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봉(道德峰535.2m).백운봉(白雲峰536m).금수봉(錦繡峰530m).빈계산(牝鷄山414m) / 계룡산 국립공원자락 유성 수통골 새마포산악회 시산제 산행
산행일자;2017년 3월23일.(목). 날씨;맑음. 산행거리;9.3km. 산행시간;2시간45분.
교통편;새마포산악회. 비용;15,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이동 식사 및 주류 제공비용 포함)
산행코스;화산교-325봉-도덕봉(△535.2m)- 499m봉-가리울 삼거리-522봉-백운봉 삼거리- 백운봉(536m)-삼거리빽-지티고개-449봉- 금수봉(△530m)-성북동 삼거리-빈계산(414m)-주차장 원점산행
■도덕봉(道德峰535.2m)은 대전시 유성구와 공주시 반포면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도덕봉은 먼 옛날 이 골짜기에 도둑들이 떼지어 살았다는 ‘도둑골’에서 산 이름이 유래되었다 전해진다. 대전에서 공주가는 길목에 있는 '삽재'에는 사람의 왕래가 많아 도둑들이 기승을 부렸는지도 모르겠다.
도덕봉(道德峰535.2m)은 계룡산과 대전시 중간에 위치해 정상에 오르면 서쪽으로 전개되는 계룡산과 동으로 펼쳐지는 대전시와 유성 조망이 일품이다. 계룡산 국립공원 경계선 밖으로 나와 있는 도덕봉은 시내버스로 30분 안팎이면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사계절 대전시민들의 등산과 휴식장소로 인기 있다.
국립지리원 발행의 지형도에는 도덕봉(道德峰 535.2m)이라 표기되어 있으나 마을 주민들은 흑룡산(黑龍山)이라 부른다. 이 산은 도덕봉과 한줄기인 백운봉(白雲峰 536m), 금수봉(錦繡峰 530m), 빈계산(牝鷄山 414m)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덕봉 정상 남릉은 서면이 50-100m의 암벽을 이루고 암릉 끝에는 커다란 수통굴이 있다. 일제때 구리를 캐던 곳으로 추정되는 구리골을 경유하여 수통굴로 가면 굴속에는 무속인들의 움집이 한채 있고 굴속 끝에는 작고 맑은 샘이 있어 산행길의 쉼터로 그만이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주변 숲에 가려져 시야가 좁고 트인 경관을 구경키 어렵다.
주변에 갑사, 동학사, 마곡사 등의 유명한 사찰과 백제무녕왕릉, 공주 박물관 등 백제 문화권이 불과 30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산줄기의 흐름은 금남정맥인 계룡산 쌀개봉에서 분기한 관암지맥이 관암산(526m)으로 이어져 동으로 백운봉(536m)을 지나 갈라져 동쪽으론 금수봉, 빈계산, 북쪽으론 도덕봉을 거쳐 삽재고개, 우산봉(573.8m)등을 지나며 충청남도와 대전광역시 경계를 이룬다.
■백운봉(白雲峰536m)은 계룡산계에 속하는 봉우리로 충청북도 공주시와 대전광역시가 만나는 남동쪽 경계에 있는산이다. 동쪽으로 금수봉과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관암산(冠岩山526.5m)과 이어지며, 북쪽으로는 금강의 지류인 용수천이 흐른다. 지질은 복운모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계룡산국립공원의 남쪽 경계에 해당하여 도덕봉·빈계산·금수봉과 더불어 등산객들이 즐겨 찾는 봉우리이기도 하다. 서쪽에 32번국도가 지나가는 길이 2㎞의 계룡산 관통도로 터널이 놓여 있다.
■금수봉(錦繡峰530 m)은 계룡산 천황봉에서 뻗어나온 산줄기가 민목재를 지나서 백운봉(535.5m)에서 두갈래로 갈라져 오른쪽에 금수봉을 왼쪽에 도덕봉을 빚어 놓았다. 이 같은 명산의 정기를 이어받은 금수봉은 정상에 올라서서 사방을 내려다보면 주위의 풍경이 비단에 수를 놓은 것 같다고 하여 금수봉이라고 부른다.
금수봉은 북쪽의 도덕봉에서 이어진 산줄기가 475미터 봉과 백운봉을 이으며, 수통골을 끼고 돌아와서 솟구친 봉우리로 사면이 가파른 비탈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 낮아졌다가 암닭산(빈계산)을 일으킨 뒤, 남쪽으로 달리며 용바위, 범바위등의 명소를 만들고 명산 구봉산으로 넘어간다.
■빈계산(牝鷄山414m)은 대전의 서부 학하동보다 더 서쪽에 위치한 산이다. 묘하고 어려운 이름을 가진 산이다. 산 모습이 암탉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빈계산 아래가 계산동이다. 빈계산(牝鷄山414m)은 마한시대 때 큰 부족사회 국가가 있었다 전해진다. 산자락에 당시 성터와 우물터가 남아있다.
■수통골;유성 골프장 뒤의 도덕봉과 금수봉 사이를 비집고 수통골이 자리잡고 있다. 이 수통골은 도덕봉의 까마득한 바위벽과 금수봉의 무성한 숲 사이에 놓여 있어 그 경관이 아름답다. 대전의 수통골 지구는 계룡산 국립공원내 동쪽에 위치하여 대전시민들의 뒷동산 역할을 하며 도덕봉(535.2m),금수봉(532m),빈계산(414m)으로 둘러쌓여 원점회귀 산행이 가능하고 계곡의 자연관찰로가 있어 웰빙 휴식처로 각광을 받는곳이기도 하다.
2017.3.23(목).06;30 합정역8번출구 KBG생보사 앞에서 새마포산악회2호차에 탑승합니다. 새마포산악회 시산제 산행 날이라 1호차 지맥팀들도 지맥길을 하루 접고 함께 시산제 산행에 참여합니다. 1호차2호차 모두 만차 입니다. 지난주는 2호차가 1호차 따라가 진양기맥 산성산.한우산.자굴산.머리재 구간을 함께하였으니 1주일만에 다시 함께하니 모처럼 새마포산악회가 한식구 임을 확실히 보여줍니다.
중간 휴게소에서 10분간 휴게시간 갖고 산행들머리 수통골 공영주차장에 (09;10)경도착 시산제 행사를 준비하고 09;20~09;40까지 약20분간 식순에 따라 시산제 행사를 진행합니다.
시산제 축의금도 시산제 제상 돼지 입에 물렸고 당초 산행코스를 역순으로 진행한다고 어나운스 된 상태라 당초 산행코스대로 진행하고싶어 식순이 대충 끝나갈 무렵 09;40 살짝 빠져나와 혼자 산행길에 듭니다.
0km 0분[수통골 아래 공영주차장](09;40)
수통골 아래주차장을 나와 다리를 건너 좌측은 수통골 계곡천이 흐르고 일방통행 도로변 인도 따라 우측으로 계룡산 수통골 탐방지원센터를 지난다. 탐방지원센터에서 150여 미터 더 진행하여 진행하니 등산로 안내도와 이정표 서있고 우측 능선으로 도덕봉 오르는 들머리다.[0.5km][5분]
0.5km 5분[도덕봉 산행들머리](09;45)
이정표(도덕봉1.5km) 방향 오른쪽으로 도덕봉 오르는 목책계단길을 오른다.
오름길은 다소 급하며 거칠은 암릉길도 지나 도덕봉 전위봉 오르기전 조망터를 지나 전위봉 안부에서 북편이 절벽인 능선길로 진행한다. 진행방향 우측으로 유성구 지역이 내려다 보이고 진행방향으로 도덕봉 암봉우리가 올려다 보이고 가야할 능선도 길게 보인다. (10;00)이정표(도덕봉0.8km/금수봉4.9km/수통골주차장1.0km)지나면서 가야할 암봉인 도덕봉 절벽을 오르는 철계단과 중간에 설치된 전망대도 조망한다.도 덕봉 암릉의 절벽과 옥녀봉 사이로 멀리 갑하산과 우산봉이 조망된다. (10;10)도덕봉 오르는 철계단이다.
(cf.옥녀봉은 도덕봉 오르는 철계단이 시작되는 곳 우측의 도덕봉 북방향 아래에 있는 선바위로 등로는 철계단을 오르는 곳 우측 출입금지된 금줄을 넘어야한다. 도덕봉 북방향의 암릉 절벽 옥녀봉에 대한 욕심이 발동하여 잠시 이탈 옥녀봉 왕복할까 고민하다가 포기한다.)
철계단은 암벽을 돌아 오르는데 계단이 없을때의 오름은 어땠을지 상상만으로도 전율을 느낀다. 철계단 중간에 설치된 전망대 윗쪽으로 도덕봉 정상부위도 보인다. 전망대에서 까칠한 도덕봉의 암릉이 바라보인다. 아래로는 유성CC와 유성구 일부가 조망된다. 수통골에서 올라온 능선이 앞으로 보이고 우측 아래는 수통골 계류천 양 옆으로 진입,출 일방통행인 차도와 보도가 보인다. 전망대 맞은편 앞쪽으로 좌측의 빈계산과 우측의 금수봉이 아름다운 풍광이다.
도덕봉 암봉은 철계단과 밧줄구역으로 돌아 오른다. 우측의 옥녀봉이 눈 높이로 보이고 우산봉, 금병산 능선이 하늘금으로 보인다. 오랜 계단길이 끝나고 작은 돌탑들이 쌓인 공터봉을 지나 (10;20) 이정표(빈계산5.4km/금수봉4.1km/수통골주차장1.8km)를 지나 우측으로 몇 발자욱 옮기면 도덕봉 정상이다. [1.5km][37분]
2.0km 42분[도덕봉](흑룡산535.2m)(10;22~10;25)[3분]
도덕봉(흑룡산)정상은 자연석으로 된 정상석이 있고 한켠에 정상표지목겸 이정표(거리울삼거리0.8km/삽재1.6km/수통골1.5km)와 삼각점(판독불가) 이 있다. 금수봉과 빈계산 방향은 이정표(가리울삼거리0.8km )방향이다. 셀카 인증사진 남기느라 시간 보낸다.
가리울 3거리 방향으로 능선길 이어간다. 지근거리에 있는 자그마한 헬기장도 지나 진행방향 좌측 수통골 방향이 절벽인 능선길도 지난다. 굴골고개 전망처에서는 가야 할 빈계산과 금수봉이 좌측으로 보이고 아래로는 수통골 합수점이 내려다 보인다. 우측으로는 지나온 도덕봉 능선과 하늘금을 이루는 계룡산 능선이 길게 늘어져 보이며 암릉으로 뾰족하게 세 봉우리 장군봉이 조망된다. 능선내림길 내려 계룡산온천 지역인 지석골도 살펴보고 가리울 삼거리에 선다.[0.8km][10분]
2.8km 55분[가리울 3거리](10;35)
이정표(자티고개1.5km/수통폭포3거리1.9km/도덕봉0.8km)서있다. 자티고개 방향으로 진행한다. 동월고개로 내려가는 내림길은 다소 급하며 암릉의 작은돌기가 등로에 노출되어 조심스레 진행한다. 좌에서 우로 금수봉,백운봉,관암산이 희미하게 보인다.
황적봉 뒤로 계룡산 최고봉인 천황봉(845m)과 머리봉이 희미하게 조망된다. (10;47)이정표(금수봉2.6km/자티고개1.2km/도덕봉1.5km). (10;56)이정표(금수봉2.0km/자티고개0.6km/도덕봉2.1km)를 지나 자티고개 못미처 우측 백운봉 가는 등로는 부서진 목책이 있어 등로를 폐쇄한 흔적이 보이지만 등로따라 오르고 자티고개에서 금줄넘어 오는 길 만나 능선길 이어가 백운봉에 도착한다.[1.75km][33분]
4.55km 88분[백운봉](11;08)
백운봉에서 직진길은 관암산을 거쳐 계룡산 쌀개봉으로 연결되는 소위 관암지맥길이다.산불경방기간, 현재는 출입을 통제하는 등로로 백운봉정상 찍고 0.35km/6분 거리 정규등로에 다시 Back하기 위하여 금줄을 넘는다. 자티고개다.[0.35km][6분]
4.9km 94분 [자티고개](11;14)
이정표(금수봉1.4km/상세동마을회관2.6km/도덕봉2.7km) 서있다.
자티고개를 내려와 (11;23)좌측으로 수통폭포 삼거리 가는 금수봉 삼거리 이정표(금수봉0.6km/수통골폭포1.8km/자티고개0.8km)도 지나 등로변의 바위도 만나고 금수봉을 조망하고 아래로 낮게 빈계산과 대전시를 내려다보고 돌계단 길도 올라 (11;33)이정표(빈계산1.3km/금수봉3거리0.6km)를 지나 정자가 있는 금수봉에 도착한다.[1.4km][20분]
6.3km 114분 [금수봉](11;34)
정상은 정자가 차지하고 있다. 한켠에 금수봉 정상 표지목이 서있다. 이정표(빈계산1.3km/금수봉3거리0.6km)서있는 곳으로 나와 이정표 빈계산 방향 따른다.
금수봉에서 빈계산 가는 내림길은 다소 급한곳도 지나며 암릉지역은 나무데크 계단으로 안전하다. 내림길 나무데크 전망대 남방향의 조망으로 서대전 JC가 있는 방동저수지가 보이고 그뒤로 대둔산이 보일텐데 운무때문에 가늠할수가 없다. 진행방향 좌측으로 지나온 맞은편의 도덕봉이 암릉 절벽의 봉우리로 보이고 그옆으로 옥녀봉,그 뒤로 우산봉이 보인다. (11;48)쇠골재 성북동 삼거리 안부이정표(빈계산0.4km/수통골삼거리1.1km/방동저수지6.2km/금수봉0.9km)에서 직진하여 빈계산으로 올라간다. 쇠골재(성북동삼거리)에서 120여 미터의 고도를 힘들게 극복하여 빈계산에 도착한다.[1.3km][26분]
7.6km 140분[빈계산](12;00)
정상주위에는 의자, 평상 쉼터가 조성되어 있다. 정상표지목 겸 이정표(수통골 주차장1.8km/금수봉1.3km/성북동3거리0.4km)서있다. 빈계산에서 수통골 주차장 방향으로 내림길 150여미터 내려가면 전망장소다. 전망즐기고 정비된 돌계단길이 내림길이 되며 (12;18)이정표(수통골하주차장0.5km/수통골상주차장0.6km/빈계산1.2km) 서있는 갈림길에서 수통골(하)주차장 방향으로 진행하여, 주차장 뒷쪽인 빈계산의 들,날머리가 되는 출입지역을 나와 수통골 공영 하주차장에 도착 산행 종료한다.[1.7km][25분]
9.3km 165분[수통골 공영주차장](12;25)
주차장에 차가 없습니다. 1호차는 다리 켠에 보이는데 전총무님 전화 연결이 안됩니다. 1호차 있는 곳으로 나오니 2호차도 좀 떨어진 곳 도로 한켠에 주차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주차장에 대형버스 주차가 불가능했던지 유료였던지 이유가 있었던 모양입니다. 그런데 씻고 옷 갈아 입을만한 장소가 마땅히 없습니다. 부득히 버스 뒷자리에서 수건에 물 적셔 대충닦고 새옷 갈아입습니다. 산악회에서 4시간30분 너무 시간을 넉넉히 준듯 싶습니다. 일찍 도착된 분 들과 막걸리 몇잔 함께하고 맥주도 한두잔 합니다.
대충 1시50분경 후미들 도착되어 유성에 예약된 식당에서 새마포산악회에서 제공한 식사와 술(소주.맥주.막걸리)즐기고 (15;30)경 유성을 출발 (17;30)한남역에 도착 경의선, 1/9호선으로 (18;30) 귀가 합니다.
시산제 행사 치루시느라 새마포산악회 김귀남 회장님 이하 여러 임원님들 수고 많았습니다.
11;40 공영 하 주차장을 나와 도로변 인도로 이동합니다.
09;40 입출이 분리된 도로입니다.
09;43 공단직원들이 탐방안내도 까지 나누어 주면서 산객을 맞아 줍니다.
09;43 수통골 탐방지원센터 모습입니다.
09;44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세계물의날 행사이군요
09;45 실질적인 산행들머리 이정표(도덕봉1.5km)를 만납니다.
09;45 들머리 목책계단 모습입니다.
10;00 이정표(도덕봉0.8km/금수봉4.9km/수통골주차장1.0km)입니다.
10;08 도덕봉 암릉 모습입니다.
10;10 철계단을 만납니다. 우측 금줄을 오르면 옥녀봉 입니다. 옥녀봉 포기합니다.
10;14 전망대에서 조망입니다.
조망
풍광
10;19 돌탑봉 입니다.
10;20 이정표 (빈계산5.4km/금수봉4.1km/수통골주차장1.8km) 입니다. 도덕봉은 우측으로 몇 발자욱 가면 나옵니다.
10;22 도덕봉 정상목 겸 이정표 입니다.
10; 23 도덕봉 이정표(가리울0.8km)방향이 금수봉 빈계산 방향입니다.
10;22~10;25 도덕봉 정상 삼각점(판독불가) 입니다.
10;22~10;25 도덕봉 정상석 입니다.
10;22~10;25 도덕봉 셀카 인증사진
10;22~10;25 도덕봉정상 셀카 인증
10;35 가리울 삼거리 이정표 입니다.
10;47 이정표
10;56 이정표
11;08 백운봉 정상표지목겸 이정표 입니다.
11;08 백운봉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1;14 자티고개 3거리 이정표로 나옵니다.
11;23 금수봉 3거리 이정표
11;34 금수봉 정상 모습입니다.
11;34 금수봉 정상 정자
11;34 금수봉 정상 표지목 겸 안내판
11;42 이정표
11;48 성북동 3거리 이정표
11;59 빈계산 정상 표지목겸 이정표
12;00 빈계산 정상 인증사진
12;00 빈계산 정상 셀카인증
조망터 조망
조망터 조망
12;18 수통골 주차장 상.하 갈림길 이정표입 니다. (하)주차장으로 갑니다.
12;25 하주차장에 서있는 이정표(빈계산 1.7km ) 입니다.
09;20 시산제 준비 모습입니다.
09;22 시산제 시작합니다.
09;23 시산제 모습
09;24 시산제 모습입니다.
09;24 김용기 대장님의 산악인 선서 입니다.
09;26 김귀남 회장님의 축헌 입니다. 이후 회장님. 전임회장님. 부회장님 순서로 술따르고 대원들도 무사산행을 기원합니다.
산행트랙 입니다.
산행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