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암산(1)(995.4m).건암산(2)(1036m).우암산(1175m)표지석.고토일산 무명봉(1011m).두치산(1)(859m).두치산(2)(사북두치산990m)/강원 정선 사북
산행일자;2019년2월 17일(일). 날씨;맑음. 산행거리;12.5km 산행시간;4시간50분.
교통편;뉴서울마운틴 클럽
비용;35,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 비용포함)
산행코스;고한중고교-당목방향-산불감시초소향 목책계단등로-북능선-삼거리-건암산(1)995.4봉-건암산(2)(1036m)-동능선-우암산(1175m)정상석-북동능선-안부-좌측 옛길 임도-반야사진입아스팔트도로-종점-가래골 우측도로-고토원-밭-주능선-고토일산(1011m)-서부오지개척능선-고토재-(사북)두치산(2)(990m)-이정표(두치산정상0.15km/범바위골2.45km)-삼각점봉-두치산(1)(859m)-서부능선-사북호암동
■건암산은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에 있는 산이다. 지도 마다 높이와 위치가 다르다. 국립지리원 지도나 영진 지도에는 나오지 않고 네이버나 다음지도에 나온다. 지도상 건암산(1)은 (995.4m) 펑퍼짐 평면으로 정상으로 인정 받기가 어렵게 보이다보니 건너편 1036m봉을 건암산(2)(1036m)로 주장하는 사람도있다.
■우암산(牛岩山1348m)은 금대봉 아래있는 산(1348m)인데 엉뚱하게도 1175m무명봉에 정상석을 세워 혼란스럽게 만든 산이다. 어떻게 4km도 안떨어진 곳에 둘레길을 만들면서 1175m무명봉에 우암산 정상석을 세운 것인지 정선 군청의 무모함에 놀랄뿐이다. 더구나 지도상의 우암산(牛岩山1348m)은 정상석이나 표지판 하나 없는 자연생태보전지역안에 있는데~~!
우암산(牛岩山1348m)은 금대봉(金臺峰1418m) 정상에서 1km 북쪽의 펑퍼짐한 산이다. 이산은 소의 등처럼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여러종류의 식물의 보고다. 우암산은 1993년 금대봉과 대덕산 일대의 126만평을 “자연생태보전지역”으로 지정한 곳에 인접한 산이다. 어쩌면 우암산은 금대봉과 대덕산의 식생보다 더 아름답고 훌륭한 곳일지 모른다. 봄부터 늦가을 까지 우암산 산상에는 꽃의 향연이 펼쳐진다. 그러나 이산의 정확한 명칭과 위치는 의외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져 금대봉 북쪽에 있는 봉곳한 봉오리 정도로 알고있다. 정상에는 그 흔한 정상석도 삼각점도 없다. 어떤 지도에는 금대지맥이 갈라지는 1218m봉을 우암산으로 표시하기도하고 어떤 지도에는 좀더 진행 노목지맥이 갈라지는 봉 1348m봉을 우암산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후자 1348m봉이 우암산이다.
■두치산은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에 위치한 산이다. 영진지도상 두치산(1)(859m)과 정선군에서 이정표상 주장하는 두치산(2)(990m)의 위치가 다르다. 정선군에서 두치산 이정표를 만들고 세우면서 정작 두치산(2)(990m)에는 의자 2개를 만들어 놓았을 뿐 정상석이나 정상 표지목 아무것도 없다.
■고토일산 무명봉(1011m)은 노목지맥111.31m 삼거리봉에서 좌측 서부능선으로 흘러내리는 능선상 삼각점이 있는 1011m 무명봉인데 산아래 고토일 마을이름에서 차용해 작명한 산이다.
2019.2.17(일)고은석대장님이 참여 하여 (07;15)신논현역에서 대원고속버스에 함께 탑승합니다. 중간 금봉이 휴게소가 문을 닫아 옆 휴게소에서 약30분 휴게시간 갖고 고대장님의 자세한 산행지 설명 듣습니다.
사전 답사하시고 정상표지판 걸고 표지기 달아 오지산 길을 안내를 해주시는 이런 훌륭한 산악인은 다시는 없을 듯 싶습니다. 항시 감사 합니다.
고한중고교 정문앞에서 대원아파트향 도로를 버리고 ‘당목’향 도로를 따라 대형버스가 들어갑니다. 고한중고교 좌측담장이 끝나는지점에서 아스팔트도로는 끝나고 콘크리도로가 폭이 좁아 버스는 더 이상 진입하지 못합니다. 버스에서 내려 산행 진행 합니다.
0km0분[산불감시초소 진입등로 입구](10;55)
당초는 ‘당목’으로 가서 정규등산로를 택하려 했는데 콘크리트 도로 초입 우측으로 픽스로프 난간에 목책계단이 설치된 등로가 나온다. 위쪽 집으로 연결된 길 인줄 알고 잠시 직진으로 집을 비켜 오르니 집뒤 산중턱에 산불감시초소가 있고 길은 산불감시초소로 연결된다. 그냥 등로 따라도 될 것을 ~~
산불감시초소 뒤로 녹색 비닐망 울타리가 처져잇는데 비닐망을 걷어 올리고 나가 산길을 진입한다. 등로는 그런대로 희미하게 연결된다. 급경사 오르막길이다. 지그재그 오르니 펑퍼짐한 운동장 같은 건암산(1)(995.4m) 정상이다.[1.0km][20분]
1.0km 20분 [건암산(1)](995.4m)((11;15~11;20)[5분]
정상표지판도 정상석도 삼각점도 아무것도 없는 잡목이 자라는 펑퍼짐한 운동장이다.산세로 보아 정상이라고 생각하기가 힘들지만 이런모습의 정상이 어디 한두군데 던가. 두치산 정상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우측으로 내림길 내려 서니 원형철조망이 앞을 가로 막는다. 원형철조망을 좌측에 두고 능선길을 간다. 안부에 내려 서니 고압 감전주의 경고표지와 출입금지, CCTV설치 표지와 함백산 야생화 영농조합 법인의 경고판도 나타난다. 자작나무가 자라는 넓고 펑퍼짐한 안부에 위치한 산채재배단지 농원안에는 농막도 보이고 평상도 보인다.
안부3거리에서 이정표 표지목방향 따라 오름길 오른다. 오름길 오르면서 오록스맵 트랙이 기록되지 않음을 파악하고 새로 켠다.(1.5km/약40분은 수기로 기록해 넣어야 겠다) 실제 건암산(2) 정상이라고 주장 받는 (1035.9m)봉에 올라선다. [0.6km][15분]
1.6km 40분[건암산2.](1036m)(11;35)삼각점(판독불가) 있다. 해발고도 생김새등으로 지도상 건암산(1)이 아닌 실제 건암산(2)으로 인정받는 무명봉(삼각점/1036m)이다.건암산(2) 표지기 걸고 인증사진 남긴다.
좌측 미끄러운 내림길을 내려선다. 펑퍼짐 능선에서 처음으로(11;43) 이정표(당목/내려가는길)을 만나고 이정표 내려가는길 반대방향 우측으로 임도따라 진행한다. 같은 내용의 이정표를 또 만난후 (11;28) 이정표(당목2.3km)를 만난다. (11;59) 송림숲을 지나 잡 넝쿨의 저항이 심한 길을 뚫고 우암산 정상석봉에 선다.[1.5km][35분]
3.1km 75분[우암산 정상석](1175m)(12;10)
이곳1175m 무명봉에 우암산 정상석을 세운 정선군의 처사를 이해치 못한다. 인증사진 남기고 Back 방향으로 전면에 송전탑을 향해 등로를 이어간다. (12;14) 송전탑을 통과 하여 무명봉을 향한 오름길 오른다. 무명봉을 넘어 능선 갈림봉에서 좌측으로 급경사 내림능선길을 타고 내려선다.(12;30) 능선 4거리안부다.[1.2km][20분]
4.3km 95분 [4거리안부](12;30)
(cf 우측은 소두문동 향이다.) 직진1186봉을 지나 폐헬기장에서 노목지맥을 타고 3거리봉에서 노목지맥 버리고 두치산 능선을 탈 의미를 못느낀다.) 좌향 옛길따라 내려선다. (12;36) 낙엽송 숲을 지나고 묵밭을 지나 (12;42) 반야사 오르는 아스팔트 1차선 도로에 내려서고 (12;50)고토일길/반야사입구길 3거리에 도착한다.[2.0km][20분]
6.3km 115분 [고토일길/반야사입구길 3거리](12;50)
산악회버스가 날머리로 생각하고 대기중이다. 고토일길 도로따라 우측 가래골로 들어선다. (12;50)길건너 하이하늘펜션도 지나고(12;56) 고토원 입간판도 만나면서 좌측 높은봉 고토일산(1011m)을 올려다 보고 (13;00)고토일산을 지난 안부를 택해 오름길 오른다. (13;32) 밭 가장자리를 택해 조망즐기면서 건계곡입구에 선다. 좌측 능선길은 고토일산을 바로 오르는 능선이고 우측 게곡길은 잡목의 저항이 있지만 오를만 하다. 마지막 힘든 오름길 오른다. 노목지맥에서 오는 능선에 붙는다.[1.3km][40분]
7.6km 155분[주능선](13;30~13;35)[5분]
약5분간 간식 먹으면서 휴식시간 갖는다. 우측으로 좋은길 따라 완만하게 오르니 1011봉 무명봉 고토일산이다.[0.2km][10분]
7.8km 170분[고토일산](1011m)(13;45~13;50)[5분]
삼각점(판독불가)있고 나무가지에 고토일산 정상 표지판 걸려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조망 즐긴다.
내리막길이 조심스럽다. 안부 고토재를 지나 오름길 우측으로 벌목이되어 조망이 뛰어난 능선을 지난다. (14;16~14;19) 조망즐기면서 돌들이 거칠어 진행 속도를 내기 어려운 능선길을 지난다.
바위암봉에 오르고 능선길 이어가 (14;37) (사북)두치산(2) 정상에 선다.[1.6km][47분]
9.4km 222분[(사북)두치산(2)](990m)(14;37~14;50)[13분]
서울마운틴클럽에서 부착한 두치산 정상표지판이 나무에 걸려있다. 공터에 긴장의자 2개가 있는 정상이다.
약13분 간식과 휴게시간 갖고 함께한 백곰님이 컨디션 난조로 지도상 두치산(1)(859m)을 탈출을 포기하고 안부에서 탈출을 결심한다.
내리막길 내려서는데 (14;56)이정표( 범바위골 2.05km/두치산정상 0.55km)를 만난다. 좌측 능선 분기봉을 지나고 (14;56)삼거리이정표(두치산 정상 0.10km/ 범바위골 2.50km/ 산수빌아파트 0.75km)를 지나 내림길 내려 (15;00) 이정표(두치산정상 0.15km/범바위골 2.45km)안부에 내려선다.
백곰님 마침 뫼사랑님 만나 안전하게 탈출하고 직진으로 나무로 막아논 직진능선을 힘들게 오른다. 거의 직벽수준이다. 힘든 오름길 극복하여 (15;08)삼각점봉에 선다.[0.5km][18분]
9.9km 253분 [삼각점봉](15;08)
카메라가 얼어서 삼각점 영상이 흐리다. 우측으로 고속도로같이 좋은 길을 달리다싶이 빠른 걸음으로 진행한다. (15;20)지도상 두치산 정상에 도착한다.[1.0km][12분]
10.9km 265분 [지도상 두치산(1)정상](15;20~15;24)[4분]
의자 2개(그중 1개는 파손됨) 가 놓여있고 선답자님들의 표지기가 정상임을 말해줄뿐이다. 故한현우님의 정상표지판이 걸려있다.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카메라작동 때문에 약4분간 시간 보내고 인증사진 남긴다. 편안한 길따라 서둘러 하산길에 든다. (15;33)이정표(범바위골 0.35km/두치산정상 2.25km)와 (15;34) 이정표(범바위골 0.30km/두치산2.30km)이정표를 지나 돌계단을 밟고 목책계단을 밟아 범바위골 도로날머리에 도착한다.[1.1km][16분]
12.0km 285분 [날머리 두치산 등산로입구](15;40)두치산 정상까지 2.6킬로미터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안내도를 찬찬히 보지만 정상표시가 없습니다. 인도 따라 (15;45) 산악회가 지정한 ‘마루터 식당’으로 이동 산행종료 합니다.[0.5km][5분]
12.5km290분[마루터식당](15;45)
마침 고토일동에서 산악회버스가 도착되어 대충 짐 정리하고 옷보따리 들고 식당 화장실에서 머리감고 수건에 물 뭍혀 땀 닦아내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차안 냉장고에 막걸리를 꺼내오지를 못했습니다. 마침 soongan님이 영월막걸리1병을 제공해 주시는 바람에 그리고 신명호선생님이 준비해온 막걸리 1병을 받아 서울마운틴 클럽이 제공하는 청국장 백반에 테이블메이트끼리 건배 합니다.
(16;30) 사북을 출발(18;05)문막휴게소에서 휴게시간 갖고 (19;35)복정역도착(19;44)석촌역에서9 호선 환승하여(20;10) 염창역에 내려 명태찜 코다리백반집이 문 닫아 있어 옆집 뽕나무 사브사브집에서 저녁해결하고 (21;18)염창역 출발 (21;25) 가양역 도착 (21;35) 귀가 합니다.
10;55 고한중고등학교 좌측 담장 지난 지점 (당목 가기전)에서 산으로오르는 등로를 발견하고 등로 따라 오릅니다.등 로는 산중턱 밭 가장자리에 자리한 산불감시초소에서 끝납니다. 이후 희미한 산길따라 급경사 오름길 오릅니다.
11;15 문정남 선생님 표지기입니다.
11;15 배창랑과 그일행 표지기입니다.
11;15~11;20[5분] 건암산1.(지도상 건암산995.4m) 정상 표지기입니다.
11;15~11;20[5분] 건암산(1).(지도상 건암산995.4m)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23)안부경고판입니다.
(11;23) 자작나무 숲입니다.
11;25 자작나무 숲 속 화장실입니다.
11;25 11;25 자작나무 숲속 산림집도 보입니다.
11;35 삼각점봉 실제 건암산(2) (1036m) 정상 삼각점(판독난해) 입니다.
11;35 삼각점봉 실제 건암산(2) (1036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35 삼각점봉 실제 건암산(2) (1036m) 정상 시그널입니다.
11;43 처음으로 만난 이정표(당목/내려가는길) 입니다. 2번 더 만납니다.
11;58 이정표(당목2.3km) 입니다.
12;14 소나무 숲입니다.
12;00 음지의 눈길입니다.
12;10 우암산 정상석이있는 1175m봉입니다.
12;10 우암산 정상석 배경으로 인증합니다.
12;10 하이원 스키장을 조망합니다.
12;10우암산 정상 모습입니다.
12;10 우암산 정상 산책로 안내판입니다.
12;14 한전송전탑을 보고 내려와 통과 합니다.
12;30 4거리 안부입니다.(우;소두문동/ 직진;노목지맥향/ 뒤; 우암산/ 좌; 옛길 고토일로향)입니다.
12;36 낙엽송 숲입니다.
12;42 반야사 오르는 도로에 내려 섭니다.
12;48 도로에서 본 두치산 능선입니다.
12;50 고토일로/반야사 갈림 3거리에 B코스팀을 기다리는 산악회 버스입니다.
12;50하이하늘펜션 입니다.
12;56 고토원 입간판입니다.
13; 00 고토일산을 오르는 초입을 찾아 봅니다.
13;00 고토일산 정상입니다. 우측 게곡길을 택해 주능선에 붙습니다.
13;30~13;35 주능선에서 잠시 휴식시간 갖고 좌측으로 부드러운 능선길 오릅니다.
13;30~13;35 주능선 표지기입니다.
13;45고토일산 정상 삼각점(판독불가) 입니다.
14;45~13;50 고토일산 정상 표지기들입니다.
13;45~13;50 고토일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3;45~13;50[5분] 고토일산 정상 표지판입니다.
14;16 조망1
14;17 조망2
14;18 조망3
14;18 조망4
14;19 조망5
14;19 조망6
14;32 조망7
14;32 조망8
14;33 조망 9
14;37 두치산 정상 표지판입니다.
14;37~14;50[13분] (사북)두치산(2)990봉 정상 표지기입니다.
14;37~14;50[13분] (사북)두치산(2)990봉 정상 인증입니다.
(14;56)이정표( 범바위골 2.05km/두치산정상 0.55km)입니다.
(14;56)삼거리이정표(두치산 정상 0.10km/ 범바위골 2.50km/ 산수빌아파트 0.75km)입니다.
(15;00) 안부이정표(두치산정상 0.15km/범바위골 2.45km)입니다.
15;08 삼각점봉 삼각점(판독불가) 입니다. 카메라가 얼어 사진이 영 아닙니다.
15;10 정선군 두치산 숲길 안내판입니다.
(15;18)이정표(범바위골0.95km/두치산 정상1.65km)입니다.
15;20~15;24[4분] 지도상 두치산 (1).故한현우님의 정상표지판입니다.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5;20~15;24[4분] 지도상 두치산 (1).셀카인증사진입니다.
(15;33)이정표(범바위골 0.35km/두치산정상 2.25km)입니다.
(15;34) 이정표(범바위골 0.30km/두치산2.30km)입니다.
(15;40) 날머리에서 사실상 산행 종료 하고 내려 온 두치산 등산로를 담아봅니다.
15;41 사북식당을 찾아 가는 길 모습입니다.
15;45 마름터 식당에서 산행종료 합니다.
산행지도1
산행지도2
e-동아지도
korea-x4d(MAPSFORGE) 지도
트랙입니다.
검암산1. 검암산2. 우암산표시석봉 .고토일산. 사복두치산. 두치산019-02-17 1132__20190217_1132.gpx
'산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봉산(560m). 덕령산(570m). 최전방오지의 산. 북한 오성산 조망 산행 /강원 철원 (0) | 2019.02.25 |
---|---|
관봉(무암산529.6m).천봉(495m).경심령.524m.매봉(422.7m)/충북 제천시 청풍면 (0) | 2019.02.22 |
노래산(老萊山743m)/경북 청송 (0) | 2019.02.15 |
축령산(622m).무래봉(565m)편백나무숲 트레킹 산행 /전남 장성군 서삼면, 전북 고창군 고수면 (0) | 2019.02.11 |
도덕봉(△543.3m).금마산(△434.9m).덕의봉(德義峰△491m)/충북 옥천 (0) | 2019.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