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갓등산(427m).소바위되배기산(565m).학일산(鶴日山692.9m).통내산(675.4m).토한산(630m). 환종주--경북청도 영남알프스자락

배창랑 2015. 5. 29. 14:23

갓등산(427m).소바위되배기산(565m).학일산(鶴日山692.9m).통내산(675.4m).토한산(630m). 환종주--경북청도 영남알프스자락

산행일자; 2015년 5월28일 (목). 날씨; 맑음. 산행거리; 16km. 산행시간; 6시간

교통편; 새마포산악회. 비용; 25,000원(찰밥 및 하산주제공 포함)

산행코스: 삼족대-367m봉-갓등산-동곡고개-소바위돼배기산-학일산-돈치재갈림길-655m봉-통내산-토한산-학명산-동산기도원-삼족대

 

 

 

■갓등산(427m).소바위되배기산(565m).학일산(鶴日山692.9m).통내산(675.4m).토한산(630m).학명산(292m)은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리에 위치한 산들이다. 삼족대(三足臺)를 중심으로 타원형 능선을 형성하고 있어 원점회귀 산행이 가능한 영남알프스의 끝자락산이다.

 

■삼족대(三足臺)는 청도군 매전면 금곡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 정자(별장)이다. 삼족대는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모든 관직을 그만두고 향리에 은거하며 후진 양성에 힘써온 김대유(1479~1552)가 지은 건물이다. 건물 이름은 김대유의 자호인 삼족당에서 따온 것이다. 김대유는 벼슬도 현감을 지냈으니 만족하고, 항상 밥상에 반찬이 부족하지 않으니 만족하고, 나이도 환갑을 넘겼으니 만족한다며 이같은 호를 지었다고 한다.

 

청도 삼족대는 학일산의 지맥이 동창천으로 흘러드는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요즘도 한옥 건축가들이나 연구가들이 많이 찾고 있다. 조선 초기에 만들어졌으나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허물어졌다 다시 세워지기를 반복하다, 김대유의 13대손 김용희에 의해 새롭게 단장됐다. 김대유가 이곳에 머물 당시에는 남명 조식을 비롯해 율곡 이이 등 많은 명사들과 시인 묵객들도 들렀다고 전해진다.

삼족대와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서 있는 특이한 소나무 한 그루도 눈길을 끈다. 이 소나무는 가지를 위로 쭉쭉뻗은 일반 소나무와 달리, 가지를 아래쪽으로 늘어뜨려 '처진소나무'로 불린다. 청도 처진소나무의 수령은 200년 정도로 추정되며, 천연기념물 295호로 지정돼 있다.

 

​■처진소나무(柳松)는 ​운문사로 가는 도로 옆 언덕 위에서 자라고 있다. 나이가 200년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13.6m, 둘레 2.04m이다. 가지가 아래로 축축 늘어져 있어서 매우 독특하고 아름다운 모양을 하고 있으며, 늘어진 가지가 버드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유송(柳松)이라고도 한다.

옛날 어느 정승이 이 나무 옆을 지나는데, 갑자기 큰 절을 하듯 가지가 밑으로 처지더니 다시 일어서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또한 나무 옆에는 고성 이씨의 무덤이 있어 이와 어떠한 관련이 있거나 신령스런 나무로 여겼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청도 동산리의 처진 소나무는 나무의 형태가 독특하며, 민속적·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2015.5.28(목) 06;40 합정역 8번출구 나와 50m 전방 LIG사옥 앞에서 새마포산악회 2호차 버스에 탑승합니다. 전창완 총무님 배려 (실수?) 덕분에 2번째 줄에 자리가 배정 되었습니다.

 

저렴한 가격으로 운영하는 산악회여서 항시 만차가 되었으면 좋겠는데 비어가는 자리가 조금있어 운영진들과 함께 마음이 편하지 않습니다. 봉군들(?)은 따먹은 산이고 명산팀들에게는 버거운 코스라 참여율이 약간 저조한 듯 합니다. 독산타잔 김귀남 회장님도 산행 코스 잡기가 쉽지는 않겠습니다.

 

고속도로 달려 문경 휴게소에서 10여분 휴게시간 보내고 산행들머리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 금곡마을 삼족대 입간판 서 있는 곳에 11;00 도착 산행 시작 합니다.

 

0km 0분[삼족대](11;00)

들머리는 삼족대(三足臺) 입간판 서 있는 곳이다. 20번 도로에서 삼족대 입간판 표시방향 콘크리트 도로 따르니 삼족대다. (11;03)목책계단 올라서니 삼족대 보수공사가 한창이다. 완만한 오름길 지나니 갈림길을 만난다. (cf잘 발달된 우측 산 허리길은 알바길이다. 초반부터 혹독한 대가를 치루고 능선에 복귀한다.) 직진 희미한 능선길로 오른다.

고성 이씨묘를 지난다. 무명봉을 살짝 오르면 비로소 10시 방향으로 갓등산이 모습을 드러낸다. 직진한다. 곧 월성 최씨묘를 만난다. 수목 사이로 등산로는 확실하다. 다시 무명봉을 넘으면서 묘기 2기를 지난다. 급내리막길과 오르막을 반복하다 지형도상으로 삼각점이 있는 367봉에 올라선다. [1.5km][55분]

 

1.5km 55분 [367봉](11;55)

우측 발아래 금천면 소재지인 동곡마을이 보이고 그 뒤로는 영남알프스 연봉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직진하며 내려선다. 실제 삼각점(동곡306/***)이 있는 370m봉을 만난다.

본격적인 내림길이다. 거의 쏟아지는 수준이다. 정면으로 갓등산이 보인다. 주의지점으로 좌측방향 내림길 이어가면 좌우가 지계곡인 능선길이다. 평산 신씨묘가 있는 안부이자, 우측 금천면 동곡리와 좌측 매전면 금곡리를 오가는 일종의 고갯마루에 닿는다.

직진한다. 급경사 낙엽길을 오른다. 너른터인 지점에 올라선다. 갓등산이다. [0.8km][15분]

 

2.3km70분[갓등산](12;10~12;11)

정확한 정점은 좌측 조그마한 바위다. 바위위에 정상석 서있다.

정면 우측 뒤 봉우리 부분만 조금 보이는 것이 학일산이며 발아래 소나무에 가려 희미하게 보이는 도로가 매전면과 금천면을 잇는 도로, 그 정점이 동곡재다. 직진한다. 길이 잡목에 묵어 개척수준이다. 푸른지붕 지다나 건물 우측에 내려 직진으로 도로에 내려 건너면 되는데 (cf 좀 편하겠다고 다나 공장 진입도로 따라 도로초입에 가니 동곡휴게소 나오고 도로건너 원점으로 복귀한다.)바로 동곡재 꼭대기에 도착한다.[0.5km] [20분]

 

2.8km 90분[동곡고개](12;30~12;35)

20번 도로 정점에서 좌측으로 조금가면 임도급 길이 열려 있다. 길 건너편에는 '매전면'이라 적힌 입간판이 서 있다. 차단기를 지나 약 10m 지점에서 우측 산길로 올라선다. 묘지 5기를 지난다. 경사는 심하고 산길은 반듯하지 않지만 오름길은 힘들다. 날씨가 더워 물 부족이 걱정된다. 힘들게 무명봉에 올라선다. 이어지는 산길은 크고 작은 봉우리의 연속이다. 삼각점봉에 올라선다.[1.5km] [50분]

 

4.3km 140분[소바위되배기산](13;20)

삼각점(동곡415/1982재설)이 있다. 이름도 이상한 ‘소바위되배기산’이다. 몇 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를 오르락 내리락 한다. 전망대를 만난다. 헬기장인 학일산 정상은 완만한 오름뒤 급경사 오름길을 극복한후 만난다.[2.0km] [38분]

 

6.3km 178분[학일산 정상](13;58~14;00)

헬기장이다. 삼각점(동곡21/1988복구)도 있다. 한켠에 이정표(통내산.돈치재**km/송림사1.7km/등곡재2.5km/삼족대) 서있다. 나무가지 사이로 우측에 가지산 운문산 등 영남알프스 산군이 살짝 펼쳐진다.

학일산 정상에서 직진한다. 급경사 내리막 길을 지나 고갯길을 지나면 (14;10)삼거리에 다다른다.이정표(통내산/돈치재2.4km/학일온천2.4km/학일산0.4km) 서있다. (cf 우측으로가면 학일온천향). 이곳 삼거리에서 통내산가는 길은 비교적 비교적 부드러운 흙길 능선이다. 삼각점(동곡418/1998재설)만나고 경사가 있다고는 해도 천천히 오르고, 여유롭게 내려와 전혀 부담스럽지 않다.(14;45) 학일산 갈림길 이정표(통내산4km/천태산2.5km/안버구1.0km/학일산2.3km) 와 또다른 이정표(통내산3.5km/학일산1.2km/***) 서있다. 삼거리에서 573봉을 지나면 안버구 갈림길이다. (15;17)이정표(통내산2.4km/상평/안버구1.7km/학일산3.8km)만난다.

버구라는 마을 이름이 재밌다. 첩첩산중에 갇힌 마을로 유일하게 소식을 전하는 봉수대를 가리켜 '저귀'로 불리다 버구(혹은 버귀)로 바뀌었다고 한다. 안쪽은 안버구, 바깥과 좀 가까운 쪽은 바깥버구다. 공식 명칭은 법이(法耳)마을이다.

이정표에서 산을 오르면 646봉 갈림길이며 여기서 우측 통내산 방향의 산능선을 탄다. 안부로 떨어졌다 다시 올라 산봉우리 하나 더 넘으면 통내산이다.[6.3km][122분]

 

12.6km300분[통내산](16;00~16;03)

통내산 직전 삼각점(동곡420/1982재설)이있다. 정상은 초라하다. 조그만 돌탑 아래는 깨진 정상 돌판이 있고 돌탑위에 또 하나의 정상 돌판이 있다. 이정표(면사무소3.1km/안버구4.1km) 서있다. 통내산(674.4m) 정상에서 면사무소 3.1km방향으로 내림길 내려서 간다. 완만한 내림후 오름길 극복하니 토한산(통한산)정상이다. [0.6km][15분]

 

13.2km 315분[토한산](630m) (16;17)

정상에 표지판 있다. 암릉을 사이에 두고 급비탈 계곡으로 떨어진다. 급비탈이라 로프를 매어 놓았다. 잔자갈 급경사길을 거의 다 내려 와서 능선 갈림길에서 직진하여 수청산(286m) 왕복을 시간 때문에 포기한다. (16;40) 마지막 이정표(농협1.4km/면사무소1.3km/통내산1.4km)갈림길에서 날머리가 면사무소로 바뀐 바람에 천연기념물 처진소나무도 보지 못하고 하산을 서둔다.(16;46)매전농협 창고를 지나 국도에 진입하며 그 옆에 농협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295호 청도 동산리 처진소나무다.[2.5km][45분]

 

15.7km360분[매전면사무소](17;00)

폭염주의보 속에 참으로 힘든 산이었습니다. 막걸리 2잔 거푸 받아 마시고 옷보따리 꺼내 샤워기 설치된 면사무소 화장실에서 대충 씻고 새옷 갈아 입습니다.

밥 배급받아 집에서 준비해 온 반찬으로 허기진 배 채웁니다. 갈증이 심해 종이컵 맥주를 주는 대로 받아 마십니다. 김경찬사장님. 김귀남회장님. 문일님 감사합니다.

 

등곡고개에 기다리는 버스에서 두고 온 물을 보충하려 했는데 버스 문이 닫혀있어(잠자는 ? 기사 수면을 방해 할지도 몰라 물 보충을 단념하고)그냥 오름길 올라 무명봉 지난 지점에서 B코스를 타고 등곡재에서 산행 마무리 하는 전임회장님과 김귀남 회장님 사모님 일행을 만납니다.

 

날씨는 덥고 가야할 길이 멀어 보여 배낭속 물이 혹여 부족할지도 몰라 아끼는 의미에서 금방 하산지점에 도착 될 김귀남회장님 사모님께 물청해(하산까지 20여분이 안걸리고 차에 물이 있으니 결례는 아니라고 판단)시원하게 얼린 물 한모금 합니다.

 

그리고 청하지도 않했는데 배려 깊은 전임회장님께서 먹다남은 조금한 포카리병 물을 건네 줍니다.사양하다가 전임회장님께는 필요 없을수도 (?) 있지만 제게는 도움이 되기에 감사히 받아 물 보충 합니다.

 

결과적으로 등곡재에 기다리는 차에서 보충하지 못한 물은 보충한 셈이 됩니다. 귀경길에 배낭 정리하니 날젠병에 1/3통이 남았습니다.ㅎ.

 

귀한 물 주신 김귀남 회장님 사모님 그리고 전임회장님 이 자리를 빌어 감사 말씀 드립니다.

 

무덥고 다습한 날씨에 언듀레이션이 심한 난코스를 완주한 대원들은 10여명 미만인듯 싶습니다. 18;00 매전면사무소 출발 학일온천으로 탈출한 대원 한분 픽업하고 한남역 22;00 합정역 22;18 도착 2/9호선으로 귀가 합니다.

 

11;00 삼족대 입간판입니다.

가야 할 산 능선입니다.

11;03 삼족대 개보수 공사 현장입니다.

 

11;55 367봉 삼각점입니다.  급경사 오름길이 1000m 급 산보다도 힘들었습니다.

 

능선입니다.

12;10 갓등산입니다.

 

갓등산에서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준희님의 표지판

11;01 갓등산 인증사진 입니다.

동곡고개 돌에 떨어지기전 우측 다나 공장 건물이 내림길 목표가 됩니다.

20번 도로 동곡고개 입니다.

 

산악회버스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자리에 두고온 물을  꺼내 와야 하는데 기사가 문닫고 자는 듯하여 깨우지 않을 요량으로 그냥 오릅니다.

12;35 학일산 등산로 입구입니다.

오름길 초입 묘지에는 잔디 꽃이 억새처럼 활짝 피었습니다.

13;20 소바위 되배기산 (563.3봉)준희님의 표지판입니다.

삼각점(동독415/1982 재설) 입니다.

바위에 자란 풀입니다.

가야할 학일산이 뾰족합니다.

건너편 통내산 방향

13;58 학일산 정상입니다. 이정표 있습니다.

학일산 정상석 입니다.

학일산 정상 셀카인증사진 입니다.

학일산 정상 삼각점 입니다.

 

산사랑님의 학일산 정상 표지판

14;10 학일온천 갈림 이정표 입니다.

육산에 바위가 귀해 보입니다.

14;45 학일산 갈림 이정표(통내산4km/학일산2.3km )입니다.

다른 이정표에는 거리 표시가 다릅니다.

15;17 통내산 2.4km

16;02 통내산 직전 삼각점(동곡420/1982재설)입니다.

 

통내산 정상석입니다.

 

16;03 통내산 정상 셀카 인증사진 입니다.

이정표 면사무소 3.1km 방향 따릅니다.

14;17 토한산 정상입니다.

토한산 정상 셀카 인증사진 입니다.

16;40 이정표 (면사무소1.3km/농협1.4km통내산1.8km)입니다.

16;46 매전 농협창고 입니다.

산행지도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