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봉(695.3m).무등산(無騰山620m).왕박산(王朴山597.5m).풍류산(659m).옥녀봉(512m)/강원 영월. 다시가고 싶지 않은 산
산행일자;2019년 2월28일(목요일). 날씨;맑음. 산행거리;약12.3km. 산행시간약;5시간50분
교통편;새마포산악회
비용;18,000원(하산후 찰밥과 주류 제공 비용 포함)
산행코스;토고3리 마을회관(394m)-철다리-교회-가평윤씨묘-물탱크.임도-철탑-승리봉(696.1m)-급경사 내리막-임도횡단-철망-위.아래철탑-무등산(620m)-절골-임도-이정표(왕박산 향)-통불사 삼거리-왕박산(597m)-조을치.돌탑-서문리- 풍류산(659m)-시멘트도로. 조림지-옥녀봉(513m)-급경사 내리막-도로-토고3리 마을회관
■무등산(無騰山620m)은 '없을 무(無)'에 '베낄 등(謄)'이라는 독특한 이름을 가진 산이다. 충북 제천과 강원도 영월군 남면의 경계에 솟아 있는 무등산(無騰山)은 귀에 익숙한 산이 아니다. '무등산'이라고 하면 전남 광주시 북구와 화순군 이서면, 담양군 남면과의 경계에 솟아 있는 무등산(無等山·1,187m)을 먼저 떠올린다.
무등산은 왕이 고달픈 피난살이로 시름시름 앓으니 신하들이 무등을 태우고 다녀서 무등산이라 했으며, 가창산은 왕을 위해 신하들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춰 연회를 베풀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또한, 무등산은 산세가 춤추는 소년의 형상으로 무동산(舞童山)이라 했다고도 전하나 지금 현재 전해지는 한자마저 달라 확인할 길이 없다. ‘무담산’이라고도 한다.
■왕박산(王朴山597.5m)은 왕씨에서 박씨로 성을 고친 의흥 박씨와 관련이 있는 곳이다. ‘의흥박씨세보‘에 따르면 시조 박을규(朴乙規)는 본래 왕씨로, 고려 말에 병부 상서를 지낸 인물인데, 이성계(李成桂)가 조선을 개국하자 멸족의 화를 피해 단양의 영춘 차의곡(지금의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에 숨어 살았다. 이곳에서 본디 성씨인 왕씨를 버리고 외가의 성을 따서 박씨로 고쳤는데 사람들은 이들을 왕박씨라 하였다.
이후 4세손 박근이 제천시 송학면 무도리 음지만지실로 옮겨와 은거하면서 뒷산을 자신의 성을 따서 왕박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만지실에는 왕박씨들이 이주하여 서당을 열었다는 서당댕이, 병자호란 중에 식구들과 음지만지실 뒷산 고개 넘어 피난했다는 승지골, 왕박산 중턱에 피난했던 자리로 전하는 북바위, 자연 마을인 삼박(三朴)의 자취가 전해 온다.
왕박산은 북쪽에 청룡산·송학산(819.1m), 북동쪽에 무동산(620m), 남쪽에 조올치(450m)·호명산(475m)·금수산(1,015.8m), 남동쪽에 가창산(819.5m), 동남쪽에 삼태산(864m)·갑산(776.7m), 남서쪽에 구진산(485m)·성산(426.7m)·국사봉(632.3m), 서쪽에 박달산(691m)·주유산(902.7m)·구학산(971m), 북서쪽에 감악산(885.9m)이 있다.
■승리봉(696.1m).풍류산(659m).옥녀봉(512m)은 충북 제천과 강원도 영월군 남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무명봉에 그이름이 붙은 산이다. 승리봉은 국립지리원 지도에 나오는 산이다. 무등산의 동쪽에 있는 봉우리는 지형도상에서 무명(無名)봉이었으나 국토정보지리원에서 발행한 2003년도 지형도에는 승리봉(696.1m)이라 표시되어 있다. 그동안 이 무명봉은 마을 사람들의 주장에 따라 무등산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지형도상의 무등산 위치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2019.2.28(목)(07:00) 합정역 8번출구 50m전방 KB손해보험 앞에서 새마포산악회2호차(cf.1호차는 지맥팀)에 탑승합니다. (07:20) 양재역 1번출구 20m 수협은행 앞에서 (07:40) 경부고속도로 죽전간이정류장에서 대원들 탑승하니 45인승 거의 만차입니다.
김귀남회장님 74주년 생신날이라 시루떡이 나누어지고, 전창완총무 사모님 유옥환 여사님이 준비한 호박죽. 박성자 여사님이 준비한 왕포도가 대원들에게 골고루 배분됩니다. 축하드립니다. 그리고 정성에 감사드립니다.
차는 중간 휴게소에서 약 10분간 휴게시간 갖고 김철경님이 준비한 생일케익 놓고 생일 축하 행사를 끝내고 산행들머리로 이동 (09;35) 토고3리 마을회관 앞에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토고3리 마을회관](09;35)
마을안 2차선 포장도로 따라 세심정.기념비를 지나고(09;39) 철다리를 건너니 교회다. 데크길 따라 우측으로 진행하여 오르니(09;50) 가평윤씨묘다. 과수원 안길을 따라 (09;56)물탱크 서있는 임도에 도착 실질적인 산행길에 든다.
급경사 숲길을 따라 한전철탑을 바라보고 (10;04) 한전철탑1에 올르고 다시 급경사 오름길 올라 (10;21)한전철탑2를 통과한다. 주능선에 붙어 우향 능선 오름길 올라서니 승리봉이다.[2.2km][55분]
2.2km 55분 [승리봉](696.1m)(10;30~10;32)[2분]
2011년 새마포산악회가 부착한 정상표지판이 오랜세월 승리봉을 지키면서 반긴다. 국립지리원 지도에 나오는 봉이다. (10;32)인증사진 남기고 승리봉에서 직진으로 조금진행 ㅏ 능선 분기봉에서 좌측으로 급경사 내리막을 조심스럽게 내려선다. 참으로 힘든 내림길이다. 겉은 녹아있고 속은 언 급경사 땅을 거의 개척으로 희미한 길따라 내려선다. 한 발자욱 내려서기가 조심스럽다. (10;55) 좌측능선을 향해 허리길로 이동하여 우측으로 능선따라 내려선다. (11;06) 능선이 점점 완만해지면서 지형을 검토하니 너무 우측으로 내려와 있어 좌측 능선에 붙어 내림길 내려 (11;22)시멘트도로에 무사히 내려선다. (cf.약1.2km 내려서는데 50분이 소요되는 최악의 난 코스다. 후답자는 부디 역코스로 잡기를~!!)
시멘트도로 따라 좌측 고개마루로 오르다가 고개마루 전 도로버리고 우측으로 숲길들어가 오름길 올라 17번 철탑이 있는 514봉 우측능선에 오르고 우측으로 잡목을 헤치면서 철망따라 올라서니 무등산(x619.5봉)정상이다.[2.3km][93분]
4.5km 150분 [무등산](619.5m)(12;05)
무담산. 무동산이란 이름을 가진 산이다. 정상은 안부처럼 넓다. 무등산정상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왕박산2.8km/절골2.4km)에 새마포산악회 정상표지판 매여있다. (12;05)인증사진 남기고 왕박산으로 향한다. 진행방향 오른쪽으로 간다. (12;14)독도주의 할 해발 600m 지점에 중요한 이정표(왕박산2.1km/절골1.3km/무등산0.7km)를 만난다. 이정표(왕박산2.1km)방향으로 좌측으로 틀어서 간다. 왕박산으로 가는 길에는 산불로 인해 곳곳에 나무가 쓰러져 있으며 검게 그을린 나무들과 함께 잡목이 우거져 있어 진해이 거추장 스럽다. (12;22) 오래된 산판길 임도 만나 임도따른다. (12;26) 이정표(왕박산0.9km/무등산1.9km)를 지나고 (12;41)송전탑이 나온다. 쉴 수 있는 너른 곳인 데다 그동안 가려졌던 시야가 트이면서 주변을 조망할 수 있어 좋다. 송전탑 지나 다시 잡목구간을 통과 하고 (12;41) 이정표(왕박산/통불사/무등산2.6km)를 만나고 이정표(왕박산) 방향의 오른쪽을 오르면 왕박산 정상이다. [1.6km][40분]
6.1km 195분 [왕박산](12;45~12;50)[5분]
검은 오석 왕박산 정상표지석 있다. 표고석에는 ‘왕박산 해발 597m’라고 쓰여있다. 정상표지목 겸 이정표(산불감시카메라0.7km/무등산2.8km)와 왕박산 유래 표시판 서있다.
약5분간 간식시간 갖고 이정표(산불 감시카메라0.7km)방향으로 내려간다. 앞을 가리는 잡목 숲을 뚫고 내려가면 왼쪽으로 밭이 나온다. (13;00) 이정표(조을치/통불사0.5/***)를 지난 (cf. 밭을 끼고 있는 길을 치고 올라, 길 따라 오른쪽 길로 돌아가면 비포장길이 나오고 산불감시카메라가 서있는 영월지맥 따라 좌측으로 능선따라 조을치로 가도 된다.) 안부에서 (13;04)밭 가운데로 난 임도따라 완만하게 내려서다가 다시 체력이 충전되어(하산을 접고 처음 계획대로 풍류산과 옥녀봉을 향한) 조을치로 연결되는 밭 가장자리로 편안하게 이동한다.[1.7km][23분]
7.8km 218분 [조을치](13;13)
이정표(가창산/왕박산1.7km/***)와 돌탑1기가 서있는 고개안부다. 왕박산 안부에 있는 조올치(일명 조리재)다. 조올치는 무동산, 왕박산, 삼태산이 삼각형으로 우묵하게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 조리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조올치와 가창산 사이에 제천 방향으로 나란히 솟은 산봉우리는 아래부터 차례로 1봉, 2봉, 3봉, 땀봉으로 부른다.
조을치 돌탑을 지나 오름길 오른다. 좌측으로 조망이 터지는 무명봉을 오르고 (13;22) 잠시조망즐긴다. 완만한 부드러운 능선길을 이어가면 임도가 좌측 산허리길로 시작되는 지점에 (13;26) 이정표(***/***/왕박산)을 만나고 아무런 표시없는 급경사 오름길을 힘들게 오른다. 서문리향 이정표 직전에 무명봉에서 영월지맥과 이별하고 풍류산을 향한 좌측능선으로 들어선다. 완만하게 전위봉에 오르고 좌측능선으로 들어서 북동향 능선을 탄다. 안부로 내려섰다가 오름길 올라 풍류산 정상에 선다.[1.7km][42분]
9.5km 260분 [풍류산](659m)(13;55)
김문암님이 부착한 정상 표지판이 걸려있다. 오록스맵이나 국립지리원 지도에는 무명봉인데 풍류산이란 이름을 얻은 내역은 알지 못한다.
인증사진 남기고 거친 내림길 내려 시멘트 임도를 건너 능선을 따라 진행 급경사 오름길 극복하여 650봉을 오르고 다시 급경사 내림길내려 안부에선다. 옥녀봉 오름길도 힘들지만 옥녀봉에서 급경사 하산길이 위험한 탓에 모두들 좌측 시멘트공장 방향으로하산길에 든다. 일단 전 대원들중 유일하게 짝궁과 둘이서 급경사 오름길을 올라 옥녀봉 전위봉 오르고 완만해진 오름길 이어가 마지막 급경사 오름길 극복하여 옥녀봉 정상에선다.[1.5km][50분]
11.0km 310분[옥녀봉](14;45)
정상석이나 정상표지판은 커녕 신기하게도 그 흔한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한장도 없다. 맷돼지움터 같은 얕은 구덩이가 있는 정상이다. 진행방향 조금아래 묘지가 있다.이 위험한 곳 묘지에 후손들은 왔다가는지~?
정상 소나무가지에 '배창랑과그일행=山君'들 표지기 한장을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묘지를 지나고 부터 좌측 우측 가운데 모든 능선이 거의 절벽수준이다. 한 발자욱 뗄대마다 지형지물인 나무를 잡을 수있는 곳을 택해 개척으로 일단 우측으로 급경사 내리막길 내려서 좌측능선으로 붙어 다시 우측 낮은 자세로 내려선다. 급경사가 좀 수그러들즈음 뒤따라 내려오던 짝궁이 밟은 돌덩이 2개가 운 좋게 앞뒤로 50cm 간격으로 갈라저 굴러내린다. 맞았으면 사망이거나 중상이다. 으악~! 소리와 함께 기적으로 재난을 피한다. (15;15)'입산통제 산림청 현수막' 걸려있는 다람쥐길을 따라 도로에 내려선다. 산림청 현수막이 걸려있는 곳을 내려온 것은 하산길을 잘 찾았다는 방증이다. 휴~! 안전하게 도로에 내려 섬에 하나님께 감사한다. [0.3km][30분]
11.4km 340분 [도로](15;15)
토고4리 마을회관관 토고3리 마을회관를 잇는 아스팔트 도로다. 좌측으로 도로따른다 내려온길을 더듬어 보니 신기하기만 하다. 가운데는 진짜 동굴이 있는 암릉 절벽이다. 눈비가 올때는 절대 삼가야할 코스다. 옥녀봉도 승리봉처럼 역산행을 하기를 권한다.
(15;17) 광산으로 오르는 도로 3거리 녹색펜스 옆에 표지기 한장 걸고 후답자가 오를때 도움이 되도록 배려한다. 아스팔트도로 따라 걷다가 지나가는 마음씨 좋은 동네분 차 얻어타고 토고3리 마을회관에 도착 산행종료한다. [0.9km][10분]
12.3km 350분[토교3리마을회관](15;25)
주정숙여사님이 건네주는 맥주2잔 연거푸 받아 마시고 기다리는 차안에서 대충 짐정리하고 옷보따리 들고 가사님이 준 물한통 들고 근처 비닐하우스에 들어가 땀에 젖은 머리와 몸 대충 씻어내고 새옷 갈입으니 살 것 같습니다.
기사님이 제공한 삼겹살에 유옥환 여사님이 끓인 김치찌개 넉넉히 배급 받고 이복순여사님이 퍼다준 새마포산악회표 밥에 집에서 준비해 온 반찬으로 식탁꾸리고 권영일사장님이 아껴둔 막걸리 1병으로 메이트끼리 건배 랍니다. 술이 부족해 먹다남은 소주도 반컵 더 합니다.
(16;05) 식사 끝나 식탁정리 끝내고 토고3리 마을회관 농산물집하장 을 출발 귀경길에 듭니다. (17;25)덕평휴게소에서 10여분 휴게 시간 갖고 (18;20)죽전(18;55) 한남역에서 대원들 내리고 엄청 막힌 강변도로따라(19;55)합정역에 도착합니다. 다른날도 아닌 생신날을 축하해 드리고 싶어 새마포산악회 김귀남 회장님과 주정숙여사님 모시고 치맥집에서 프라이드치킨 안주에 500cc 생맥주 몇잔씩하고 (21;40) 합정역출발 (21;42)당산역에서 9호선 타고 (21;57) 가양역 도착 (22;10) 귀가합니다.
두번은 가고 싶지 않은 생애 최악의 산들 특히 승리봉과 옥녀봉의 하산길은 잊지 못할 듯 합니다.
09;35 토고3리 마을회관 입니다.
09;37 마을도로 입니다.
09;37 마을도로 따릅니다.
09;39 우측으로 철다리를 건넙니다.
09;390 철다리에서 바라본 가야할 승리봉과 멀리 조을치 입니다.
09;42 토교제일교회 입니다. 교회마당 우측 테크길을 따릅니다.
09;50 파평윤씨묘지 입니다.
09;56 물탱크1 입니다.
인증사진 입니다.
09;56 물탱크.임도 에서 좌측산길로 진입 합니다.
10;04 한전송전 철탑을 지납니다.
10;21 한전송전철탑2를 지납니다.
10;30 승리봉 정상 표지판 입니다.
10;30~10;32 승리봉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0;30~10;32 승리봉정상 좌로부터 해든누리님.이명남대장님.박만고님.새롱신분(김오영님?).초이스유재학님.서정산님.박승규님 입니다.
10;55 급경사 내림길에서 좀 덜 급해보이는 좌측능선으로 허리길 이동중입니다.
11;06 급경사 내림길이 조금 누그러듭니다. 해든누리님.박성자님.**님입니다.
11;25 임도길에 내려섭니다. 앞 박성자님. 뒤 새로오신 김신아님 뒷모습 입니다.
12;05 무등산 정상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왕박산2.8km/절골2.4km)에 새마포산악회정상표지판입니다.
(12;05) 무등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2;14)독도주의 해야할 해발 600m 지점에 중요한 이정표(왕박산2.1km/절골1.3km/무등산0.7km)에서왕박산 방향입니다.
(12;22) 오래된 산판길 임도 만나 임도따릅니다.
(12;26) 이정표(왕박산0.9km/무등산1.9km)입니다.
12;38 송전탑을 지납니다.
12;41 잡목구간입니다.
(12;41) 이정표(왕박산/통불사/무등산2.6km)입니다.
12;45 왕박산 정상석입니다.
12;45 왕박산 유래판입니다.
12;45~12;50[5분]정상표지목 겸 이정표(산불감시카메라0.7km/무등산2.8km)과정상석을배경으로 인증사진입니다. 5분간 간식시간 갖습니다.
(13;00) 이정표(조을치/통불사0.5/***)입니다.
(13;04)밭 가운데로 난 임도따라 완만하게 내려서 갑니다.
13;13 조을치 돌탑입니다.
(13;13) 조을치 이정표(가창산/왕박산1.7km/***)입니다.
13;22 조망1
13;22 조망2
13;23 조망3
(13;26) 이정표(***/***/왕박산)입니다.
(13;55) 풍류산 정상 표지판입니다. 대구김문암님 감사합니다.
13;55 풍류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45 옥녀봉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노란 '배창랑과 그일행 =山君들' 표지기한장이 전부입니다.
14;45 옥녀봉 정상 조금아래 묘지입니다. 이후 하산길은 개척 직벽 수준의 급경사 길입니다.
15;15 입산금지 산림청 현수막입니다. 제대로 내려온 듯합니다.
15;15 도로에 내리기전 잡목구간입니다.
15;15 도로에 내려 섭니다. 우측은 토교4리마을 향이고 좌측이 토교3리마을 향입니다.
15;16 사진상은 별로 급경사로 안보입니다.ㅎ
15;17 동굴이 있는 절벽을 피해 내려온 것이 신기합니다.
15;17 도로따릅니다.
15;25 토교3리마을회관으로 원점 회귀합니다.
15;25 토교3리마을회관 옆 토교농산물집하장 에 이상기님. 이옥분님.이복순님 기리고 식사중인 대원들 입니다.
15;25 토교3리마을회관 옆 토교농산물집하장 에 식사중인 이명남대장님 이학수님 그리고 대원들입니다.
산행지도
산행지도2
e-동아지도
오록스맵(MULTI-50)지도
트랙입니다.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백산(兩白山664m).슬음산(瑟吟山671.1m)/충북단양 (0) | 2019.03.08 |
---|---|
부채산(406.7m).선자산(扇子山519m).계룡산(鷄龍山567m)/경남 거제 (0) | 2019.03.04 |
태봉산(560m). 덕령산(570m). 최전방오지의 산. 북한 오성산 조망 산행 /강원 철원 (0) | 2019.02.25 |
관봉(무암산529.6m).천봉(495m).경심령.524m.매봉(422.7m)/충북 제천시 청풍면 (0) | 2019.02.22 |
건암산(1)(995.4m).건암산(2)(1036m).우암산(1175m)표지석.고토일산 무명봉(1011m).두치산(1)(859m).두치산(2)(사북두치산990m)/강원 정선 사북 (0) | 2019.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