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만치 않은 구절산(△750.7m). 능선상 성치산(城峙山 △554m).불금봉(△498.3m)/홍천
산행일시;2017년 1월 12일 (목). 날씨;맑음. 산행거리;12.5km. 산행시간;4시간55분.
교통편;새마포산악회. 비용;17,000원(하산후 찰밥과 무제한의 주류제공 비용 포함)
산행코스;범정골- 407봉(삼각점/판독불가)- 414.6봉- 552.7봉-(구절산) 능선상 744.4봉 하단 3거리-421.9봉-춘천고속도로 동산2터널위- 397.2삼각점(홍천411/1985재설)- 411봉- 방울고개- 성치산(△553.5m)- 불금봉(498.1m)(홍천302/2005재설)- 394.7봉- 275.4봉- 원골
■구절산(九折山750m )은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및 홍천군 북방면에 걸쳐 있는 산이다. 등산로 곳곳에 전설이 산재한 산으로 연엽산(850m)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려간 능선 위에 있다. 높이는 750m로, 산세가 마치 구절양장을 연상케 하듯 아홉개가 넘는 봉우리와 지능선이 어지럽게 갈라진 형상을 하고 있다. 정상 아래 동굴이 있어 신비감을 선사한다. 이곳에서 20여 분 아래로 내려오면 더운짐내기 고개가 있는데, 겨울에도 더운 바람이 불어와 나무꾼들이 언 발을 녹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도화동 부근에는 처녀 총각 나무꾼들이 인연을 맺었다는 각시골이 있다.
■성치산(城峙山 542m) 은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부사원리와 성동리 사이에 있는 산이다. 춘천시에 있는 구절산(850m) 정상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에서, 방울고개로부터 2km 떨어진 지점에 솟아 있다. 높은 산은 아니지만 남북으로 이어지는 주능선이 뚜렷하고, 참나무류와 산초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며, 인적이 적어 자연이 잘 보존되어 있다.
정상에는 이상한 형상의 바위가 서 있고 북동쪽으로는 절벽을 이루며 그 아래로 용담저수지(성동 또는 대룡저수지)가 자리잡고 있어 경관이 아름답다.
■불금봉(△498.3m) 강원 홍천군 북방면 능평리에 소재한 산이다. 성치산에서 능선으로 이어지는 봉이다. 조망이 아름답다. 삼각점(홍천302/2005재설)이 있다.
2017.1.12.(목) (06;40) 합정역 8번출구 전방50m LIG생보 앞에서 새마포산악회 2호차(cf.1호차는 지맥팀)에 탑승합니다. 양재역에서 대원들 태우니 45인승 만차(김귀남 회장님과 사모님은 영춘지맥 졸업하는 날이라 격려차 1호차에 탑승했는데도)입니다. 중간 가평휴게소에서 10여분 휴게시간 갖습니다.
새마포산악회 산행코스는 3개로 나누어 집니다.
A코스:
강원대학교학술림(새월교)→임도따라→춘천지맥합류→연엽산(850.6m)→새목현→구절산→ 421.9봉→춘천고속도로 동산2터널위→ 397.2삼각점→ 411봉→ 방울고개→ 성치산(△553.5m)→ 불금봉(△498.1m)→ 394.7봉→ 275.4봉→ 원골 (산행거리 및 시간: 16.5km /7시간)
B코스:
범정골→ 407봉△→ 414.6봉→ 552.7봉→ 구절산갈림→ 744.4봉→ 구절산(△750.7m)→ 구절산갈림빽→ 421.9봉→춘천고속도로 동산2터널위→ 397.2삼각점→ 411봉→ 방울고개→ 성치산(△553.5m)→ 불금봉(△498.1m)→ 394.7봉→ 275.4봉→ 원골 (산행거리 및 시간:13.3km/5시간30분)
C코스:
부사원교-방울고개-성치산-불금봉-원골 (산행거리 및 시간: 6km/ 3시간)
연엽산(850.6m)과 구절산(△750.7m)은 오래전(김형수님 222산 진행때) 도화동-구절산 -사곡현- 새목현 -연엽산- 연내골- 원창교 코스를 답사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 구절산의 암릉의 위용에 많이 위축 되었던 추억이 새록 합니다. 그래서 C코스를 택할가 하다가 '그래도 그렇치' 하면서 안 밟아 본 B코스를 택하기로 합니다.
(08;23)B코스팀(8인)이 범정골(봉명1교) 입구에서 먼저 내립니다. 차는 A코스팀 들머리 도화동 강원대학교학술림(새월교)으로 들어 갔습니다. 그런데 A코스팀(8인)은 강원대학교 직원들이 출입을 막아 결국 연엽산을 하지 못하고 뿔뿔이 헤어져 결국 B코스를 진행 하게 되었습니다. 세월이 많이 흘렀는데 통제가 여전하나 봅니다. 학교법인이 등산로 정도는 개방해 줄 일이지 '사유지 운운 하면서' 통제함은 참 딱해 보입니다.
범정골(봉명1교)에서 간단히 산행 준비하고 산행 시작합니다.
0km0분[범정골](08;25)
봉명1교 20m 정도 Back 좌측으로 첫 토끼굴이 보이는 곳으로 들어 간다. '캠핑하는집' 입간판이 서있고 토끼굴에는 대문도 달려 있다. 토끼굴 위는 중앙고속도로다. 토끼굴을 나오면 바로 우측으로 길이 보인다. 들머리다. 묘지까지는 길이 좋으나 묘지 이후는 길이 없어 잡목을 치고 올라 완만한 능선길을 이어간다. (08;52) 능선을 점령하고 녹색 4각으로 밭을 만들어 그물망 울타리를 친 곳을 지나 급경사 오름길 극복한다. 이후는 비교적 뚜렷하고 좋은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면
(09;00) 407봉(삼각점/판독불가.방위표시 뚜렷함.)이다. 414.6봉은 지난줄도 모르게 지나고 (09;10) 19번 송전탑을 만난다. 계속된 오름길 이어가면 (09;25) 콘크리트 포장 임도다. 임도 만나면 좌측으로 임도 따르는 것이 현명(cf.능선에 붙기위해 절개지를 오르기가 어려워 우측으로 임도 따라 내려 절개지 사면을 따라 능선에 붙어 고된 오름을 끝내니 09;31 다시 임도에 내려선다.)하다. (09;31) 다시 콘크리트 임도 따르면서 바라본 744.5봉에서 성치산으로 흐르는 능선이 아름답다.
콘크리트 임도가 끝나고 비포장 임도를 따르니 (09;40) 강원대학교 연습림 철망대문이다. 철망대문은 옆으로 쉽게 통과한다. 그리고 비포장 임도를 따르다가 임도가 좌측 구절산으로 돌아가는 지점에서 직진으로 능선에 붙는다. 눈 덮힌 너덜지대를 힘들게 오른다. 고난의 오름 끝에 744.4봉 직전 능선3거리다. [4.5km][105분]
4.5km 105분 [744봉 전 능선3거리](10;10)
A.B코스 팀원중 몇명만 암릉길을 좌측으로 우회하여 구절산 정상을 왕복 한다. 나는 기 답사한 구절산이기도 하고 눈덮혀 있는 암릉길은 위험하여 구절산 왕복에 의미를 느끼지 않아 함께한 대원들에게도 가지 말것을 권한다.
구절산을 왕복하지 않고 우측으로 계속 바위능선 이리저리 돌고, 바위능선을 이어간다. Y 내리막 능선에서 우측(남)으로 잔돌에 줄줄 미끄러지며 내려서면 바위능선은 끝나고 능선이 순해진다. ㅏ 능선 갈림길(독도주의)에서 우측(남서)으로 내려서고, 잣나무 조림지를 지나고 , x422봉을 넘고, 안부에서 직진 (11;00) 삼각점(홍천411/1985재설)이 있는 봉에 올라 좌측(동)으로 내려서면
(11;01) 지도상 방울고개 (묶은 임도와 전주)를 지나 오름길 오르면 (11;08)기암을 만난다. (11;13) 가야할 성치산과 불금봉이 우뚝하다. (11;27) 신경수님의 오래된 표지기 만나니 반갑다. 조망 즐기고 성치산 오름을 걱정하면서 ㅏ 갈림길에서 우측(남) 희미한 길로 내려서고, 철탑을 지나고, 연이어 잔봉을 넘어 괴물같이 높게 보이는 성치산 (x554봉) △불금봉(x498봉) 오르막이 시작되는 임도 (고도 426 m)에 내려선다. 실제 방울고개 임도다.[4.0km][88분]
8.0km 193분[방울고개](11;38)
방울고개 임도를 건너 좌측으로 가서 능선에 붙고, 잠시 너덜지대를 지나 x386봉을 넘고 고갯마루 좌측에서 능선에 붙어 잡초를 헤치고 된비알을 치고 T 오르막 능선에 올라 우측(남)으로 바위 사잇길을 오르면 성치산 (x554봉)이다.[0.7km][20분]
8.7km 213분[성치산](554m)(11;58)
작은 표지판과 새마포산악회가 부착한 표지판이 걸린 바위봉이다. 정상에는 괴이한 모양의 바위가 서있고 동북쪽이 아찔한 낭떠러지인데 그 아래 성동 저수지가 아름답게 펼쳐진다. 정상 표지판을 배경으로 인증사진 남기고 성치산 (x554봉)을 넘어 바위지대를 내려서고, (12;11) 7번 철탑을 지나 (12;22) 성치산을 뒤돌아 보고 오름길 조망트이는 곳에서 (12;24) 구절산과 연엽산을 조망한다. 다시 오름길 오르면 삼각점이 있는 △불금봉(x498봉)이다.[1.3km][30분]
10.0km 243분[불금봉](498m)(12;28~12;30)[2분]
벌목된 정상이다. 삼각점(홍천302/ 2005재설)있다. 선답자 표지판을 배경으로 인증사진 남긴다.
우측 능선길로 하산길 이어가 무명봉에 이르면 저 아래 채석장 모습이 흉칙하게 자리잡고 있어 상처받은 산의 고통을 느끼는 것 같다. 이곳에서 우측(남)으로 내려서고, 육훈 시멘트 말뚝이 있는 ㅏ 갈림길 x395봉에서 우측(남서)으로 내려서 선다. 전망이 트이는 ㅏ 갈림길 x362봉에 올라 우측(남)으로 잔솔밭을 내려서면 조림된 임도길을 만나고 편안하게 능선 따라 x271봉에 오르고 우사면으로 내려서고 묘에서 직진으로 내려서면 홍천군 부사원천/성동천이 멀리 보이는 5번 도로(능명교)이다. 국도5번에 내려서고 도로따라 진행하니 우측으로는 휴게소가 있고 좌측으로는 버스를 개조해 만든 카페가 있으며 몇채의 전원주택이 있는 원골이다.[2.5km][50분]
12.5km 295분[원골] (13;20)
산행종료 합니다. 차안에서 대충 짐정리 해두고 옷보따리 들고 버스를 개조해서 만든 까페 뒤 개천에 내려 머리 감고 수건에 물 묻혀 대충 씻고 새옷 갈아 입으니 날아 갈것 같습니다. 새마포산악회표 찰밥 제공받아 집에서 준비해 온 오징어 무국에 4찬으로 식사 마칩니다. 후미 식사가 끝난 (14;30)경 원골을 출발 가평휴게소에서 15분 휴게 시간 갖고 (15;30) 강변역 도착 대부분 대원들 내리고 합정역에 (16;00) 도착 2/9호선으로 (16;30) 가양역도착 (16;40) 귀가 합니다.
cf.대중교통;
동서울~홍천터미널~홍천터미널(09:30)~원골(09:55) (도화동 들머리는 강원대연습림 통제로 어렵다.)
@원골방향 배차시간표@
(1)반곡행(팔봉산):09:30, 15:30, 18:40(1일3회)
(2)장항(굴지리):08:00, 17:00(1일2회)
(3)북노일:06:00, 12:00, 17:00(1일3회)
10;23 범성골 (봉명1교)도화동 입구 입니다.
08;25' 캠핑하는집' 입간판이 서있는 길따라 토끼굴로 진입합니다. 토끼굴 위로는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고 토끼굴 입구엔 목제 문짝도 달려있습니다. 토끼굴 통과하여 나오자 마자 우측으로 등산로 열립니다.
08;31 능선을 막고있는 그물망 울타리 4각형 밭입니다. 울타리 통과 하면 급한 오르막이 나옵니다.
08;52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면 우측으로 철조망과 녹색문이 있는 능선길 입니다.
09;00 407봉 삼각점 (판독불가)입니다.
09;10 한전 철탑을 지납니다.
09;25 임도에 내려 섭니다. 능선을 오르지 말고 좌측으로 콘크리트포장 임도길을 따르면 됩니다. 능선길 힘들게 이어가도 다시 임도에 내려 섭니다.
09;31 다시 만난 임도 입니다. 처음부터 임도 따르는 것이 옳습니다.
09;33 올라야 할 구절산 전위봉 능선이 급경사로 높아 보입니다. 우측으로 성치산 가는 능선이 뚜렷합니다. 구절산은 안보입니다.
09;40 강원대학교 학술림 철조망 대문입니다. 지키는 사람 없고 좌우 어느쪽으로도 통과가 가능합니다.
10;10 힘들게 올라와 바라본 744.봉 암봉 모습입니다. 구절산 연엽산은 기답사한 산이고 암릉에 눈이 얼어 붙어 있어 우향 성치산 향 능선길 이어 갑니다.
10;3 3 능선에서 조망입니다.
11;00 삼각점(홍천411/1985 ) 입니다.
(11;01) 지도상 방울고개 입니다. 전신주와 묵은 임도 입니다.
11;08 기암 입니다.
11;13 가야할 성치산 조망입니다. 오름이 만만치 않겠습니다.
11;13 신경수님 표지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습니다. 만나니 반갑습니다.
11;32 조망
11;33 성치산 조망 갈길이 걱정입니다.
조망
11;38 실제 방울고개 임도 입니다.
조망
조망
11;55 성치산 전위바위봉 입니다.
11;58 성치산 인증사진 입니다.
11;58 새마포산악회가 부착한 성치산 정상표지판 입니다.
12;11 7번 송전탑 입니다.
조망
12;22 뒤돌아 본 성치산 입니다.
12;24 구절산 연엽산 조망 입니다.
조망
조망
12;24 성치산 조망
구절산 조망
12;28 불금봉 삼각점(홍천302/2005 재설) 입니다.
12;28 선답자님의 불금봉 정상 표지판 입니다.
12;30 기다려 불금봉 인증사진을 남깁니다.
12;30 불금봉에서 정승호님 입니다.
12;58 불금봉에서 하산길에 조망입니다.
13;12 묘지도 만납니다.
조망
조망
조망
13;19 국도 5번도로변 원골 모습 입니다.
13;20 버스에 도착 산행 종료 합니다.
산행지도
오록스앱 트랙입니다. 붉은선이 진행한 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