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금물산(今勿山 770m)과 성지봉(聖地峰 791m)--영하17도 (체감온도)홍천. 횡성군에 걸쳐있는 산

배창랑 2015. 2. 9. 12:07
금물산(今勿山 770m)과 성지봉(聖地峰 791m)--영하17도 (체감온도)홍천. 횡성군에 걸쳐있는 산
산행일자; 2015년2월8일(일). 날씨; 맑음. 산행 거리; 10.7km 산행시간; 4시간30분
교통편; 대중교통;<갈때> 동서울 터미널(06;50)~ 풍수원 연내골(08;30).<올때>유현3리 보건소앞~ 택시(17,000원)~ 횡성(16;05)~원주(16;40)~서울(영동선) 경부고속버스 터미널(18;00)
비용;<갈때>9천원. <올때>2,400+10,200=12,600원
산행코스; 풍수원 유현1리 마을회관 -능선 - 임도 -헬기장- - 성지봉 - 군부대 간판봉 (삼거리 분기봉) - 한강기맥 삼거리 - 금물산 - 삼마치 이정표 갈림길 - 780봉직전 안부사이 우측능선 - 안밤골 임도 - 왕대교 - 유현3리 유현보건소앞 버스정류소 .
■성지봉(聖地峰 791m)과 금물산(今勿山 770m)은 조선시대 임금의 행차 이래 '성스러운 곳에 있는 봉'이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대산 두로봉에서 시작되는 '한강기맥'이 계방산, 회령봉, 운무산, 오음산을 지나 금물산까지 홍천군과 횡성군의 경계를 이루며 이어진다. 금물산(770m)에서 강원도와 경기도의 도계를 가르며 용문산으로 이어지니 '한강기맥'이라 이른다. 금물산(今勿山 770m)에서 남으로 2km에 위치한 성지봉은 금물산보다 높이는 더 높으나 봉(峰)이라고 불린다. 금물산은 한강기맥 주릉에 위치함으로 산이라는 이름을 얻고 성지봉은 주릉을 벗어나 독립된 봉우리를 이룬 고로 산이란 명칭을 갖지 못했다.
■성지봉 일원은 천주교와 깊은 인연이 있으니 남쪽 기슭에 우리나라에서 네번째로 오래된 풍수원 성당이 자리잡고 있다. 신유박해(1801년), 병인양요(1966년), 신미양요(1971년) 등으로 탄압받던 천주교인들이 이곳으로 숨어들어 신앙을 지키며 살았던 곳이다. 생계 수단으로 옹기를 구워 팔기도 했으니 아직도 옹기가마터가 밤골에 1기 남아있다.
성지봉(聖地峰 791m)과 금물산(今勿山 770m)은 여름에는 길섶의 풀이 웃자라 긴팔, 긴바지가 아니면 통과하기 힘들다. 산은 그다지 높지 않으나 주능선 길이가 10km를 넘어 계곡이 길고 깊다. 특히 유산리에서 정상으로 이어지는 계곡과 밤골에서 주능선에 이르는 계곡이 볼만하다. 계곡이 넓어 수량도 많고 계류가 맑다. 금물산의 최고봉인 성지봉은 금물산 정상에서 서남으로 가지를 친 능선으로 그 본래의 산맥은 금물산 정상에서 서남으로 뻗어 나가고 있다. 성지봉에서 금물산으로 가는 능선에는 나무가 우거져 있어 헤쳐 나가야 된다.
금물산(今勿山 770m)과 성지봉(聖地峰 791m)은 참으로 오래전 고 안경호님의 100대 명산에서 접한뒤 유일하게 남은 산으로 가봐야지 하면서도 실천에 옮기지 못한 산이었습니다.
서울에서 가깝고 한강기맥에 속한 산이기에 마음만 먹으면 금방 실천할 수 있는 산이면서도 여러 해 동안 차일피일 미뤄져 온 산입니다.
2015.2.8(일)06;50 입춘도 지났는데 몹시도 추운 날 동서울 터미널에서 양평.용문.단월.용두.풍수원.유현1리 마을회관을 거쳐 횡성으로 가는 첫차에 탑승합니다. 혹시 자리 못잡을가 봐 일주일 전에 예매한 표가 무색 할 정도로 탑승인원은 4명뿐입니다. 친절한 기사님 안내멘트와 차내 방송따라 풍수원 지나 유현1리 마을회관 앞 버스정류소에서 08;30 도착 산행 준비 합니다.
금물산(774m)-성지봉(791m) 등산 지도는 지도마다 봉우리의 높이도 틀리고 금물산 정상의 위치도 지도마다 다르고 등산로도 실제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10여분 산행 준비하고 08;40 길 건너 우측 약 50m 정도에는 유현치안센터(파출소) 건물이 보입니다. 들머리인 유현1리 마을회관 건물은 6번국도 유현1리 버스정류소에서 보면 도로 건너 앞 건물 (예전에는 구판장이었으나 지금은 문을 닫았음)에 가려 잘 보이지 않습니다. 유현1리 마을회관은 그 뒤에 있습니다.
0km 0분[유현1리 마을회관](느르개 경로당)(08;40)
유현1리 마을회관(느르개 경로당) 건물의 왼쪽편에 산행 들머리 있다. 처음부터 오르막이다. 등산로는 능선에 붙어 능선길 이어가고 다시 오르막길 나타나기를 반복하면서 고도를 높힌다. 능선을 타고 올라오다 보면 갑자기 임도(잡목이 있음) 비슷한 길이 나타난다. 오른쪽으로 봉우리를 끼고 임도 따라 150~200m 정도 진행하면 성지봉 직전 헬기장이다.[2.5km][65분]
2.5km 65분[헬기장]
넓은 공터 헬기장 삼거리다. 왼쪽이 덕갈고개, 오른쪽이 성지봉 향이다. 조망 양호하다. 앞에 보이는 성지봉 암릉이 위압적이다. 성지 지맥 따라 능선길 이어 오름길 오르고 바위암릉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능선에 붙어 오르니 성지봉이다.[0.3km][10분]
2.8km75분[성지봉](09;55)
정상석은 없다. 선답자의 오래된 비닐 코팅정상판이 나무에 걸려 걸려있어 정상임을 말해준다. 눈이 얼어붙어 판독이 불가능한 삼각점(방위표시)이 있다. 다른 한켠에 군부대 경고판이 서있다. 조망은 그런대로 양호하다.
봉우리 밑이 군용 벙커인데 성지봉 전체를 밀고 벙커를 만든 후 다시 그 위에 흙을 덮은 형태다. 성지봉에서 삼각점 뒤로 능선2~3m 가다가 왼쪽 90도 좌향 급경사 내림길 이어 가야 금물산 방향이다.성지봉 정상에서 금물산 방향으로 내려가는 구간이 절벽에 버금가는 급경사 구간으로 눈길이 미끄럽고 결빙되어 있어 아이젠 착용한다. 안전시설이나 밧줄도 없는데 눈과 얼음까지 덮여 있어 아주 조심스럽게 내려간다. 안부지나 오름길 올라서니 오래된 녹슨 군경고판 서있는 삼거리봉이다.[0.3km][25분]
3.1km 100분[삼거리봉](10;20)
녹슨 군경고판 서있는 공터봉이다. 유현리 치안센터 지나 연내교에서 올라오는 능선길과 만나는 삼거리봉이다.(cf 연내교에서 이 능선을 타면 성지봉을 왕복해야 한다.) 완만한 내림길 내려 오음산등을 조망 즐기면서 오름길 올라서니 한강기맥 갈림봉이다.[1.5km][55분]
4.6km 155분[한강기맥갈림봉](11;15)
성지지맥과 한강기맥이 만나는 봉이다. 태양열 집열판과 전등이 달린 스텐레스 기둥이 서있는 봉이다. 어떤 지도는 이곳을 금물산으로 표기한 지도도 있다. 좌측 내림 능선이 시루봉향 한강기맥 길이고 우측 능선이 금물산향 한강기맥 길이다. 성지봉 금물산 구간은 렛셀된 눈길이다. 능선길 이어가니 (11;19)이정표(금물산0.04km)만나고 곧 금물산 정상 이정목 서있는 금물산이다.[0.1km][5분]
4.7km160분 [금물산정상](11;20~23)
정상석은 없다. 4각기둥 상단에 금물산 정상 스텐레스판이 붙어있다. 기둥에는 누군가 매직으로 금물산 정상으로 표시해 두었다. 이정표(성지봉1.72km)도 서있다. 북쪽방향의 갈기산이 조망된다.
금물산 정상에서 동북쪽 방향의 한강기맥 능선을 따라 진행을 하니 (11;35) 이정표(금물산 0.51km)가 나타나고 다시 능선길 이어가니 (11;50) 이정표(삼마치8.63km/금물산0.97km)를 만난다. 다시 한강기맥 능선길 이어 782.9봉 직전 안부와 안부사이 작은 우측 능선에 도착한다. 날씨가 워낙 추워 당초 상창고개까지 계획을 접고 하산길에 든다.[1.5km][40분]
6.2km 200분 [782.9봉전 안부와 안부사이 우측 하산능선](12;00)
희미한 다람쥐 길따라 능선을 내려서니 임도 3거리다. 하산한 능선 좌우측으로 묵은 임도가 안부방향으로 가다가 끝나고 있다.
임도따라 내려 오니 지도에 나오는 넓은 임도를 만난다. 안밤골 계곡을 따라 긴 오지 임도길을 편안하게 트레킹하듯 내려온다.(12;40)학천산장을 지나고 (12;45)洞天堂을 임도 아래로 구경하면서 임도를 걸어나온다.
안밤골 계곡이 수량도 많아지고 너덜바위도 나타난다. 사방댐 표석도 지나고 밤골입구에서 6번국도 도착전 고마운 분 차 얻어타고 복지골입구 유현3리 마을 표지석앞 버스정류소에 도착 산행 마감한다.[4.5km][70분]
10.7km 270분[유현3리마을표지석앞 버스정류소](13;10)
동서울 터미널 가는 버스가 서는 원주횡성/창촌간 3거리 정류소입니다. 유현보건소 건물도 있고 겨울철이라 문을 열지 않은 식당도 2군데 보입니다. 홍천으로 연계는 쉽지 않아 횡성택시 콜(콜비포함17,000원)하여 새로 생긴 횡성터미널에 14;20 도착 서울가는 차시간 확인하고(17;30차 예매는 안됨) 근처(걸어서 7분거리 .몰라서 택시 탐) 축협이 운영하는 횡성 한우집에서 (설명절이 가까운 탓 고기값이 비쌉니다.)안창살 .살치살 한우 구입 정갈한 상차림 받아(셋팅비별도. 주류대별도) 금물산 과 성지봉 산행을 자축합니다.
육회도 추가로 주문 즐기고 원주로 이동 횡성(16;05)~원주(16;40)~서울(영동선) 경부고속버스 터미널(18;20)~9호선 (19;15)귀가 합니다.
08;40 6번 국도 유현1리 버스정류소에 내리면 길 건너 (구)공판장 건물이 보이고 마을회관은 공판장 건물뒤에 가려 잘 안보입니다. 우측으로 약50m 정도에 유현치안센터 (파출소)가 있습니다.
08;40 유현1리 마을회관(느르개 경로당) 입니다. 들머리는 건물의 왼쪽에 있습니다.
능선길 이어가면 좌측으로 벌목지대가 나타나고 조망이 터집니다.
조망
09;40 덕갈고개 갈림 임도를 만나 임도를 따라 오릅니다.
09;45 성지봉 전 헬기장 입니다.
헬기장에서 우측 능선 조망입니다.
헬기장에서의 조망입니다.
조망입니다.
조망
성지봉 직전 암봉 입니다.
09;55 어느 선답자가 남긴 성지봉 표지판입니다.
성지봉 인증사진 입니다.
성지봉 삼각점 입니다.
급경사 하산길을 내려서 뒤돌아 본 성지봉 모습입니다.
10;20 삼거리봉 녹슨 표지판입니다.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능선에는 눈이 많습니다. 오래전 선답자가 럿셀한 탓으로 걷기는 편합니다.
11;15 한강기맥/성지지맥 분기봉입니다. 어떤 지도는 이곳을 금물산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태양열 집열판과 조명등이 서있습니다.
11;19 능선을 조금 더 진행하면 이정표(금물산0.04km)를 만납니다.
11;20 금물산 정상 표지목이 서있는 금물산 정입니다. 한강기맥 이정표(성지봉1.72km)가 서있습니다.
인증사진 입니다.
금물산 정상 이정표(성지봉1.72km) 입니다.
11;20~25 금물산 정상 표지목입니다.
11;35 이정표(금물산0.51km)를 만납니다.
11;50 이정표(삼마치8.63km/금물산0.97km) 입니다.
12;00 782.9봉 직전 안부사이 작은 능선을 타고 내려 섭니다.
12;10 묵은 임도 3거리에 내려 섭니다. 이후 임도따라 내려옵니다.
임도 차단기도 만납니다.
12;40 임도 따라 내려 오면 좌측으로 학천산장 입니다.
12;45 임도 우측 아래 洞天堂 입니다.
유현리 사방댐 안내판입니다.
버들강아지가 물이 올랐습니다. 영하11도에도 봅은 오고 있습니다.
내려온 안박골 계곡을 뒤돌아 봅니다.
13;00 이정표 (학천산장 몸이웃는집1.5km/동천당1.3km/바라기펜션1.2km)입니다.
13;10 지나가는 차 얻어타고 유현3리 버스정류소 유현 보건소 앞 ( 창촌/횡성원주 3거리 도로)에서 산행 종료 합니다.
유현3리 마을표석입니다. 횡성택시 콜(콜비포함17,000원) 하여 횡성으로 이동 횡성한우로 뒷풀이 합니다.
산행지도 1
산행지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