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골지천(骨只川)변의 산들 (가랭이산574m.소득재봉638m).단봉산(670m).수리봉(885m).안개산(반천산720m)./강원.정선

배창랑 2017. 5. 24. 13:57

골지천(骨只川)변의 산들 (랭이산574m.소득재봉638m).단봉산(670m).수리봉(885m).안개산(반천산720m)./강원.정선


산행일자;2017년5월21일(일). 날씨;맑음. 산행거리;12.0km .산행시간;약4시간30분

교통편;서울마운틴 클럽.  비용;35,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비용 포함)

산행코스;낙천1리마을 표지석-마을도로-미락교-마을회관 산길 진입 -능선안부-(소득재 왕복)-옥녀봉-단봉산-서부능선-수리봉-산성골능선-바위능선-안개산-골지천-반천1교-3거리식당






(랭이산574m.소득재봉638m)단봉산(670m).수리봉(885m).안개산(반천산720m)은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낙천리 와 반천리에 소재한 골지천변의 산이다. 금대지맥에서 벗어난  문래산. 자후산 능선이 863봉을 지나 삼거리 능선갈림봉에서  좌측으로 반천산(안개산720m)을 만든후  맥을다하여 골치천으로 빠지고  다른 한줄기는 우측(북)으로 달려가 수리봉(885m)을 만들고  다시 북으로 달려 뚝떨어져 단봉산(670m)을 만든뒤 소득재 안부로 내려앉아 다시 소득재봉638m)과 이름도 이상한 랭이산574m을 만들고 골지천에 가라앉는다.



 ■골지천(骨只川)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임계면을 흐르는 강이다. 

골지천(骨只川)은  골지리(骨只里)에서 유래하였다. 구한말까지는 문래리 또는 고계리(高溪里)로 칭하였는데, 일제강점기에 번역이 잘못되어 골지리가 되었다. 골지는 골짜기의 방언이다. 골짜기 물이 골지리 앞을 지난다고 해서 골지내(骨只川)라 했다.  1553년(명종 8)에 경복궁에 화재가 났을 때나 1865년(고종 2)에 경복궁을 중건할 때에도 이곳의 소나무가 동량재(棟粱材)로 쓰였다. 뗏목을 만들어 서울까지 운반할 때 이 골지천을 이용하였다. 골지천이 흐르는 정선에서도 관련 기록이 있다.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을 흐르는 하천으로 남한강 상류이다. 골지천을 이루는 원류부는 셋이다. 하나는 두타산 남쪽 댓재(竹峙)에서 발원한 번천이고, 다른 하나는 태백시 금대봉에서 발원한 물이다. 이 두 하천은 하장면 숙암리의 광동호에서 만난다. 광동호에서 출발한 물은 다시 고적대에서 발원한 하천을 토산리에서 받아들여 정선군 임계면 골지리로 들어가게 된다. 남한강의 발원천으로서, 한강 최상류를 형성한다. 발원지는 태백시 금대봉(金臺峰)에 있는 검룡소(儉龍沼) 또는 삼척시의 대덕산(大德山:1,307m)이나 중봉산이라는 설이 있다. 정선군 북동쪽 임계면에서 서쪽으로 흘러내린 임계천(臨溪川)이 북부 여량(餘糧)에서 골지천에 합류하고, 이 물줄기는 정선읍 남쪽에서 조양강(朝陽江)과 합류한다.

정선 일대의 수많은 산과 산맥으로 인해 곡류를 하면서, 뱀이 몸을 비트는 형상의 사행천(蛇行川)이 되었다. 따라서 골지천과 임계천변을 따라 수많은 소, 여울, 절벽, 백사장, 자갈밭 등이 펼쳐지고 곳곳에 절경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명소로는 대관령 북서쪽 황병산(黃柄山:1,407m)과 매봉(1,173m) 사이에서 발원한 송천(松川)이 골지천과 합쳐지는 아우라지, 여량리에서 6km 떨어진 잠수교 건너에 있는 발면동, 9가지 풍치가 있다는 구미정(九美亭), 3만 3000㎡ 면적의 잔디밭에 아름드리 느릅나무들이 우거진 미락숲유원지, 송림과 자갈밭이 어우러진 바위안유원지가 있고, 그밖에 송계마을, 반천, 봉정마을 등이 있다. 

 

 





2017.5.21(일)(07;10) 신논현역 6번출구에서 서울마운틴클럽 40인승 대원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광화문 출발 논현.신논현.강남,양재,복정을 거치면서 대원들 탑승하니 40인승 만차입니다. 차는 영동 고속도로를 달려  강릉 전에 왕산면을 지나고 삽답령고개를 넘어 임계면에 도착한후 산행들머리 낙천1리 마을표석 앞에 (11;00)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당초 가랭이교를 건너 가랭이산.소득재봉을 한후 단봉산으로 계획하였는데 강원도 강릉지역 산불로  경방기간이 연장된데다가 산불감시원의 감시가 강화되어  산행들머리를 가랭이교로 하지 못하고  낙천1리 마을표지석으로 하여 서둘러 산속으로 들어 간 바람에  부득히 가랭이산과 소득재봉을  후일로 미룹니다. 그래도 미련이 남아 능선에 붙어  현선선생. 다른1분 그리고 배창랑 3인은 산악회 코스에 가랭이산과 소득재봉을 왕복할 요량으로 소득재까지  왕복하였으나(2분은 소득재봉까지 왕복하고) 가랭이산까지는 시간이 부족할 듯 싶어 다음으로 미루고 포기후 되돌아 옵니다.





0km 0분 [낙천1리마을표지석](11;00)

낙천리마을 마을 표지석을 지나 우측으로 아스팔트 마을 도로를 따릅니다. 도로 따르면서 전면 우측으로 소득재와 소득재봉이 가늠되고  (11;06)'골지천길 안내도'를 지나고 (11;09)' 미락교'를 건넙니다.

(11;10) 도로교통표지판 (미락동길/미락동안길)3거리에서 미락동길을 따르다가  소득재 갈림길 3거리에서  좌측으로 (11;15) 마을회관을 지나 우측 안부를 향해 산길로 진입한다.

비포장 임도길은 이내 능선에 붙고 좌측으로 능선길 이어 간다. 직진 능선길은 옥녀봉 향이고   우측으로 비포장 임도길은  옥녀봉을 좌측에 두고  소득재봉 주능선으로  향하는 길이다. 소득재봉 왕복욕심에  임도길을 택했는데 능선으로 오른 선두보다 앞서 주능선에 도착한다.[1.5km][25분]


1.5km 25분[주능선](11;25)

좌측 능선길이 산악회 코스지만 일단 소득재봉과 가랭이산을 왕복할 요량으로  우측 부드러운 능선을 서둘러 간다. 소득재가 내려다 보이이고 좌측 구미정과 우측 낙천리다. 그리고 그앞 얕은 봉이 소득재봉인데 시간상 거리상 가랭이산까지는 불가능해 보여  서둘러 주능선 3거리로   Back한다.(왕복 1km/20분 소요)

능선길 이어 가다가 오름길 오르니 단봉산이다.[1.3km][30분]


2.8km55분[단봉산](11;55)

조망은 없다. 청산수산악회에서 단봉산 정상 표지판을 나무에 부착해 두지 않았으면 단봉산인줄도 모르고 지나칠 그런 능선상의 봉이다. 인증사진 남기고  능선길 이어가 830m 봉을 향한 급경사 오름길 오른다. 픽스로프도 매여 있지 않아 적당한 간격으로 서있는 나무를 붙잡고 지그재그 오름을 극복한다. 8부능선 증간에 좌우측 허리길과 직진길이 희미하게 나누어지는데 우측 허리길로 가서 우측 암릉 능선을 나무 붙잡고 힘들게 올라선다.

 완만한 능선길로 변하고 부드럽게 작은 창고같은  산불감시초소봉에 선다.[0.5km][25분]


3.3km 80분 [산불감시초소봉](12;20)

우측으로 내림 능선길 이어가니 안부에 시추공이 박혀있고  오름길 올라서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린 봉에 (12;45) 도착한다. (12;59) 흰색 검정색 CP3 깃발을 만난다. 광산지역 폭파지역 경고표시 깃발이다. 나물과 길에 돌가루 분진이 가득한 이유가 추론된다. 완만한 오름길 오르니 삼각점이 있는 수리봉이다.[3.5km][80분]


7.8km 160분 [수리봉](884.9m)(13;40) 

삼각점(302재설/77.6건설부)있다.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부착한 수리봉 정상표지판이 반긴다. 능선길 10여m 진행하면 직진 능선길은  자후산. 문래산 향이고 우향 급경사 내림길 내려서면 능선이 살아난다. 완만한 능선길이  좌측으로 변곡되고  좌측 자후산향 능선이 더욱 뚜렷하게 뻗어 가고 있다.(14;14) 조망 즐기고  완만한 오름길 올라서니 이정표 3거리 반천산이다.[2.0km][40분]


9.8km200분[반천산](720m)(14;20)

이정표 (등산로입구2.0km/반천대교2.9km) 서울마운틴 클럽에서 부착한 반천산 정상표지판이 있다.

등산로 입구방향 능선 내림길 이어간다. 급경사 내림길 내려서면 (14;39)이정표(등산로입구1.5km/반천산0.5km)서있다. (14;56) 자후산 방향 조망 즐기고 (15;15)이정표(등산로입구0.3km/반천산정상1.7km)를 지나 (15;20) 반천1교 앞에 도착한다.

 3거리 식당을 향해 좌측으로 가야 하는데 반천1교를 건너는 알바를 한후 되돌아와 (15;30) 3거리 식당에서 산행 종료 한다.[2.2km][70분]


12.0km 270분[3거리식당](15;30)

민박집겸 식당입니다. 기다리는 차안에서 옷 보따리 꺼내 마당가 시원한 수돗물로 대충 씻고 새옷 갈아 입습니다. 강호원 박사가 준비해온 시원한 캔맥주 댓자 받아 테이블메이트끼리 건배 합니다. 매주 감사합니다.

 성의 없고 맛없는 식당밥(애들 도시락 반찬통 같은 쟁반 반찬과 뻘건 기름 범벅 국물) 뜨는둥 마는 둥하고  맥주 2병 더 시켜 맥주로 배 채웁니다.

식사 끝난 (16;00)경 반천리 3거리 식당을 출발 (19;30) 신논현역 도착  배고파 단골집 영광굴비집에서 녹차굴비정식에 맥주와 막걸리 각1병을 하고  9호선으로 (21;50) 가양역도착. (22;00)귀가 합니다.




11;00 낙천1리 마을표지석 입니다.

마을 도로를 따릅니다.

11;02 마늘밭과  가야할 산을 조망합니다.

11;05 소득재봉 인듯 싶습니다.

11;06 골지천길 안내도 입니다.

11;09 미락교 입니다.

11;10 이정표(미락동길/미락동 안길) 입니다. 미락동길 방향입니다.

11;14 지난온 길 뒤돌아 봅니다.


11;15 마을 회관을 통과 합니다.

11;18 산기로 진입 합니다. 능선 안부가 목표 입니다. 비포장 임도 따르면 됩니다.

11;19 조망

11;19 조망

11;55 단봉산 정상 입니다. 소득재까지 왕복(1km/20분)을 고려하면 아마도 11;35 정도면 도착되는 거리가 되겠습니다.

11;55 단봉산 셀카인증사진 입니다.

 능선길 풍광

12;20 산불감시초소봉 입니다.

12;26 능선 안부의 광진시추의 시추공 입니다.

12;45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입니다. 아마도 이곳을 단봉산으로 착각~?

12;59 광산 위험표시 깃발입니다.

12;59 귀한 느아리꽃(?)을 만납니다.

13;38 수리봉 삼각점(302재설/77.6 건설부)입니다.

13;39 수리봉 정상 표지판 입니다.

14;00 수리봉 인증사진 입니다.

14;14 조망 입니다.

14;20 반천산 정상표지판과 이정표(등산로입구2.0km/반천대교2.9km)입니다.

14;20 반천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4;29 반천산성 등산로 안내판 입니다.

14;39 이정표(등산로입구1.5km/반천산 정상0.5km)입니다.


14;56 조망

조망

조망

15;15 이정표(등산로입구0.3km/반천산정상1.7km)입니다.


15;20 반천1교 입니다.

반천교 다리위에서 골지천 입니다.

15;29 두매아리마을 삼거리 입니다.

15;30 삼거리식당 입니다. 산행종료 합니다.


 산행지도


산행트랙

산행트랙 입니다. 필요하신분은 다운로드해 가십시요~!! 

단봉산_.반천산.수리봉2017-05-21 1059.gpx


???_.???.???2017-05-21 1059.gpx
0.0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