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정여립의 이루지 못한 꿈이 서린 천반산 (天盤山 646.7m). 전북 진안/장수--두루봉(652.6m).영구산(△802.3m).망치봉(671.7m).천반산(647m)

배창랑 2015. 3. 6. 12:17

정여립의 이루지 못한 꿈이 서린 천반산 (天盤山 646.7m). 전북 진안/장수--두루봉(652.6m).영구산(△802.3m).망치봉(671.7m).천반산(647m)

산행일자 : 2015년3월5일(목). 날씨: 맑음. 산행거리 : 19.0 km. 산행시간; 5시간50분(산악회 허용시간; 7시간)

교통편; 새마포산악회. 비용; 18,000원(하산후 찰밥과 하산주 제공비 포함)

산행코스: 영풍소류지-554.7봉-두루봉(△652.6m)-721.8봉-영구산(△802.3m)-737.4봉-망치봉(△671.7m)-13번도로-590.6봉-천반산(△647.4m)-49번도로.장전마을버스정류장

내림리영풍소류지~4.6km~영구산~5.1km~13번국도 고개~1.5km~천향로 도로고개~2.6km~천반산(깃대봉)~3.2km-죽도폭포~2.5km~49번도로 장전마을버스정류소

 

 

 

■천반산 (天盤山) 646.7m은 백두대간 상의 남덕유산(1,507.4m) 서쪽으로 약 1km 거리인 서봉(1,510m, 일명 장수 덕유산)에서 대간을 이탈해 북서쪽으로 가지를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은 약 5.5km 거리인 19번 국도가 넘어가는 솔고개에서 잠시 가라 앉았다가 약 4km 더 이어진 다음 영구산(802.3m)을 빚는다. 영구산에서 남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약 8km 리에 이르러 구량천과 금강 상류에 막혀 더 이상 나가지 못하고 들어올려진 산이 천반산(646.7m)이다.

 

전북 진안군 진안읍, 동향면과 장수군 천천면 경계를 이루는 천반산은 주능선 일원이 소반과 같이 납작하다하여 그런 이름이 생겼다는 설과, 땅에는 천반, 지반, 인반 이라는 명당자리가 있는데 이 산에 천반에 해당하는 명당이 있다 해서 지어졌다는 설이 있다. 또 산 남쪽 마을 앞 강가에는 장독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하늘의 소반에서 떨어진 복숭아(천반락도 天盤落桃)라 하여 마을 북쪽에 있는 산을 천반산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천반산은 사방이 깎아지른 험준한 절벽으로 에워싸여 있다. 여기에다 북으로는 덕유산에서 발원한 구량천이 산자락을 휘감고 있으며, 서쪽과 남으로는 금강 상류를 이루는 연평천(일명 장수천)이 휘돌아 흐르고 있어 천혜의 요새를 방불하는 산세를 이루고 있다.

 

■ 죽도는 정여립이 마지막으로 죽었다는 곳이다. 공식적으로는 이 곳 죽도에서 자살 했다고 하는데 그 것에 대해 죽이고 나서 자살했다고 꾸몄다고 하는 다른 설도 있다. 정여립 사건이 1589년 발생 하여 기축옥사로 이발을 수장으로 한 동인들이 참변을 당하는 흉흉 했던 시절이 있은지 3년후인 1592 년 임진 왜란이 발생 한다. 그 당시 피비린내 나는 권력 투쟁에만 갇혀 있는 상황이 필연적으로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수있는 기회를 주었다.

이곳 천반산은 성터흔적, 정여립이 바둑을 둬었다는 말바위, 훌쩍 훌쩍 뛰어 다녔다는 뜀바위등 정여립과 관련된 역사와 신화가 섞여 있는 곳이다.

 

2015.3.5(목)07;00.합정역 8번출구앞 LIG사옥 앞에서 새마포산악회 1호차에 탑승 산행들머리 전북 장수군 계북면 임평리 내림마을 앞 영풍소류지에 10;10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 내림리 [도로고개.영풍 소류지](10;10)

도로 가장자리 인삼밭을 우회 하여 올라간다. 야산 지역이라 잡목 가시밭길을 헤치면서 올라간다. 진행 방향 좌측으로 내림마을이다. 장수덕유산 서봉 정상이 조망된다. (10;58)지도상 두루봉(635봉 근처의 쌍묘)을 지나고 능선분기점(cf 북동쪽 원곡교로 지능선이 갈라진다)부터 점차 고도가 높아 지면서 부터는 오히려 오르기가 수월하다. 안부 삼거리(cf.좌측 매자동으로 길이 갈라진다)를 지나 가파른 능선분기봉에 올라가 북쪽으로 간다. 능선분기봉(cf북동쪽 신월리로 지능선이 갈라진다.)에서 직진 임도 지나 완만한 능선길 올라가니 영구산 정상이다.[4.6km][70분]

 

4.6km70분[영구산정상](802.3m)(11;20)

조망은 시원치 않다. 방향표시 뚜렷한 삼각점<무주16(?)/1998재설(?)>있다. 선답자 부착한 영구산 비닐코팅 정상판 배경으로 영구산 정상을 인증 하고 올라온 길을 다시 내려 오다 우측(남서쪽) 2번째 능선으로 가파르게 내려선다. 616봉을 지나고 지도상 737.4봉에서 우향(cf요주의지역) 내림길이다. 절골마을 뒤를 지날 즈음에 동향면 신송리 방향으로 지금은 사람이 다니지 않아 흔적만 남은 고개길(고듬치재)로 내려 갔다가 올라 간다. 절골 마을 뒤에서 제법 고도를 높혀야 망치봉으로 오를수 있다.[3.5km][67분]

 

8.1km 137분 [망치봉](673.9m)(12;27)

망치봉 정상에는 방향표시만 뚜렷한 삼각점(무주**/***재설)이 있다. 망치봉 이후로 봉을 오르내리고 마지막봉에서 13번 국도 까지는 계속 내림길이다. 변곡점에서 주의구간이 많다. 후답자를 위해 변곡점에‘배창랑과 그일행=山君들’표지기를 달면서 간다. 13번도로 절개지를 만난다. 우측으로 밭으로 내려 13번 국도에 내려선다.[1.6km][20분]

 

9.7km 157분 [13번 국도고개](12;47)

13번도로(cf 이 도로고개는 동향면 소재지쪽에서 천천면 쪽으로 이어지는 2차선 아스팔트 포장 도로다. 천천면 방향에 삼거리 가 있고 직진 방향이 천천면 방향이고 좌측으로 가는 길은 백암마을로 해서 계북면 으로 연결 되는 도로다.)를 건너 가축 축사있는 농장정문을 지나 농장 좌측 뒤 (13번도로 건너 절개지 우측)으로 이동 콘크리트 방호벽을 올라 묵은 임도따라 편안하게 능선에 붙는다.

잡목숲을 헤치고 능선길 이어 간다. 오름길 오른다. 짧은 거리 인데도 힘든 구간이다. 힘든 오름길을 오르고 변곡점에 주의하면서 다시 내림길을 내린다. 또 다시 도로에 내려 서는데 이번에는 진행 방향 좌측으로 내려 서기가 편하게 되어 있다.[1.5km][41분]

 

11.2km 198분[천향로도로고개](13;28)

도로명 표지에 천향로 라고 씌여져 있다. (cf 장수군 천천면 오봉리와 진안군 동향면 성산리를 이어주는 도로고개다.)이제 부터는 천반산 구간이다.(1호차가 대기중이라 막걸리 1병을 김대장님과 3명이 비운다. 다리가 풀려 오름길이 많이 힘들다. 산행중 술은 체질적으로 맞지 않나보다. 노자산.가라산때도 힘들었는데~)지도상 590.6 봉까지 오른데는 길이 좋지 않고 힘들었다.

 

590.6봉에서 부터 내림길을 한참 내려서 (14;09) 송전탑을 통과 하고 우뚝 솟은 천반산이 올려다 보인다. 본격적으로 오름길이 시작되는 곳에 네거리 갈림길 지점이다.

 

(14;16) 이정표(섬계마을 2.62 km/ 천반산 0.7 km.)를 만난다. 섬계마을은 진행 방향 우측으로 구량천 쪽에서 올라오는 길이고, 좌측은 가막리 쪽에서 올라 오는 길이다. 가파르게 보이던 오름길이지만 1단 2단 3단의 오름길이 이어져 편안하게 오름길 오른다. 암릉길 나타나고 픽스로프 걸려있는 암릉을 지나 봉에 오르고 능선길 조금 이어가니 천반산(깃대봉)이다.[2.6km][69분]

 

13.8km 267분[천반산](14;37~40)

정상에는 천반산(깃대봉)4각 정상석이 있고 삼각점(무주314/1983복구)도 있다. 남덕유산 서봉이 조망된다. 그리고 멀리 마이산도 보인다. 벤치도 3개나 놓여 있어 물 한모금 하면서 조망 즐기고 잠시 쉰다. 이정표(천반산.성터1.2km/죽도3.3km/가막리입구2.7km/장전마을입구1.6km)서있다.

 

장전마을 하산길이 휴양림쪽으로 나있어 (1.6km 짧다) 탈출하고 싶은 유혹도 있지만 모처럼 찾은 천반산의 백미코스를 밟지 않는다면 후회 될듯하여 이정표 ‘죽도3.3km’방향 능선길 이어가다가 (14;54)말바위(말안장 바위 아닐까?)를 지나고 다시 오름길 올라서니(15;07) 성곽이 남아있는 천반산 (성터)다.

천반산(성터) 이곳에도 천반산(성터) 정상석이 있다. 이정표(죽도2.0km/송판서굴0.8km/천반산깃대봉1.2km/장전마을입구2.1km)도 서있다. ‘죽도2.0km’ 방향으로 부드러운 능선길 이어가다가 밧줄을 잡고 양쪽 [뜀바위] 사이의 안부로 내려갔다가 다시 밧줄을 잡고 올라가 바위사면을 옆으로 돌아 가면 노송이 멋있는 뜀바위 전망대가 나온다.

 

조망 즐기고 암릉길 조심스럽게 죽도 방향으로 간다. 좌우로 깎아지른 듯한 날등을 지난다. 진행 방향 좌측으로 구량천이 구비 구비 흘러 내려 가는 풍경이 장관이다. 그리고 진행 방향 좌측은 장수에서 시작된 금강 상류가 천천면을 지나 내려 오고 있다.

 

(15;39)지나온 길만 안내하는 이정표 (천반산깃대봉2.8km/천반산성터1.6km/송판서굴1.4km)을 지나 잘 발달 된 등산로를 따라 죽도 폭포가 있는 구량천변에 도착한다.[3.2km][63분]

 

17.0km 330분[죽도폭포 앞 비포장도로](15;40)

(15;40) 역시 지나온 길만 안내하는 이정표(천반산깃대봉3.2km/천반산성터2.0km/송판서굴1.8km) 서있는 비포장 도로에 내려선다. 들머리를 위주로 한 이정표다. 좌우 아무런 표시가 없는 도로에서 우측으로 비포장 도로를 빠른 걸음으로 걷는다. 좌측 대량천과 급경사 산이 천혜의 요새 같다.(15;53) 잠수교 다리를 건너고 (15;55) 진성로 도로명 주소 붙은 민가를 지나 고개 넘어 49번 도로를 만나 조금 내려서니 장전마을 표석과 버스정류소 있는 곳에 산악회 버스가 기다린다.[2.0km][20분]

 

19.0km 350분[장전마을 표지석과 버스정류소](16;00)

잡목과 가시덩쿨이 많고 오르 내림과 독도 주의 구간이 많아 산행길이 힘들었지만 천반산 풍광이 힘들었던 고행길을 보상 해주는 산행길이었습니다. 선두주자 김경찬님께 부탁하여 막걸리 2잔 연거푸 받아 마십니다. 감사합니다. 버스안은 여성 대원들에게 양보하고 옷 보따리 들고 나와 버스정류소에서 대충 닦고 새옷 갈아 입습니다.

 

새마포 산악회표 찰밥 배급 받고 집에서 보온통에 준비해 온 냉이된장국에 밥말고 김. 갓김치. 곰취 반찬으로 막걸리 한잔 하면서 느긋하게 테이블 메이트끼리 따뜻한 봄햇살 속에 식사 마칩니다.

새마포산악회 대원들 모두가 산악회 허용시간 30 여분 전에 도착되어 식사 마칩니다. 1.2호차 포함 처음오신 분 2~3분이 좀 늦었지만 시간내 도착되어 17;20 장전마을 을 출발 20;50 합정역 도착합니다.

 

오늘도 바닥지 깔고 독도하시느라 애쓰신 김용지 대장님. 좋은 산행지 잡아주시고 귀경길 차안에서 캔맥주와 대형 플라스틱 병 맥주 잔 돌리면서 대원들 격려해주시는 독산타잔 김귀남 회장님께 감사드립니다.

 

10;10 영풍소류지 앞에 도착 합니다.

10;10 영풍소류지 모습입니다.

 초입은 인삼밭 가장자리를 통해 능선에 붙고  잡목의 저항이  심한 능선길 뚫고 오름길 올라서면 두루봉입니다. 두루봉 위치가  잘못된 곳에 선답자 표지판이 붙어 있습니다. 두루봉은 653봉 쌍묘 있는 곳 입니다.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덕유산 방향

조망

조망

11;20 영구산입니다.

영구산 인증사진 입니다.

영구산 삼각점(무주**/1983재설)입니다.

능선길 이어가다가 만난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조망

12;27 망치봉 삼각점(무주**/1983재설)입니다.

12;46 13번 도로에 내려서기 전  도로건너편 농장 모습입니다.

13번 국도고개 모습입니다.  도로건너 농장 뒤(절개지 우측) 콘크리트 방호벽을 올라서면  농장 뒤로 임도가 나와 편안하게 능선으로 붙을수있습니다.

13;28 천향로  고개 입니다. 절개지 좌측으로 내려오는 것이 좋습니다. B팀은 이곳에서 출발했습니다. 기다리는 1호차에서  준비한 막걸리 2잔을 했습니다. 먹을때는 좋았는데 산행이 힘들었습니다.

잡목의 저항을 뚫고 힘들게 봉에오르고 내림길에 만난 14;09 송전탑입니다.

14;16 산행중 처음 만난 이정표(천반산깃대봉0.70km/섬계마을2.62km)입니다.

조망

조망

천반 오름길 암릉

암릉

14;37~14;40 천반산 정상 입니다.

천반산 정상 삼각점(무주314/1983복구)입니다.

천반산정상 이정표 입니다. 천반산 풍광과 암릉코스를 제대로 타기위해 장전마을 하산길 유혹을 뿌리치고  죽도 방향을 따릅니다.

천반산 인증사진 입니다.

 

조망입니다.

조망

조망

조망

암릉과 노송

14;54 말바위(말안장바위?) 입니다.

 

조망

풍광

조망

15;07 성터 입니다.

15;07 천반산 정상석이 있는 성터 입니다.

15;07 천반산 성터 이정표 입니다.

15;13 송판서굴 갈림 이정표 입니다.

15;13 뜀바위 안내판입니다.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조망

조망

15;39 이정표 입니다.

15;40 이정표 서있는  죽도 폭포앞  비포장 도로에 내려 섭니다.

풍광

풍광

풍광

풍광

비포장 도로를 따릅니다.

잠수교를 건넙니다.

도로명 주소가 진성로 입니다

16;00 장전 마을 표지석입니다.

16;00 장전 마을 버스정류소 입니다.

 

산행지도.1

산행지도2

산행지도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