) 왕비의 신화가 어린 성산(聖山)이다. 신어는 수로왕릉 정면에 새겨진 두 마리 물고기를 뜻하며 밀양 만어산(萬魚山:670m) 전설에도 나오는 인도 아유타국(阿踰陀國)과 가락국(駕洛國)의 상징이다. 일명 선어산(仙魚山)이라 하며, 동신어산은 동쪽 신어산의 와전이다.이 산을 핵으로 시 복판의 황새봉(393m)·경운산(慶雲山:379m)·분성산(盆城山:375m)이 동쪽 백두산(白頭山:352m)·덕산(德山:457m)·까치산(342m) 등과 연봉을 이루고 낙동강 건너 소백산맥의 산들과 대치하고 있다. 카펫처럼 부드러운 백두산∼신어산 종주능선은 부산 근교의 워킹 산행지이다. 산마루에 서면 부산을 에워싼 연봉들의 능선을 조망할 수 있다. 금정산(金井山:801m)과 태백산맥의 구봉산(九峰山)에서 몰운대(沒雲臺)로 뻗은 낙동정맥(洛東正脈)의 산군은 물론, 지리산 영신봉(靈神峰:1,651m)에서 분성산에 닿는 낙남정맥(洛南正脈)의 연산들을 비롯해 이웃한 무척산(無隻山:703m), 양산시 물금읍 오봉산과 원동면 토곡산(土谷山:855m), 웅상읍 원효산(元曉山:992m)과 천성산(千聖山:812m) 등 동부의 크고 작은 산들을 살펴볼 수가 있다.가야의 올림포스산답게 초기의 고찰 은하사(銀河寺)와 영귀암(靈龜庵) 등이 있으며 기우단도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구암사(龜岩寺)·십선사(十善寺)·청량사(淸凉寺)·이세사(離世寺)가 있다고 할 정도로 이 산은 불모산(佛母山:801m)의 신화와 함께 남방불교 전래의 성지라 할 수 있다. 대동면 초정리 원명사에서 출발, 약수터와 백두산, 510봉 감천재로 종주하고 상동면 대감리 고암마을로 내려오며 7시간쯤 걸린다. 신어천이 낙동강으로 흐르는 경관 속에 삼림욕장 등을 갖춘 종합레저시설 가야랜드와 골프장이 인근 도시민들의 주말 휴양지로 인기다. 경부선·경전선·남해고속도로 등이 통과한다.
두 마리 물고기를 뜻하는 신어산은 능선에서 김해시가지를 바라보면서 산행할 수 있어 올라가는 재미가 있고, 기암절벽 사이로는 구름다리가 있어 산행을 더욱 즐겁해 한다. 북동쪽으로는 낙동강이 감돌아 흐르고 남쪽에는 광할한 김해평야가 펼쳐져 있다. 가락국의 시조 김수로왕 탄강지로 전해오는 구지봉은 이 산맥의 서쪽 끝부분에 있다. 정상에서 서쪽 주능선길을 따라 630봉까지 가는 도중에는 군데군데 암봉이 있고, 광할한 김해 평야를 내려다보는 경관이 장쾌하다. 580봉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460봉의 암봉에 올라서서 신어산을 바라보면 빼어난 경치에 감탄하게 된다. 460봉의 전망대 같은 바위에서 동쪽 계곡으로 내려가면 암벽 밑에 천진암이 있고 숲길과 대밭길을 거쳐 은하사에 닿게 된다. 정상의 조망은 무척산 토곡산 매봉 오봉산, 금정산의 고당봉과 파리봉 등이 선명히 시야에 들어온다. 가야의 올림포스산답게 초기의 고찰 은하사(銀河寺)와 영귀암(靈龜庵) 등이 있으며 기우단도 있었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구암사(龜岩寺)·십선사(十善寺)·청량사(淸凉寺)·이세사(離世寺)가 있다고 할 정도로 이 산은 불모산(佛母山:801m)의 신화와 함께 남방불교 전래의 성지라 할 수 있다. * 신어산의 유래 * 신어는 수로왕릉 정면에 새겨진 두 마리 물고기를 뜻한다. 가락국 초기에 세워진 고찰 은하사와 동림사가 있다. 은하사는 가락국 수로왕 때 장유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본디 이름은 서림사라고 했다. 대웅전의 수미단에 쌍어 문양이 있어 인도 아유타국과 관계가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신어산은 낙남정맥“매리마을(해발10m) 김해 동신어산~지리산 영신봉(1,651m)까지.도상거리;232km 실제거리;약 300km/1차완주; 2003년3월8일~2003년 9월28일 (13구간) (덕유산악회)/2차완주; 2005년5월28일~2006년1월1일 (12구간) (잔디밭 산악회)”때 두 번이나 지나간 산입니다.
그래도 신어산만 따로 오를기회가 없었는데 (주) 좋은사람들 명산 무척산팀 들날머리무척산 주차장에서 (13;55~14;30) 산악회버스로 신어산 들머리 은하사 주차장으로 이동 우중산행이라 신어산 최단 거리 왕복 원점 회귀 산행을 합니다.

 

시내구간 통과 하면서부터 비는 좀더 세차게 내립니다. (14;30)은하사주차장에 도착 신어산 산행길에 듭니다.

 


0km 0분 [은하사 주차장](14;30)
무척산 주차장에서 산악회버스로 이동 신어산 들머리인 '은하사' 주차장에 도착 산행시작한다.
기사가 길을 잘 몰라서 그런지 3개의 주차장중 제일 아래 주차장에다 주차 한다. 2번째 주차장에서 보면 길이 두 개로 갈리는데 우측에 보이는 일주문은 <동림사> 일주문이다. 좌측 은하사 방향으로 가서 주차장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길이 갈리는데 우측으로 영구암 방향 등로를 택한다. (14;42) 이정표(신어산1.3km)를 만나고 영구암 오름 차도길은 완만한 경사의 포장도로가 이어진다. 그리고 차량 대여섯 대 정도 주차할 수 있는 조그만 주차장이 나오는데 이곳에서 산길로 접어들어 영구암에 오를 때까지 가파르게 이어진다. (14;48)이정표(신어산정상0.9km/영구암0.5km/ 은하사0.6km)를 만난다. 정상까지는 900m이다. 집채만한 바위를 지나면 (15;05)영구암이다.[1.3km][35분]

 

1.3km 35분 [영구암](15;05)
영구암은 가파른 비탈길에 세워진 조그만 암자다. 옛 가야국 500년 역사를 오롯이 담고 있는 김해의 진산 신어산이 '귀신 신(神)' 자에 '물고기 어(魚)' 자를 쓰고 '신의 물고기'라는 뜻이다.
영구암 자리는 '신의 물고기'가 살았던 샘이 있던 곳이라 한다. 또한 <영구암>이 자리한 곳은 낙동강 하구나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바라보면 마치 산에서 거북이가 기어 나오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고 한다.

대웅전 앞으로 지나면 산비탈에 삼성각이 보이는데 삼성각 뒷길로 조금만 오르면
목책계단 등로다. 급경사 목책계단을 끝없이 오르면 (15;20)이정표(신어산200m/천진암0.5km/영구암0.4km)능선상 3거리 갈림길과 만난다. 3번째 밟는 낙남정맥길이다. 부드러운 능선길 이어가면 헬기장이고 정자를 지나 완만하게 철쭉밭길을 오르면 (15;25)신어산 정상이다.[0.4km][20분]

 

1.7km 55분 [신어산](15;25~15;31)[6분]
산어산 정상에는 삼각점(밀양25/1992재설)과 검은 오석 정상석있다. 3번째 밟는 정상인데 세월의 흐름속에 기억되는 것이 없다. 정상석 바로 옆에 돌탑이 하나 있다. 비때문에 조망은 전무하다. 인증사진 남기는 줄이 길다. 약 6분 기다려 (15;31) 인증사진 남기고 동봉으로 갈 의미를 못느끼고 왔던길 Back 한다. (15;34)억새밭을 통과 하여 3거리에서 영구암쪽으로 내려선다. 급경사 목책계단이
조심스럽다. 영구암을 지나 돌계단을 내려서 차도 따르다가 주차장 방향으로 들어서 다시 차도 만나 3번재 주차장에서 산행 종료 한다.[1.8km][39분]

 

3.5km 100분 [은하사주차장](16;10)
비는 내리는데 마땅히 옷 갈아 입을 곳이 없습니다. 기사님이 문앞에 지켜 주는 덕분에 버스안에서 대충 수건으로 닦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우산이 없어 윗 주차장 화장실에서 갈아입으면 버스에 돌아 올때 다 젖기에 비상사태라 생각하고 몇분 먼저 도착한분들이 했던 것처럼 재빠르게 차안에서 새옷 갈아 입습니다.


출발예정시간 (17;00)까지는 시간 여유가 있어 석봉님이 준비해온 캔맥주 나눠 목마름 달래고 매실 마가목 코냑 혼합주 한잔 씩 건배하면서 떡과 과일로 허기진 배 채움니다.


후미들 도착하여 정리 끝난 (16;50) 은하사 주차장을 출발 중간 선산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15분(18;35~18;50)동안 석봉님과 각각 우동 한그릇씩 시켜 맞바람에 게눈 감추듯 먹고 한잠 자고 (21;15) 양재역도착 3/9호선으로 (22;00) 가양역도착 (22;10) 귀가합니다.

 

끝으로 이자리를 빌려 작약산 산행을 개인적으로 할수있도록 배려 해주신 저녁놀 대장님게 감사인사드립니다.


 

(14;30) 은하사주차장입니다.

15;32 산길 진입합니다.

13;35 영구암가는 등산로 입니다

14;40 등로 입니다.

14;42 이정표(신어산1.3km) 입니다.

 

(14;48)이정표(정상0.9km/영구암0.5km/ 은하사0.6km)입니다.

 

15;05 영구암입니다.

15;05 영구암입니다.

15;06 신어산 정상을 향한 급경사 목책오름구간이 시작됩니다.

15;20 주능선에 붙었습니다. 이제부터 낙남정맥구간입니다.

 

(15;20)능선상 3거리 갈림길이정표(신어산200m/천진암0.5km/영구암0.4km) 입니다.

15;25 신어산 정상 돌탑입니다.

15;25 신어산 정상 삼각점(밀양25/1992재설)입니다.

(15;25~15;31)[6분] 인증차례 기다려 신어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5;34 억새밭으로 돌아 옵니다.

 

15;36 이정표 3거리에서 영구암 방향입니다.

 

16;10 주차장에 도착 신어산 산행 종료 합니다.

신어산 산행지도

오록스맵 트랙지도

e-동아지도

 

신어사 최단거리 트랙입니다.

신어산.김해020-09-05 1429__20200905_1429.gpx
0.0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