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정선지명유래 책’에만 나오는 약개바우산(814.3m). 솔봉(861m). 매봉(817.7m).

배창랑 2017. 2. 6. 18:08

‘정선지명유래 책’에만 나오는 약개바우산(814.3m). 솔봉(861m). 매봉(817.7m).

산행일자; 2017년2월5일(일). 날씨; 구름. 산행거리; 약10km. 산행시간; 3시간20분.

교통편; 서울마운틴 클럽. 비용; 30,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비용 포함)

산행코스; 화천동 3거리- 주능선- 무명1-무명봉-2-약개바우산- 임도- 임도 따르다가 능선- 솔봉- 이정표1.2.3- 노루마당- 능선 -매봉 왕복- 임도(좌향)-산림문화생태체험단지-백두대간 생태 수목원입구(금방동)

 

 

 


■약개바우산(814.3m). 솔봉(861m). 매봉(817.7m)은 백두대간 석병산(1055m)과 두리봉(1038m) 자락에 가지친 능선상 산들이다. 국립지리원지도. 네이버지도. 오록스맵. 영진지도 그 어디에도 이산 들의 이름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정선군에서 편찬한 ‘정선군 지명 유래집’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약개바우산(814.3m)은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태봉골 위쪽에 있는 해발814.3m 산이다. 돌이 약밥처럼 차곡차곡 쌓인 바위가 있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라 전한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금은 약개바위는 없고 산죽만이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정상에는 삼각점(정선413?/1977년? 재설)이 있다.


■솔봉(861m)은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새발목’ 북쪽에 있는 산이다. ‘새발목이’는 금방동에서 노루마당으로 넘어가는 사이에 너른 땅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30여년전 주민 4호가 살았는데 백두대간 생태 수목원이 들어서면서 모두 이주 했다.

솔봉은 ‘작은 산봉우리’라는 뜻에서 유래 한다. 솔봉아래는 금방동에서 바깥 노루마당으로 이어지는 임도가 나 있다.


■임계리는 고원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자연마을로는 점촌, 장승거리, 도톨고지 등이 있다. 점촌은 과거 이 지역에는 옹기그릇을 만들어 파는 공장이 있었다 하는데, 점토가 많이 난다고 하여 점촌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장승거리는 임진왜란 당시 아군의 병력이 부족한 것을 왜군이 모르도록 하기 위하여, 사람과 비슷하게 나무로 깎아 만든 장승을 무수히 세워 놓았던 곳을 지금까지 '장승거리'라고 부르고 있다.


백두대간 산림생태문화체험단지는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에 2015년 문을 연 산림치유 기지다. 체험단지는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산8-12번지에 435ha로 조성됐으며 지난 2010년 조성이 시작돼 5년 동안 1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 주요시설로는 체험센터 숙박실 13실, 숲속의 집 9동 12실, 체험학교 숙박실 3실, 오감체험장, 치유숲길 등 체험시설로 구성돼 있다. 강원도는 백두대간 산림생태문화체험단지를 2014년 완공한 임계리 백두대간 생태수목원, 2016년 완공한 임계리 산촌생태마을과 함께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와 연계한 관광코스로 육성할 방침이다.


2017.2.5(일). 07;10 신논현역 6번출구 앞에서 서울마운틴클럽 대원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성실한 안내산악회 서울마운틴클럽 운영자 고은석 대장님의 정성이 결실을 맺고 있습니다. 40인승버스가 만차이고 신청자 여러분을 받지 못하고 고은석 대장님. 이태영 대장님. 월산악회 전 대장님인 방대장님 3분은 보조 의자에 앉아 갑니다.

중간 횡성 휴게소에서 30여분 휴게 시간 갖고 약개바우산(814.3m). 솔봉(861m). 매봉(817.7m) 산행 들머리 화천동 3거리에 (10;55) 도착 간단한 준비후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화천동 3거리](10;55)

산행들머리인 화천동은 화천동 3거리에서 직진 날머리 금방동으로 가는 도중 화성2교 직전이다.  (10;58) 좌측으로 밭 가장자리를 지나 잡목을 헤치고 능선에 붙는다. 능선에 붙으면 길은 양호하다. 능선 오름길 극복하니 (11;05) 잘 가꾸어 진 묘소를 지난다. 능선길은 완만한 그러나 꾸준한 오름길이 이어진다. 무명봉 지나고  (11;50) 임도에 내려선후 임도 건너 다시 능선에 붙어 산죽지대 오름길을 올라서니 약개바우산이다.[2.5km][68분]


2.5km 68분 [약개바우산](12;03~12;07)[4분]

키작은 산죽이 점령한 공터봉이다.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부착한 약개바우산 정상 표지판 배경으로 인증사진 남긴다. 문정남 선생님과 산죽과 눈속에서 간신히 삼각점(정선413?/1977년? 재설)을 찾는다.

산죽밭 내림길 내려 


(12;14) 임도에 내려선다.내려선 임도에서 우측으로 임도를 따른다. (12;16) 국가지정번호 마사 2208 5123 푯말에서 좌측 능선으로 붙는다. 쓰러진 나무가 길을 방해하는 짧은 구간을 지나면 능선은 잘 정비된 등산로로 변한다. 목책계단도 지나고 안전시설도 지나면 (12;31) 이정표(산림문화생태체험단지2.7km/여름정원0.6km/수목원둘레길0.3km). (12;35) 이정표(산림문화생태체험단지2.5km/백두대간 수목원0.8km/수목원둘레길0.5km) 통과한후 산죽밭 오름길을 오른다. 산행중 처음으로 약밥을 쌓아놓은 듯한(?) 바위를 만나고 봉에 올라선다. 솔봉이다.[1.5km][31분]


4.0km 103분[솔봉](861m)(12;38)

근처 여러 무명봉 중에서 제일 높은 봉이다. 작은 산봉우리라는 의미는1000m급 백두대간 석병산.두리봉 자락에 있으니 솔봉이란 이름을 낳게 한듯하다. 삼각점도 특별한 특징도 아무것도 없다.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솔봉 정상표지판이 정상임을 말해준다.

인증사진 남기고 능선길 이어간다. (12;49) 이정표(체험단지2.3km/백두대간 생태수목원1.3km).(12;51)이정표(체험단지2.2km/백두대간생태수목원1.4km)와 나무주사 팻말을 지나고 (12;57) 이정표(산림문화생태체험단지0.9km/백두대간 생태수목원1.7km/수목원임도길0.6km)를 지나 (13;00) 이정표(백두대간생태수목원1.8km/수목원둘레길0.5km)를 만난다.[1.0km][22분]


5.0km 125분 [매봉/백두대간 생태수목원 갈림3거리](13;00)

이정표(백두대간생태수목원1.8km/수목원둘레길0.5km) 서있는 능선3거리다.

아무런 표시없는 직진능선길이 매봉(817.7m)향 능선길이다. 매봉을 왕복할 계획으로 능선길 이어간다. 능선길 좌측아래로 임도가 따라온다. 능선이 끝나고 임도에 내려선다.[0.7km][10분]


5.7km 135분 [임도](13;10)

임도에 이정표(체험단지1.3km/백두대간생태수목원2.3km) 서있다. 임도 건너 매봉을 다녀와 이곳에서 ‘체험단지1.3km’ 방향 임도를 따르면 이정표(백두대간생태수목원1.8km/수목원둘레길0.5km)서있는 능선3거리까지 Back 할 필요 없이 쉽게 ‘산림문화생태체험단지’에 갈수있다.

임도 건너 능선에 붙어 능선길 이어간다. (13;15) 좌측으로 농장이 가까이 보인다. 그리고 농장으로 진입하는 두번째 임도를 만난다. 이정표(체험단지1.3km/백두대간생태수목원2.3km) 서있는 첫번째 임도까지 갈 필요 없이 매봉 다녀와 이 임도를 따르면 이정표 임도에 쉽게 접근하게 되고 ‘산림문화생태체험단지에 도착하게 된다. 능선길 이어 가다가 우측으로 오름길 올라서니 매봉(817.7m) 정상이다.[0.8km][20분]


6.5km 155분[매봉](817.7m)(13;30)

아무리 정상에서 삼각점을 찾아 보아도 눈과 산죽 때문에(?) 찾질 못한다. 아마도 맷돼지 집 아래가 수상하지만 치울 엄두가 나질 않아 포기한다. 그리고 정상표지판은 커녕 그 흔한 선답자 표지기 한장 없는 정상이다. 만산회 문정남님 표지기와 배창랑과 그일행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왔던 길을 Back 2번째 임도에서 좌측으로 가면 될것인데 강원도 임도는 잘못 들면 삼천포로 빠지기에 그리고 거리시간도 검토 할 겸 (13;45) 첫번째 임도 이정표(체험단지1.3km/백두대간생태수목원2.3km)서있는 곳 까지 Back 한다.[0.8km][15분]


7.3km 170분[ 첫 번째 임도)(13;45)

이정표(체험단지1.3km/백두대간생태수목원2.3km) 서있는곳 이다. 차단기를 지나 편안하게 임도길 내려 서니 2번째 임도와 만난다. 2번째 임도에서 좌향 이곳으로 오는 것이 시간과 거리상 옳다. 임도길 내려서니 (13;59)  이정표 안내판(임계4리/임도 갔다 돌아와야 합니다) 서있고 나무데크 길과 화장실 1동. (14;00) 오감체험장 안내판과 백두대간 생태문화체험단지 숲길 안내판 등이 서있다. 계곡 건너로 데크길이 있으나 제설된 도로따라 내려온다.  (14;05) 이정표(오감체험장400m/산채재배단지300m)를 지나자 초 현대식 체험센터 건물이다. [1.3km][15분]


8.6km 185분[체험센터 관리 동](14;00)

초 현대식 체험센터 건물이다. 주차장 시설이 있다. 소형차 위주로 도로가 구성되어 있다. 조금더 내려 오니 체험센터 숙박시설도 보인다. 도로따라 바삐 내려 선다. 산림청 생태문화 체험단 입간판 서있고 대형버스 주차장에 산악회 버스가 기다린다.[0.8km][15분]


9.4km 200분 [금방동](14;15)

산악회 허용시간(15;30)보다 일찍(1시간15분) 산행이 일찍 종료 됩니다. 매봉을 다녀온 대원들은 10명(방대장님.강목수님.최세무사님.문정남님.나세연님. 백곰님. 배창랑.돈황님 외2인)입니다. 매봉 타지 않고 먼저 도착 된 분들중에서 기다리기가 지루한지 불평 비슷한 소리가 들려 잠시 당황스럽습니다. 14시 30분 돈황님 도착되고 차는 바로 출발 임계에 있는 음식점에 도착합니다. 여성대원들은 음식점 화장실에 서 옷 갈아 입고 남자대원들은 버스에서 새옷 갈아 입습니다.


44명 예약인데 40명 예약으로 잘 못 의사전달이 되어 고여사님.고은석대장님.백곰님.배창랑 4인은 새로 지은 밥을 기다려 식사를 합니다. 기다리는 동안 병맥주 3병 사서(12,000원) 테이블 메이트끼리 건배 합니다.

서두르다 보니 밥이 설어 다시 뜸 들여 따뜻한 밥에 두부버섯전골, 도라지 무침, 산초 열매와잎 효소, 무우채 무침, 김치등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제공하는 식당 식사를 맛있게 즐깁니다. 대충 식사 끝난 


15시 40분경 임계 식당을 출발합니다. 귀경길 영동고속도로 막힌다는 정보로 정선으로 들어가 평창을 거쳐 눈보라속에 원주를 지나 새로 건설한 제2영동고속도로를 타고

일찍 복정역에 19;00 도착합니다.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나 갈수있나요~! 가락시장역으로 이동 회센타에서 백곰님이 쏜 도미회(7만원)와 서비스안주 (전복.해삼.멍개)에 막걸리 3병와 매화수1병으로 (자리 값 포함 4만원)로 뒷풀이 건배 이어 갑니다. 도미머리 매운탕까지 포식하고 3호선/9호선으로 20;00 귀가 합니다. 백곰님 잘 먹었습니다. 감사합니다.~!!^^

 

 

10;55 화천동 3거리(금방동 방향)에서 산행 시작합니다.

 10;58 좌측 빈 밭을 건너 능선길로 진입합니다.

 11;05 묘소를 지나고 11;46 조망. 11;50 임도를 건넙니다. 카메라가 새것이다 보니 사진이 많이 누락 되었습니다.

 12;00 산죽밭을 올라 섭니다.

 12;03~12;07 약개바우산 인증입니다.

 12;03~12;07  약개바우산 삼각점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포기 하고 돌아 서는 찰라 14,000산 답사자 문정남 님이 찾았습니다.

 12;14 임도를 만나 우측으로 임도 따릅니다.

 12;16 국가지정번호 안내판을 만납니다.

 능선에서 조망 입니다.

 12;31 이정표 입니다.

 

 12;37 산죽밭 봉우리를 올라오는 1400여산 답사자 문정남님 모습입니다.

 12;38 이정표 입니다.

 12;35 처음 만나는 바위 입니다. 약개바위인가요~?ㅎ

 12;38 솔봉 정상표지판 입니다.

12;38 솔봉 인증사진 입니다. 

 12;49 이정표 입니다

 소나무 숲입니다.

 12;51 이정표 입니다.

 12;51 나무주사 안내판 입니다.

 조망

 12;57 이정표 입니다.

 13;00 (매봉/ 하산길 ) 갈림 3거리 이정표 입니다. 아무런 표시가 없는 능선을 따라야 매봉이 나옵니다.

 13;10 갈림길 이후첫번째  임도에 내려 서니 이정표 (체험단지1.3km) 입니다.  매봉한후 이곳까지만 Back 한후 체험단지로 임도따라 내려갈 예정입니다.

13;15 능선 좌측으로 농장 입니다.

13;30  두번째 임도를 건너 매봉에 도착합다. (cf 매봉 back 하여 이곳  2번째 임도에서 체험단지로 하산하는 것이 시간 /거리상 옳습니다. 1.2번 임도는 만납니다.) 매봉 정상에 14,745산 답사자 문정남님과 함께 배창랑과그일행 표지기 겁니다. 삼각점은 산죽과 눈때문에 찾질 못합니다. 맷돼지 집아래가 있을 듯 싶습니다.ㅎ

13;30 표지기 배경으로 매봉 인증입니다. 

하산길 입니다. 

 13;45 첫번째 임도로 와서 좌향 하산합니다. (그런데 2번째 임도가 하산로로 적합 합니다.)

 눈이 많습니다. 선두주자의 럿셀 발자욱 입니다.

풍광 

 13;59 이정표

 13;59 간선임도 안내판 입니다.

 14;00 체험단지 데크길 입니다.

14;00오감체험장 안내판 입니다. 

 14;00 백두대간 산림생태문화체험단지 안내판 입니다.

 14;06 오감체험장. 산채체험단지  이정표  입니다.

14;05 생태체험단지 건물입니다.

 

14;05 정자와 주차장 입니다.

 시설물

 14;15 산림청 생태문화 체험단지 입간판 입니다.

 14;15 백두대간 생태 수목원 안내판 입니다.

 오록스앱 산행 트랙 입니다.

 산행지도 입니다.

 석벼산 두리봉 자락  약개바우산.솔봉.매봉 수계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