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 가고싶지 않은산 애기암봉(740m). 원통봉(688.5m) 그리고 막장봉(887m). 장성봉(961.3m)-충북 괴산/문경
산행일시; 2015년 7월 16 일 (목). 날씨; 맑음. 산행거리; 16.1km. 산행시간; 약 5시간 30분
교통편; 새마포산악회. 비용; 1만5천원(하산후 밥과 주류제공비 포함)
산행코스: 제수리재-투구봉-막장봉-장성봉-애기암봉-원통봉-원북리버스정류소-완장리마을회관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03_0_dslcd1001.jpg)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11_1_dslcd1001.jpg)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22_2_dslcd1001.jpg)
■ 막장봉 (幕場峰887m)은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와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이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살구나무골에서 갈라진 시묘살이 협곡을 이루고 광산의 갱도처럼 생겨 그 마지막에 있는 봉우리라 하여 막장봉으로 불리워 진다.
막장봉은 백두대간이 지나는 장성봉(915m) 서쪽 건너에 있는 산이다. 또한 남쪽으로 관평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대야산(931m)과 마주보고 있으며 북족으로는 살구나무골을 사이에 두고 칠보산(760m)과도 마주보고 있다.
이 산은 백두대간과 산줄기가 이어져 있지만 산세는 칠보산, 대야산과 비슷하다. 소나무가 많아 숲이 푸르고 산등성이와 비탈 곳곳에 기암괴봉이 솟아 있다. 이 기암괴봉들과 노송들이 어우러져 아주 멋이 있다. 특히 산등성이의 바위들은 마치 기암괴봉의 전시장처럼 갖가지 기묘한 모양을 하고 있어 신기하다. 그래서 그 이름들도 이빨바위, 투구봉, 사형제바위, 백두산천지바위(용상바위), 코끼리바위, 달팽이바위, 통천문 등 가지각색이다. 그뿐 아니다. 등성이의 바위지대에는 곳곳에 너럭바위가 많아 앉아 쉬기에도 좋고 저 건너의 산과 천길 바위벼랑 아래를 조망하는 멋이 좋다.
■장성봉(915m)은 경북 문경시 가은읍 서쪽에서 백두대간의 허리를 떠받치고 있는 숨은 명산이다. 1/5,000지도에는 높이가 907.8m로 표시되어 있고 산이름이 그렇듯 마치 거대한 만리장성의 일부를 보는 듯한 장성봉은 북쪽으로부터 남진하는 백두대간이 희양산(999m)에서 서쪽으로 꺾였다가 악희봉(843m)을 솟구친 후, 다시 직각으로 꺾여 남쪽의 대야산(931m)으로 치닫다가 악희봉과 대야산 중간쯤에 이르러 우뚝 솟아 있다.
이 때문에 장성봉을 중심으로 12시 방향인 북쪽 악희봉에서 시계바는 방향으로 구왕봉(898m), 희양산(999m), 애기암봉(731m), 둔덕산(970m), 대야산(930.7m), 군자산(910m) 등이 원을 그린 듯 에워싸고 있어 제법 심산유곡에 들어선 것처럼 느껴지는 산이다. 또, 북쪽의 깊고 긴 계곡이 봉암사 계곡인 봉암용곡임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아무튼 장성봉은 경북 문경시와 충북 괴산군 경계를 이루는 백두대간 일원의 주말산행 코스로 이용되는 여러 산들 중에서 아직까지는 가장 조용하고 오염이 안된 산으로 남아있는 것이 자랑거리이다.
■애기암봉(746.6m)은 백두대간 장성봉을 지난 무명봉에서 북서향 능선상 경북 문경에 위치한 산으로 장성봉에 딸려있고 희양산을 바라보고 있으며 장성봉 정상에 오르기 바로 전에 연결되는 산이다. 비교적 암릉이 많아 아기자기한 능선길이 계속되는데 옻나무골에서 오르는 길은 잣밭재를 경유하여 오를 수도 있고 정상부분으로 바로 오르는 길도 있다.
■원통봉(688.5m)은 애기암봉을 지나 잣밭재로 가라앉은 능선이 다시 세운 문경과 괴산사이의 산이다. 정상석도 삼각점도 아무것도 없다. 삼각점 비슷한 사각콘크리트 구조물이 있을뿐이다.
애기암봉에서 원통봉을 가기 위해서는 잣밭재 직전에 대단히 위험한 약 70m 급경사 로프지역을 통과 해야하는데 눈비가 올때는 많이 위험한 구간을 운행하지 말기를 권한다. 원통봉 하산길도 길이 갑자기 없어지고 하산길 암릉이 위험하다. 완장리로 가기 위해서는 모래실 고개에서 우측으로 고개를 넘어야 함으로 모래실고개 아래부터 임도따라 편안하게 하산하면 원북리 원북교 앞 버스정류소에 닿는다.
■시묘살이골은 장성봉과 막장봉 사이 잘록이에서 시작하여 북서로 살구나무골까지 길게 뻗친 원시의 깊은 산골짜기를 연상케 한다. 좁은 골짜기에 맑은 물이 깨끗한 바위 사이를 이리저리 흘러내리며 어떤 곳에서는 폭포가 되고, 또 어떤 곳에서는 잔잔하게 넓은 너럭바위 위로 흘러내린다. 숲에 가려 길에서는 계류가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숲을 헤치고 계곡에 내려서면 선녀가 내려와 목욕을 할 것만 같은 천연의 욕탕이 널려있다. 시묘살이골의 위쪽에는 지금도 굵은 나무들이 저절로 넘어져 썩어가고 있는 것들이 많이 눈에 띈다.
막장봉의 이름은 시묘살이골 골까지가 좁고 길게 뻗쳐 있으며 막장봉에 의해서 막혀있는 것이 마치 광산의 막장처럼 되어 있어 누군가가 막장봉이라 이름을 붙인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시묘살이골의 이름은 옛날 어느 효자가 자기 부모의 묘를 이 골짜기 어딘가에 쓰고 이 깊은 골짜기에서 부모의 묘 옆에 초막을 짓고 살며 묘를 지키고 모셨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그러나 누가 시묘를 했으며 그 묘가 어디 있는지 또는 어디에 있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시묘살이골이 시작되는 백두대간과 막장봉 사이의 잘록이는 막장봉 고스락에서 6~7분이면 내려서게 된다. 신선이 숨어 산다는 은선폭포 등 폭포도 있고 선녀가 목욕을 함직한 탕과 못이 숲속에 있는가 하면 맑은 물이 넓은 반석을 흐르는 곳도 있다.
2015.7.16(목).07;00 합정역 8번출구 50m 전방 LIG생보 앞에서 새마포 산악회 2호차(1호차는 앵콜백두대간)에 탑승합니다. 45인승 버스가 만차입니다. 아마도 상품으로 잘나오지 않은 애기암봉과 원통봉 때문 인 듯 합니다. 막장봉과 장성봉은 2번 답사해본 산입니다. 그래도 아름다운 코스이기에 10여명 미만인 완주팀에 참여 ‘제수리재--투구봉-막장봉-장성봉-애기암봉-원통봉-원북리버스정류소-완장리마을회관’코스를 진행합니다. 괴산을 지나 517번 도로따라 쌍곡계곡에 들어서고 군자산 들머리 소금강 휴게소를 지나 산행들머리 제수리재에 09;30도착 산행 시작 합니다.
0km0분[제수리재](09:30)
517번 지방도로상 제수리재다. 지형도에는 제수리치(諸水里峙)로 표기되어 있다. 간이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편리하다.
등산로 안내판(장성봉 4.8km/막장봉 3.6km)에서 산행 시작한다. 수림아래 뚜렷한 산길로 10여분 올라가면 틀니를 닮은 (09;41) [이빨바위]가 나타난다. 이후 오른쪽 아래로 관평리 분지가 내려다보이는 능선길을 따라 올라가면 송림으로 뒤덮인 펑퍼짐한 무명봉을 넘는다.
무명봉을 넘어가면 (10;01) 안내판(장성봉 3.0km/막장봉 1.8km/제수리재 1.8km)이 나타난다. 여기서 조금 올라가면 가파른 바위봉인 투구봉이 가로막는다. 5m쯤 되는 밧줄을 잡고 올라간 다음, 두번째 밧줄을 움켜쥐고 7~8m 올라서면 약 25평 넓이 너럭바위로 된 투구봉 꼭대기를 밟는다.[1.9km][35분]
1.9km35분[투구봉 ](10;05)
투구봉에서는 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이 터진다. 남쪽으로는 분지를 이룬 관평리 상관평 건너로 대야산이 마주보인다. 그 오른쪽 백악산 뒤로는 속리산으로 흘러가는 백두대간이 광활하게 펼쳐진다.중대봉에서 오른쪽 아래로는 청천면 방면으로 길게 패어져 나간 선유동 계곡이 한눈에 들어온다. 서쪽으로는 제수리재를 지나 남군자산으로 달아나는 서릉이 내려다 보인다. 북서쪽으로는 쌍곡계곡 건너로 군자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군자산 오른쪽 멀리로는 성불산도 보인다.
투구봉을 내려서면서 본격적인 암릉길이 시작된다. 안부로 내려선 다음 가파른 암릉을 타고 올라가면 절말 방면 노적봉 능선길과 만나는 삼거리에 닿는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바위지대로 들어선다. 급경사 바위를 내려가면 안부에 닿는다. 안부에서 올라가면 [사형제바위]가 나타난다. 사형제 바위를 뒤로 올라가면 양쪽이 수십 길 절벽인 암릉 초입에 닿는다. 초입으로 올라서면 암릉 바닥에서 뿔이 난 듯 삼각형으로 돋아난 기암이 발길을 멈추게 한다. 삼각형 꼭대기가 그릇처럼 둥그렇고 가운데가 움푹 패어 있다. 이곳에 빗물이 고이거나 눈이 쌓이면 백두산 천지처럼 보인다 하여 [백두산천지바위]다.
백두산 천지바위를 지나면 약 40m인 암릉을 조심스레 통과한 다음 <8m 밧줄>을 잡고 갈라진 바위틈 사이로 내려서면 안부다. 안부에서 계속 이어지는 급경사 바윗길로 올라가면 [입석바위]에 닿는다. 입석바위를 지나 3분 거리에 이르면 진행방향으로 [통천문] 바위가 내려다보이는 암봉에 닿는다. 대슬랩 등허리를 타고 약 30m 거리에 이르면 통천문 입구에 닿는다. [통천문]은 크게 세 조각으로 갈라진 바위로, 전체 크기가 높이 15m에 폭 15m 가량 된다. 바위 가운데를 통과하는 10m 가량되는 통천문을 빠져나오면 곧이어 [코끼리바위]가 발길을 멈추게 한다. [코끼리바위]를 지나 올라가면 막장봉 정상이다.[1.8km][50분]
3.7km 85분[막장봉](10;55~10;57)
정상에는 정상석이 있다. 정상에서 북으로는 시묘살이계곡 건너로 칠보산, 시루봉, 악휘봉이 멀리 월악산과 함께 조망된다. 악휘봉에서 오른쪽으로는 백두대간을 몰고 내려오는 백화산, 희양산, 구왕봉이 하늘금을 이룬다. 남동으로는 장성봉이 마주보인다. 장성봉에서 오른쪽으로는 둔덕산이 고개를 내민다.
막장봉 정상 이정표(저수리재 3.6Km/ 장성봉 1.2Km)서있다. 정상을 지나 동북방향으로 급경사를 내려서면 안부3거리 이정표(장성봉 1Km/ 저수리재 3.8Km/절말 5.2Km)서있다.
안부에서 작은봉을 하나 지나 다시 오르면 추억의 백두대간길이다. 이후 우측 백두대간 길을 따라 우측으로 가면서 두어개의 봉을 지나면 장성봉이다.[1.2km][30분]
4.9km 115분 [장성봉](916.4m)(11:25)
3각점과 정상석이 있다. 장성봉에서 우측으로 꺾여 거의 평탄하게 5분여 가면 애기암봉 갈림봉이다. [119 솔라표지봉]이 서 있는 무명봉이다. 이곳에서 대간길을 우측으로 보내고(버리미기재향) 왼편으로 내려선다. 길은 조금은 거칠지만 뚜렷하다. 능선길 따라 작은 봉들을 몇 개 지난다. 병풍 같은 바위도 지나고 세미 클라이밍 코스를 오르기도 하면서 봉에 오르고 다시 내려서서 안부를 지나 오르면서 구멍이 뚫린 바위속으로 통과하고 안부에 내려선다.
안부를 지나 오르면서 애기암봉 전봉을 지나 다시 오르면 지금까지 봐온 정상석 중 가장 예쁜 작은 애기암봉 정상석이다. [3.5km][70분]
8.4km 185분 [애기암봉](746.6m)(12;35)
인증사진 남긴다. 정상에서 우측으로 능선을 따라가면 [반점]지나 완장리 마을회관 이다, 후답자는 이곳에서 우측 능선으로 하산하기를 권한다. 잣밭재와 원통봉을 가기위해 왼편으로 내려간다.
희미한 길따라 북쪽방향으로 20여m 가면 로프가 가늘어 언젠가는 사고의 위험이 있어 보이는 매우 긴, 3토막의 로프가 매어있는 급경사 내림길이다. 바위 절벽 한켠으로 약 70여m를 3단로프에 의지하여 내려선다. 오늘 산행구간중 가장 험하고 위험한 구간이다. 두번은 경험하고 싶지 않은 구간이다. 우측으로 난 희미한 길흔적을 따라간다. 그리고 아직도 남은 암릉길을 내려서 한숨 돌리고 능선길 이어가니 잣밭재다.[1.5km][38분]
10.1km 223분 [잣밭재](13:13)
잣밭재 4거리다. 왼편은 봉암사 방향이다. 봉암사에서 세운 2개의 녹슨 출입삼가 안내판이 있다. 우측은 완장리 마을회관 향 하산길이다.
직진 원통산을 향해 언제 그랬냐는 듯이 부드러운 능선길을 오른다. 송림 사이 기분좋은 능선길이 이어지고 마지막 오름길을 올라서니 원통산 전위봉이다. 다시 앞에 낙타등처럼 보이는 원통산을 향해 능선길 이어가니 더 이상 오를 곳이 없는 원통봉 정상이다.[2.0km][27분]
12.1km 250분[원통봉](13;40)
그 흔한 정상표지판도 없다. 삼각점 모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정상임을 말해준다. 나무 때문에 조망도 없다. 하산길에 접어든다. 완만하고 뚜렷한 능선길이 우측으로 꺾이면서 족적도 없어지고 암릉이 만만치 않다. 암릉을 릿지로 왼쪽으로 내려서 우회하여 다시 능선에 붙는다. 모래실 고개 직전까지는 거의 개척수준의 하산길이다.
임도 만난다. 이곳에서 완장리는 우측 고개를 넘어야 되는데 고생 끝에 만난 임도가 반가워 무작정 임도따라 하산한다. 임도 삼거리에서 좌측 임도는 원북리향인데 직진으로 임도따르니 임도가 공사중인 곳에서 끝나고 봉암사에서 흘러나오는 계곡에 물놀이 하는 유영객들이 반긴다.
하천뚝 따라 원북리 마을로 가서 원북교를 건너 원북리마을 버스정류소에서 일단 산행 종료 한다.[4.0km][70분]
16.1km 320분[원북리 마을 버스정류소](14;50~14;55)
밧데리 교한하여 네비켜고 방향을 확인하니 고생 끝에 만난 임도 따르다 보니 하산지점이 완장리와는 약4km ㄴ자 방향 원북리 입니다. 좌향 봉암사 향이고 우향 상괴리 가은향입니다. 동네 어르신한테 길 물어 보니 걸어서 힘드니 택시를 부르랍니다. 가은택시 10,000원이면 된답니다.ㅎ
김회장님게 전화 드리고 아스팔트 도로 따라 투벅투벅 몇발자욱을 걷습니다.
트럭한대가 옵니다. 친절한 아주머니가 밭일하러 가다가 완장리 마을회관 앞까지 태워다 줍니다.기름값이라도 드리겠다니 펄쩍 뜁니다.“복 받으실 겁니다. 친절한 아주머님~!!^^”감사합니다.[0km][15분]
16.1km 335분 [완장리 마을회관](15;05)
기다리는 차안에서 옷보따리 꺼내 마을회관 수돗가 노천이라 길가 농가에 들어가 주인 아주머니 허락받고 대충씻고 새옷 갈아 입으니 날아갈것 같습니다. 새마포산악회표 밥 배급받아 준비해온 반찬에 허기진 배 채웁니다. 막걸리 몇잔으로 두 번은 오고싶지 않은 고약한 산 애기암봉. 원통봉을 마감합니다.
같은 길을 시행 착오한 후미들 도착 정리끝난 16;45 완장리를 출발 제수리재 지나서야 회원 한분이 지갑 핸드폰 든 옷가방을 놓고 왔다는 뒤늦은 깨달음 덕분에 약 왕복50분 버리고 다시 완장리 마을회관으로 가서 무사히 잃어버린 물건을 찾는 헤프닝 탓에 한남역에 20;00 도착 중앙선/1/9호선으로 23;00 귀가합니다.
대중교통
· 동서울 → 괴산 직행버스(1일 18회) 1시간50분 소요 06:50/07:50 02:00시간 괴산(증평) 10,800
· 괴산 → 칠성 쌍곡 시내버스(1일 4회) 30분 소요
괴산 ⇒ 쌍곡
30분(1,800원) 06;30/08;30/09;20/10;10/
괴산택시 043-832-9800 / 043-834-8585/칠성면택시 043-832-0371
09;30 제수리재 등산로 입구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27_3_dslcd1001.jpg)
09;41 약 10분정도 오름길 올라서 만나는 이빨바위 입니다. 이곳에서 좌측능선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31_4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4_5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47_6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52_7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56_8_dslcd1001.jpg)
10;02 이정표 (장성봉3.0km/막장봉1.8km/제수리재1.8km)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64_9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73_10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79_11_dslcd1001.jpg)
10;05투구봉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084_12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14_13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2_14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27_15_dslcd1001.jpg)
풍광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38_16_dslcd1001.jpg)
백두산 천지바위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42_17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48_18_dslcd1001.jpg)
입석바위?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53_19_dslcd1001.jpg)
암릉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59_20_dslcd1001.jpg)
대스랩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64_21_dslcd1001.jpg)
통천문바위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73_22_dslcd1001.jpg)
코끼리바위~?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81_23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88_24_dslcd1001.jpg)
조망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93_25_dslcd1001.jpg)
10;55 막장봉 정상 이정표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199_26_dslcd1001.jpg)
10;55 막장봉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05_27_dslcd1001.jpg)
막장봉 인증사진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11_28_dslcd1001.jpg)
안부이정표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17_29_dslcd1001.jpg)
이정표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23_30_dslcd1001.jpg)
11;25 장성봉 정상 삼각점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3_31_dslcd1001.jpg)
장성봉 정상석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4_32_dslcd1001.jpg)
11;25 장성봉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http://community.okoutdoor.com/travel_board/tmp/143710265247_33_dslcd1001.jpg)
장성봉 정상이정표 입니다. 버리미기재 방향 백두대간 길을 따릅니다. ![]() 11;27 애기암봉 갈림길 무명봉 솔라표시등 입니다. ![]() 119 구조표지판이 계속나옵니다. ![]() 조망 ![]() 12;35 애기암봉 예쁜 정상석입니다. ![]() 애기암봉 인증사진 입니다. ![]() 12;13 잣밭재 입니다. 봉암서 안내판입니다. ![]() 뒤돌아 본 애기암봉 입니다. ![]() 조망 ![]() 13;30 원통봉 정상 삼각점 비슷한 구조물입니다. ![]() 하산길 암릉 입니다. ![]() 임도 만나 생각없이 하산합니다. ![]() 하산길 야생화 ![]() 야생화 ![]() 뇌정산 ![]() 하산길 ![]() 14;50 원북교 ![]() 14;50 원북1리 버스정류소 입니다. 산행종료 합니다. ![]() 산행지도1 ![]() 산행지도2 ![]() |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화산(靑華山701.2m). 촉봉(觸峰416.8m). 냉산(冷山 691.6m)--경북 구미시 도개면 다곡리/의성군 구천면 청산리 (0) | 2015.07.24 |
---|---|
힐링산행. 고성산(古城山. 297m). 관대바위(冠帶巖). 송지호 둘레길--강원 고성 (0) | 2015.07.20 |
雨中 산행. 도장산(道藏山 827.9m) - 경북 문경시 농암면 내서리/상주시 화북면 용유리 (0) | 2015.07.13 |
동네 뒷산 같은 둔덕산(屯德山 969.6m)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완장리 (0) | 2015.07.10 |
이름 값 하는 힘든 뇌정산(雷霆山992m). 능곡산(陵谷山572.2m). 그리고 주지봉(朱芝峰368.4m)---경북 문경 가은 (0) | 201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