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불무장등(不無長嶝·1,446m) 능선 상-누른 노루 황장산(黃獐山 942.1m). 촛대봉(728m)
산행일자; 2015년10월25일(일). 날씨; 맑음. 산행거리; 10.6km 산행시간; 4시간10분
교통편; 서울 청마산악회.비용;33,000원(하산후 식사와 주류제공비 포함)
산행코스; 화개장터 시외버스 정류장-나무계단-전망대- 삼각점봉(586m)-촛대바위-촛대봉(728m)-세끼미재-황장산(黃獐山 942.1m)- 평도 마을 능선3거리- 당치마을 표지석-연곡사 주차장
■ 황장산(黃獐山) 942m)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용강리,전남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위치한 산이다.황장산은 지리산 3대 봉우리 중의 하나인 삼도봉을 거쳐 남쪽으로 뻗어내린 불무장등 능선에 위치하고 있다.지리산 황장산은 불무장등 능선으로 황장산, 촛대봉, 촛대바위, 삼각점 봉우리를 일으켜 세우고 섬진강에 그 꼬리를 내린다.
황장산(黃獐山 942.1m)~촛대봉(728m)은 불무장등 능선에 위치한 반야봉을 모산으로 한다. 노루목은 반야봉에서 불무장등으로 뻗어내린 산세가, 이곳에서 잠시 멈춰 선 노루가 머리를 치켜들고 있는 형상이라는 데에서 비롯된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동문화원에서 발행한 '하동군 지명지(河東郡 地名誌)'에는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황장산의 한문 표기가 잘못되어, 지금은 '누른 노루'라는 '황장산(黃獐山)'으로 쓰고 있으나 원래의 지명은 정상(고개)까지 멀고도 먼 산이라는 뜻인 '항장산(項長山)'이었다.
어쨌든 지리산에서 천왕봉 다음으로 높은 반야봉에서 삼도봉을 거쳐 뻗어 내린 이 능선은 봉(峯)이 아닌 불무장등(不無長嶝·1,446m)과 황장산을 거느리고 있다.
■촛대봉(728m)은 지리산 주능선상의 삼도봉에서 지능선 하나가 남으로 뻗어 아름다운 벚꽃길인 19번 국도와 내달리는 섬진강에서 그 맥이 끝이 난다. 삼도봉에 이어 불무장등, 통꼭봉, 황장산을 거쳐 맨 남쪽에 솟구친 봉우리가 바로 촛대봉이다. 황장산과는 불과 2.6㎞ 떨어져 있다. 조망 또한 일품이어서 지리산 연봉과 하동의 주요 산들을 빠짐없이 감상할 수 있어 산행의 재미를 배가시켜 준다. 19번 국도변에서 북으로 이 산줄기를 따라 오르면 맨 먼저 촛대봉을 밟고 이어 황장산, 통꼭봉, 불무장등을 거쳐 백두대간인 삼도봉에 닿는다. 하지만 지금은 지리산 당재이후 국립공원 안으로는 비법정 탐방로여서 산행을 이어갈 수 없다.
■ 불무장등(不無長嶝·1,446m)은 지리산에서 유독 장등이란 명칭을 쓰고 있는 봉우리다. 그런데 불무장등(不無長嶝·1,446m)봉우리에 대해 의견들이 분분하다. 한자 이름 그대로 ‘없지 아니한 긴 산등성이’처럼 그저 밋밋한 고갯마루 같은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또 산세가 대장간의 화로인 풀무와 같은 형상에서 비롯됐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는 모두 잘못된 해석이라는 것이다.
경남도 문화관광국 관광행정담당은 “올바른 표기는 불교에서 최고의 지혜를 뜻하는 반야(般若) 또는 불모(佛母)란 용어를 사용하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불모장등은 반야봉에서 시작한 반야장등에 있는 가장 높은 산이다. 반야라는 중복된 글자를 피하고 같은 의미인 불모장등(佛母長嶝)이란 표기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불모’는 ‘불무’로도 읽어 현재의 '불무장등'이란 표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래서 불무장등 능선도 반야봉에서 시작돼 남쪽으로 화개면 탑리까지 이어진 능선을 이른다”는 것이다.
지리산 불무장등1446m능선~심마니 능선은 ‘농평마을-당재-통곡봉905m-불무장등1446m-삼도봉1550m-반야봉1735m-중봉1732m-투구봉1520m -향로봉1370m-반선교’코스는
2011.07;23(토) 22;53 영등포역을 출발한 무궁화 열차를 타고 2011.07.24(일) 03;18 전남 구례구역에 도착. 역앞 올갱국집에서 이른 아침을 해결하고 Taxi(34,000원)로 ‘연곡사’전 평도마을 “당치마을”이정표 방향 따라 우회전 하여 긴 오름길 지나 <농평마을>에 04;25 도착 헤드렌턴 켜고 산행 시작하여 23.8km/ 600분<반선교>에서 14;25 마무리 한 길고 긴 산행을 한적이 있습니다.
그때부터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갈수 있는 당재 이후 못다한 불무장등 능선중 못다한 황장산(黃獐山 942.1m)~촛대봉(728m)능선을 한다고 마음에 두고도 하지 못하다가 마침 안내산악회 서울청마산악회 상품으로 나와 신청하고 답사 참여합니다.
등로는 하동군 화개면 소재지의 시외버스 정류장을 들머리로 하고, ‘화개장터 시외버스 정류장-나무계단-전망대- 삼각점봉(586m)-촛대바위-촛대봉(728m)-세끼미재-황장산(黃獐山 942.1m)- 평도마을 능선3거리- 당치마을 표지석-연곡사 주차장’코스입니다. 오늘 코스는 불무장등 긴 능선상의 당재 아래부분으로 지리산 국립공원에 속하지 않는 자유롭게 산행할수 있는 지역이라 모처럼 마음 편한 산행길 입니다.
2015.10.25(일).07;00 사당역1번출구에서 서울 청마산악회 롱바디 버스에 탑승합니다. 천안휴게소 15여분 쉬고 산행지 근처 휴게소에서 한번 더 쉬기로 한 어나운스도 물거품이 됩니다. 피아골 단풍산행 팀이 절반인 탓으로 피아골 들머리 성삼재를 오르는데 이건 도로가 아니고 주차장입니다.
도로 한견을 불법 주차가 점유하고 상행 하행 대형버스의 교행이 곡예 운전처럼 진행되니 성삼재 12;20 도착 300m전에 피아골팀은 산행 들어가고 성삼재 시암재 구간은 상하행이 어렵기는 마찬가지고 겨우 천은사를 빠져 나와 황장산 촛대봉 들머리 화개장터 버스터미널에 12;58 도착 합니다. 터미널 화장실에서 참았던 소변을 해결하고 시외버스옆 공터 나무계단이 보입니다. 늦은 시간 산행 시작이 됩니다.
0km 0분[화개장터 시외버스정류장](13;00)
화개장터 시외버스 터미널 공터 나무계단을 오른다. 처음부터 주눅 들게 만드는 급경사 나무계단으로 시작되지만 (13;06)전망대에 올라 잠시 뒤돌아보면 백운산 밥봉과 매봉, 형제봉이 손에 잡힌다.유유히 흐르는 섬진강도 아름답다. 제법 널찍하게 터를 잡은 묘지군을 지나고, (13;28) 짧은 암릉길을 통과한다. 이제부터 한동안 경사가 누그러지며 울창한 소나무 숲길이다. 산길은 떨어진 솔잎으로 푹신푹신하고 부드러워 운치가 있다.
(13;45)지리산 둘레길이 지나가는 작은재 이정표(황장산4.9km/기촌마을 1.9km/법화마을1.2km)와 이정표(촛대봉/구례화개장터)를 만나고, 완만한 능선 오름길을 즐기면서 (14;15)이정표(황장산4.0km/둘레길=작은재0.9km)를 지나 오름길 올라서면 삼각점(지적 삼각점 경남-464호)이 있는 586m봉에 선다.[3.0km] [75분]
3.0km 75분 [586m 삼각점봉](14;15)
억새와 잡목으로 어수선 하지만 그래도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가야 할 정면 능선을 따라 촛대봉, 황장산 그 너머로 지리산 반야봉을 볼 수 있다. 눈을 왼편으로 돌리면 왕시루봉 능선이 길게 뻗고, 그 오른편 뒤로 노고단, 돼지평전 일대의 서부 지리산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방향을 틀어 내려서면 멀리 벽소령을 비롯해 영신봉, 천왕봉까지 동부 지리산 일대도 모습을 드러낸다.
지리산 삼도봉까지 이어지는 이 능선을 중심으로 왼편은 전남 구례군, 오른편은 경남 하동군이다. 전체적으로 중간 중간 오르내림이 반복되지만 능선의 마루금을 따르는 주능선만 놓치지 않는다면 큰 어려움은 없다. 또 산길도 반듯 하거니와 곳곳에 이정표가 있어 크게 헷갈릴 염려도 없다.
586m봉을 뒤로하고 조금 내려서면 (14;16)이정표(촛대봉/화개장터/화개삼신마을) 갈림길에서 이정표 촛대봉 방향으로 왼편으로 꺾는다. 돌담으로 둘러싸인 특이한 묘지를 올려다 보고 지나면 (14;22) 이정표(황장산3.4km/둘레길=작은재1.5km/삼신마을)을 지나고 다시 한번 시야가 트이면서 (14;34)거대한 입석이 버티고 있다. 이 바위가 촛대봉이라는 지명을 낳게 한 촛대바위다. 일부 화개 사람들은 남근석이라고도 한다는데 언제부터 인가 올빼미 바위로 불리고 있다.
촛대봉 이정표(촛대봉/화개장터)에서 산부인과 바위도 지나고 올름길 올라 능선 이어가면 검은 오석 촛대봉 정상석이 있는 촛대봉에 선다.[2.0km][45분]
5.0km 120분 [촛대봉 정상] (15;00)
구례군에서 세운 오석에 ‘촛대봉 721.5m’라 새긴 정상석이 반갑게 맞는다. 옆에는 이정표(황장산1.9km/농평마을6.6km/둘레길작은재3.0km) 와 땅에 놓인 이정표(화개 5.0km/황장산 1.9km/당재 3.4km)있다. 봉래봉 또는 삼각봉이라 불렸다는 이곳은 숲에 가려 조망은 좋지 않다. 다행히 정상석 뒤편이 트여 삼신봉을 중심으로 지리산 남부능선과 낙남정맥의 산줄기를 읽을 수 있다. 오른편에 시루봉 원강재 형제봉도 보인다. (cf.정상석 뒤로는 삼신리로 내려서는 하산길이다.) 이제부터 ‘누른 노루(黃獐)’의 등을 타고 북쪽으로 잇는다. 황장산까지는 1시간이면 충분하다.
촛대봉을 뒤로하고 완만한 내리막길 안부에서 (15;10) 새끼미재를 만난다. 본래는 새끼미재다.
'새끼미'는 고양이를 일컫는 하동지방의 방언으로 이곳에 고양이 형상의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란다. 왼편은 조동마을, 오른편은 용강마을로 잇는 안부에 용강마을 쪽으로 뚜렷한 산길이 있지만 사유지인지 철망으로 막고 산나물 재배지로 출입을 통제하는 천막이 걸려있다. 정면의 887m봉을 쳐다보고 오르면 먼저 절벽의 바위전망대다.
지나온 능선에는 촛대봉과 그 너머 봉우리들이 능선을 숨긴 채 겹겹이 포개지면서 실루엣으로 다가온다. 다시(15;34) 중기마을 능선 삼거리 이정표(황장산 1.4km/ 평도 삼거리 2.7km/천왕사 3.1km)를 지나 887m봉을 넘는다.
간혹 갈림길을 만나지만 곳곳에 안내 표지가 있어 걱정할 필요는 없다. (15;40) 이정표(황장산0.7km/둘레길=작은재4.2km)를 지나 조릿대라 불리는 초록색의 싱싱한 산죽 사이로 걷는다. 낙엽이 깔린 완만한 산길은 부드럽기 그지없다. 곧이어 시야가 트이면서 황장산에 올라선다. [1.9km][60분]
6.9km 180분 [황장산](16;00)
산정에는 촛대봉의 정상석과 똑같은 형태의 표석이 황장산 정상임을 알리고, 2등 삼각점과 이정표(평도3거리1.3km/농평마을4.7km/남도대교8.2km)도 있다. 왼편으로 질등과 문바우등 능선. 노고단이 지척이고, 세석에서 뻗어 내린 남부능선과 주능선상의 촛대봉, 제석봉, 천왕봉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잠시 발걸음을 옮기면 삼도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통꼭봉, 농평마을이 희뿌옇게 보인다. 짧은 암벽에 걸려 있는 로프를 붙잡고 내려선다. 암릉을 우회하는 사면 길로 따르면 모암골과 갈리는 안부. 능선길로 직진하여 갈림길 표시목이 있는 평도마을 능선 삼거리다. [1.3km][23분]
8.2km 203분 [평도마을 능선3거리](16;23)
(cf.930봉을 넘으면 당재까지는 완만한 내리막길 이다. 930봉 정상에서 당재까지는 1시간 정도 소요된다.당재는 구례 쪽의 농평마을이나 화개 쪽의 목통마을로 내려서는 갈림목이다. 고개 아래에 당산나무와 당집이 있다 하여 당재로 불린다.)
당재는 통꼭봉, 불무장등을 거쳐 삼도봉때 진행하였기에 오늘은 시간상 평도마을 능선 3거리에서 좌향 평도마을로 하산길을 잡는다. 급경사 내림길이다. 꼭 추천 할만한 하산길은 아니다. 그러나 마을 청년회에서 암릉길에 우회하는 픽스 로프도 걸고 ‘등산로’이정표도 달아 두어 하산길에 어려움은 없다. 능선길이 끝나고 임도를 만난다. 임도따라 내려서
(17;06) 당치마을 표지석을 만나 아스팔트 도로따라 우회전 연곡사 주차장으로 간다. (17;08)지리산국립공원 입간판 지나 모퉁이 산악회 버스 얻어 타고 돌아드니 (17;10)대형버스 주차장이다.[2.4km][47분]
10.6km 250분 [연곡사 대형버스 주차장](17;10)
먼저 와 식사중인 문일님 한테 막걸리 한잔 얻어 마시고 ‘먹는 것 보다 씻는 것이 우선’인지라 차안에서 옷보따리 꺼내 피아골 계곡으로 내려가 알탕하고 새옷 갈아 입습니다. 청마산악회표 찌개에 다양한 반찬으로 늦은 식사를 합니다. 장 트러블 때문에 응급실 신세를 지고도 산행에 참여한 백곰님의 산행 열정에 박수 보냅니다. 수고한 무사 산행에 건배 합니다.
오랜만에 만난 김진수 관세사님과 막걸리 한잔 교환합니다. 이대장님. 정상국님 이하 여러분 만나뵈어 반가웠습니다. 좀 늦은 박건석님 도착한 18;00 피아골 연곡사 주차장을 출발 풍세부터 밀린 고속도로 죽전 간이역에 22;00 도착 분당선/신분당선/3/9호선으로 갈아 타 등촌역 족발집에서 뒷풀이 간단히 하고 24;00 귀가 합니다.
13;00 촛대봉 황장산 들머리 모습입니다. 화동군에서 등산로 정비를 잘 했습니다. 계단. 전망대. 안전시설. 이정표 그리고 정상석등
13;06 전망대에서 섬진강을 조망합니다.
조망. 화개장터
조망
조망
13;28 암릉
13;35 암릉지대
13;45 작은재 이정표 입니다.
13;45 작은재 다른 이정표
낙엽깔린 부드러운 길입니다.
14;10 이정표 입니다.
14;15 삼각점봉 583.5m봉 입니다.
14;15 지적 삼각점 경남-464호 입니다.
단풍이 곱습니다.
14;16 화개 삼신마을 갈림이정표 입니다.
14;22 삼신마을 갈림 이정표 입니다.
14;34 촛대바위 입니다.
촛대바위
촛대바위 인증사진 입니다.
촛대바위를 다 잡아 봅니다.
촛대바위
이정표 입니다. 촛대봉은 약20여분 더 가야 합니다.
지리산 조망입니다.
지리산 조망
암릉
산부인과 바위(?)
만추의 숲
14;58 촛대봉 이정표 입니다.
15;00 촛대봉 정상석 입니다.
또다른 이정표
15;00 촛대봉 인증사진 입니다.
용담꽃
15;10 새끼미재 입니다.
이정표
전망대에서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지리 조망
15;34 중기 능선 3거리 이정표 입니다
15;40 이정표 입니다.
옛 이정표
곱게 물든 단풍
단풍
16;00 황장산 정상석 입니다.
16;00 황장산 정상 이정표 입니다.
황장산 정상 삼각점 입니다.
조망
지리조망
지리조망
지리조망
황장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역광을 피해서~!
곱게 물든 단풍
단풍
16;23 평도마을 능선3거리 이정표 입니다. 이곳에서 당재하산 계획을 수정 평도마을로 하산합니다.
마을청년회 이정표
암릉구간을 좌측으로 우회 합니다.
임도에 내려서 조망입니다.
조망
평도마을
메이플 벨리
피아골 도로 입니다.
17;06 당치마을 도로 가 표지석 입니다.
17;08 지리산 국립공원 입간판 입니다.
산행지도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부대 철조망 순례길.보타산(419m).예덕산(392m).갑산(747m).고명산(574m).호명산(479m)독도가 어려운 23.7km 산행 (0) | 2015.10.30 |
---|---|
마름산.백마산(白馬山 503.4m).용마봉.발리봉.노고봉.정광산.마구산.태화산.미역산 1구간. (0) | 2015.10.28 |
전남 화순 적벽을 이루어낸 옹성산(甕城山572m). 독아지봉(395m) (0) | 2015.10.23 |
금수산(錦繡山 1,015.8m)의 용아능선.망덕봉(望德峰926m ).고사리봉(421m) (0) | 2015.10.19 |
날등이 험한 동강변의 푯대봉(962m).돌도끼산(돌도게산968m).도도고지산(878m).떡갈고댕이산(759m).유지등산(557.6m) (0) | 2015.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