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 변산반도 국립공원내 비경. 비룡상천봉(飛龍上天峰). 쇠뿔바위봉(牛角峰)
산행일자; 2015년8월30일(일) .날씨; 맑음. 산행거리; 8.9km. 산행시간; 3시간40분
교통편; 서울마운틴클럽. 비용; 30,000원(하산후 현지 식당 식사비 포함)
산행코스; 남선주차장-어수대-안부-전망바위-비룡상천봉-우두봉-쇠뿔바위-지장봉-투구봉- 전망대-자두봉-서운봉-청렴리-저수지(중계교부근).
■비룡상천봉(飛龍上天峰 440.4m). 쇠뿔바위봉(牛角峰 465m)은 전북 부안 변산반도 국립공원 중심부인 부안호 북동쪽 하서면과 상서면의 경계를 이루는 곳에 위치한다. 쇠뿔바위봉(牛角峰)은 변산의 정상인 의상봉이 있는 주능선 상에 위치하는 봉우리로, 높이는 해발 475m이다. 멀리서 바라보면 봉우리의 모양이 소의 뿔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으로, 두 개의 암봉으로 이루어져 각기 동쇠뿔바위·서쇠뿔바위라 부른다.
서쪽으로는 변산의 최고봉인 의상봉과 능선으로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지장봉(274m)·투구봉(206m)·사두봉(338m)·서운봉(255m)으로,
북쪽으로는 와우봉(474m)·비룡상천봉(445m)·옥녀봉으로 이어지며, 비룡상천봉의 서쪽으로는 우슬재를 지나 본맥인 우금산으로 넘어간다.
전망대가 있는 서쇠뿔바위에 오르면 정상인 의상봉이 눈 앞에 다가오며, 아래로는 부안호를 사이에 두고 서남부의 쌍선봉·관음봉 일대의 조망이 시원하고, 동으로는 우금산 일대의 산줄기가 한 눈에 들어온다. 비룡상천봉에서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쇠뿔바위봉은 두개의 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봉은 서울의 인수봉과 흡사하며 세미록클라이밍을 하여야만 오를 수 있으므로 초심자는 오르기가 어렵다.
■ 비룡상천봉(飛龍上天峰)은 변산반도의 내변산으로 부안호수의 북쪽에 위치하며, 국립공원측에서 입산금지로 막아 놓았다가 2011년 5월 11일 개방하게 되었기에, 외지의 등산객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숨어있는 비경이다.
풍수적으로 등룡에서 비룡을 거쳐 하늘로 오르는 기운의 산이기에 비룡상천봉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한다. 쇠뿔바위봉의 북쪽에 위치한다 .풍수지리적으로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형세를 지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나, 실제로는 수목에 싸여 큰 특징은 없다. 삼각점(부안403/1984재설)이있다.
2015.8.30(일)07;10 신논현역 6번 출구에서 서울마운틴 클럽 대원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강남, 양재, 복정에서 대원들 태우니 거의 만차입니다.
정안휴게소에서 아침 사먹을 사람을 위한 넉넉한 휴게시간 30여분 보내고 우금산팀을 위해 우슬재에 잠시 정차한후 산행들머리 남선동 주차장에 11;05도착 산행시작합니다.
0km 0분[남선동주차장](11;05)
당초 우슬재를 산행기점으로 잡으려고 했는데 국립공원에서 통제구역으로 막고 있어 허용된 등산코스 남선주차장 -어수대를 산행기점으로 한다. 남선동 주차장에는 탐방로(어수대)500m 입간판이 서있다. 화장실 이용하고 736번 도로따라 10여m 내려오니 (11;07)이정표(어수대0.5km/쇠뿔바위3.5km) 서있는 곳에서 736번도로 버리고 이정표 어수대방향 콘크리트 도로따라 아름다운 풍광을 감상하면서 산행들머리 어수대로 간다.[0.5km][10분]
0.5km 10분[어수대](11;15)
어수대 표지석과 시비가 있다. 부안댐 물이 시작되는 곳이라는 어수대가 지금은 물이 없어 작은 웅덩이만 썰렁하고 초라하게 남아 있다. 이정표(쇠뿔바위3.0km/청림리5.0km) 서있다. 이정표 방향따라 돌탑사이 계단으로 오르기 시작한다. 잔자갈 너덜길이다. 울퉁 불퉁한 돌밭지대를 지나면서 가팔라지는 산길을 지그재그 오르면 동쪽 우슬재에서 이어지는 주능선 안부에 닿는다. (11;27)이정표(쇠뿔바위2.5km/청림리4.5km/어수대0.5km)서있다. 우측 우슬재에서 오는 능선에는 금줄이 처있다. 이정표 방향 따라 안부에서 서쪽으로 뚜렷한 능선길로 산행은 계속된다. 전망 바위에 서니 이쪽 저쪽 시원하게 보인다. 건너편 우금산과 우금바위가 손에 잡힐듯 가깝다. 산 능선과 호수와 마을이 보이며 시야가 넓어지는데, 자연의 신비에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11;47)이정표(쇠뿔바위2.1km/청림4.1km/어수대0.9km) 와 전주 이씨 김해김씨 합장묘를 지나니 비룡상천봉이다.[2.0km][45분]
2.5km 55분[비룡상천봉](12;00~12;13))
비룡상천봉(飛龍上天峰)은 변산반도의 내변산으로 부안호수의 북쪽에 위치하며, 국립공원측에서 입산금지로 막아 놓았다가 2011년 5월 11일 개방하게 되었기에, 외지의 등산객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숨어있는 비경이라 한다.
풍수적으로 등룡에서 비룡을 거쳐 하늘로 오르는 기운의 산이기에 비룡상천봉이란 이름이 붙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비룡상천봉(飛龍上天峰)은 그 흔한 정상석 하나 없고 지도마다 위치가 다르다. 길가 445봉을 표시한 지도도 있고 약 0.3km 8분거리 북서방향 삼각점이 있는 440.4봉을 비룡상천봉이라 표시한 지도도 있다.
445봉 비룡상천봉의 조망은 나무로 인하여 조망은 전혀 없다.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부착한 정상 표지판을 배겨으로 인증사진 남기고 쇠뿔바위봉 방향으로 2~3m내려 서다가 우측 금줄있는 능선길 이어가면 (12;11~12;12) 5평 정도의 공터에 선답자님들의 표지가 많이 걸려있는 440.4봉 비룡상천봉에 다녀온다. (왕복 약0.6km /15분 소요)
비룡상천봉에서 남쪽 와우봉(臥牛峰 480m)을 지나 10분쯤 더 걸어 어느 무덤에 이르면 앞이 툭 트이며 저 앞에 우뚝 솟은 쇠뿔바위봉이 보인다. 여기 능선 위에서는 전혀 쇠뿔 같지 않고, 차라리 시루봉이란 이름이 더 어울려 보인다. 이 봉 오른쪽에 가려진 암봉이 하나 더 있는데, 산 남쪽 마을에서 쳐다볼 경우 이 두 봉이 흡사 불끈 솟은 쇠뿔 같다고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었다. 부드러운 능선길 이어가니 동쇠뿔 바위와 그뒤에 겹겹히 쌓인 능선들의 아름답다.[0.9km][35분]
3.4km90분 [쇠뿔바위 3거리](12;35)
쇠뿔바위 이정표(청림마을2.0km/어수대3.0km)서있는 3거리다. 동쇠뿔봉은 420m이며 서쇠뿔봉은 430m다. 이곳 삼거리는 동쇠뿔 가는길과 서쇠뿔 가는길과 청림마을로 내려가는길이 있다. 최근 열려진 서 쇠뿔 바위를 향해 바위능선을 이어가니 전망데크가 설치 되어있다. 조망 양호하다. 위성통신기지가 보이는곳이 의상봉 (545m)이다. 그 아래로 뾰족 바위들이 살아 용트림을 하듯 보이고 부안호수와 골짜기들이 여유롭고 평온해 보인다. 우금산 우금바위 쇠뿔 바위를 지키듯 장군 바위가 쇠뿔 바위를 바라보며 서 있다. 풍수적으로는 비룡상천봉이 주봉일지라도 산행지로선 단연 쇠뿔바위봉이 주봉이자 백미다. 송림을 지나 고래등처럼 긴 암릉으로 내려서면 왼쪽 저편에는 백제의 마지막 항거지 우금산성이 남아 있는 우금암이 성채처럼 서서 경관을 돕고 있다. 이 고래등 암릉은 경관이 워낙 빼어나므로 한동안 머물도록 한다.
서쇠뿔 바위를 다녀오면 이정표 삼거리에서 청림마을 방향은 급경사 내리막 길이다. 공단측에서 안전시설을 해두었지만 처음엔 흙길에 급경사로 내려가다가 조금 더 내려가면 그야말로 너덜길인 돌길로 급경사 길이라 하산에 주의를 요한다 .
안부에 내려서 잠시 휴식시간 갖는다. 능선길 이어가면 지장봉은 금줄이 쳐져 봉우리는 못 올라가고 옆으로 우회길 따른다. 지장봉 아래 바위를 내려오면 이 암벽면 중턱에서 고개 돌려 바라보는 쇠뿔바위봉 일대의 풍광이 장관이다. 서쪽으로 의상봉 아래 기암능선과 부안호수 풍치도 매우 좋다. 이 암벽면에 들어서면 길을 조심한다. 바위지대 맨 아래쪽까지 내려서지 말고 상단부에서 오른쪽으로 바위 능선따라 족적도 뚜렷하므로 길임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얼마 뒤 또 한군데의 돌밭지대를 지나 비로소 평탄한 능선 위로 나선다. 이정표가 없는 새재삼거리 갈림길이다. [1.8km][50분]
6.2km140분[새재3거리](13;25)
(cf 좌향 청림마을이 0.3km로 가까이 있다.) 완만한 오름길 오른다. 투구봉을 지나고 (13;39)이정표(중계교부근2.4km/청림마을0.9km/소뿔바위2.3km)를 만난다. 사두봉 근처 (14;04)이정표(중계교부근1.6km/청림마을1.7km/소뿔바위3.1km)를 지나 완만한 능선길로 서운봉을 통과여 (14;28)이정표(중계교부근0.6km/청림마을2.7km/소뿔바위4.1km)를 지난다. (14;32) 소방서 위치표시 표지목(어수대7.3km/ 중계교부근0.4km)를 만나고 내림길 내려 중계교부근 736번 도로에 내려선다.[3.5km][80분]
9.7km 220분 [736번도로상 중계교부근](14;45)
배려심 깊은 기사님이 에어콘 켠채 기다리고 있습니다. 근처 계곡은 가뭄으로 말라 씻을 곳이 없습니다. 준비해 차 냉장실에 보관한 캔맥주 꺼내 몇사람 나누어서 목마름 달랩니다. 다른 분이 준비해 온 막거리도 얻어 먹습니다. 후미들 도착 기다려(15;10) 인원 파악 끝내고 가까운 곳 청림마을 청림모텔근처 식당에 도착합니다.
상수원 보호구역이라 계곡물을 쓸수가 없어 식당 지하수로 여성대원들은 화장실 샤워장에서 남성대원들은 마당가 수돗물로 대충씻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새옷 갈아입고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제공하는 식당 비빔밥에 시원한 북어국으로 만찬을 즐깁니다. 병맥주 4병사서 테이블메이트끼리 건배합니다.
16;30 청림마을 출발 부안IC 나와 천안부터 막힌 고속도로 전용차로 덕분에 신논현역 19;50 도착 후배 강박사가 건내준 ‘고분주’1병을 해치우러 단골집에 들려 수육 오징어 철판구이 안주로 뒷풀이 하고 22;00 귀가 합니다.
11;05 남선 주차장 입니다.
남선주차장
남선주차장 탐방로 어수대 이정표 입니다. 방향이 조금 헷갈립니다.
비룡상천봉 능선을 조망해봅니다.
11;08 도로변 이정표입니다 이정표 방향따라 어수대로 도로 따릅니다.
11;11 어수대 가는길 메밀밭 입니다.
가야할 능선을 조망합니다.
11;15 어수대 표지석입니다.
11;15 어수대 이정표 입니다.
11;27 우슬재에서 연결되는 주능선 안부 이정표입니다.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조망
조망
11;46 이정표 입니다.
11;56 전주이씨 김해김씨 합장묘입니다.
12;00 비룡상천봉 정상 표지판입니다. 산은 상의 오타입니다.
12;03 인증사진 입니다.
12;11 2~3m 내려와 우측으로 임도수준의 능선길 이어가면 삼각점이 있는 또다른 비룡상천봉 인증사진 입니다.
비룡상천봉 삼각점(부안403/1984재설)입니다.
조망
고래등과 쇠뿔바위 입니다
우금산 조망입니다.
쇠뿔바위 조망입니다.
쇠뿔바위 3거리 이정표입니다. 아무표시 없는 능선길이 서 쇠뿔바위 전망대 가는 길입니다. 왕복합니다.
인증사진입니다.
전망대에서 조망합니다.
조망
조망
조망
쇠뿔바위 전망대에서 인증사진 입니다.
의상봉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투구봉
조망
의상봉
암릉하산길에서
투구봉
투구봉
투구봉 인증사진 입니다.
암릉
풍광
풍광
풍광
풍광
풍광
13;39 이정표 입니다.
14;04 이정표 입니다.
풍광
풍광
풍광
풍광
풍광
부안호
부안호풍광
14;28 이정표입니다.
14;32 위치 표지목 입니다.
등산지도1
등산지도2
등산지도3
등산지도4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봉산(x604봉).밥봉 /초록봉 분기봉.형제봉483m.망운산338m.모산봉(밥봉105m) (0) | 2015.09.07 |
---|---|
산수의 신묘한 조화를 이룬 운일암 반일암 계곡의 명덕봉(明德峰△846m). 명도봉(明道峰△869m) (0) | 2015.09.04 |
지리산 끝자락 칠성봉(七星峰 900m) 구재봉(鳩在峰 767.8m) 분지봉(分枝峰 620m)/ 경남 하동 악양 (0) | 2015.08.28 |
두타산(1,355m)이 품고있는 이름도 독특한 산들. 대방산(423.5m). 벌뱅이산(480.1m). 갈매기산(663m). 쉰움산(오십정산五十井山683m)/ 강원 태백 (0) | 2015.08.24 |
빗길 암릉 릿지산행. 대덕산(602.2m). 독재봉(675.7m). 수전터산(513.8m)/전북 진안 (0)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