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봉(372m) 내곡산(455m) 용성산(408m) 덕곡산(265m) 새터봉(231m)/경북 경산
산행일자; 2025년 4월 19일 (토) 날씨; 맑음. 산행거리; 약 10km 산행시간;3시간 42분(11;16~14;59)
교통편 ;아리솔마운틴 클럽
비용;50,000원(하산 후 막걸리와 현지식당 식사제공비용포함)
산행코스; 외촌고개"경북경산시용성면 외촌리 1366번지"이정표(부동목장/용성면/금박산) →임도 →묘지뒤 능선진입 →급경사 오름길 →
조봉(372) → 부동목장 →이정표 → 산길진입 → 447봉 → 내곡산(455) → 용성산(408) → 덕곡재 → 덕곡산 → 새터봉- → 당리교사 거리 → 용성면사무소 ( 경북 경산시 용성면 당리리)
■"조봉(372m) 내곡산(455m) 용성산(408m) 덕곡산(265m) 새터봉(231m)"은 경상북도 경산북 용성면 외촌리, 덕천리, 도덕리, 당리리에 소재한 산이다. 이들 산은 국립지리원 발행지도, 영진지도, 네이버지도, 다음 지도상 모두 무명봉이다. 다만 오룩스맵 Korea지도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 덕곡산은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덕천리 도덕리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는 265m이다. 지역의 자연과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 산은 용성면의 여러 산들과 함께 지역 주민들에게 휴식과 여가를 제공하며,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있다. 덕곡산 주변에는 풍덕산과 우덕산 같은 다른 산들도 있어, 자연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소이다.
■ 덕천리는 용성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약 2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이 마을의 지형지세는 마을 앞 풍덕산과 마을 뒤 우덕산, 덕곡산이 포근히 감싼 배산임수(背山臨水) 격에 금계포란(金鷄抱卵) 형국이다. 덕천리는 옛 자인현 하동면 구역에 속하였던 구역으로, 1949년까지 용성면사무소가 존치하였으나, 동년에 큰 화재로 모두 소실되어 지금의 당리로 옮겨졌다.
1984년에 출간된 경상북도 지명유래총람(경상북도교육위원회)에 의하면, 덕천리는, 임진왜란 이후 경주김 씨가 이 마을을 개척하면서 큰 덕을 바란다는 뜻으로 망덕(望德)이라 하였으나, 이후 망덕(望德)이 망덕(亡德)과 발음이 구분되지 않는다 하여 마을 앞 풍덕산과 마을 뒤 유덕산, 덕곡산의 3 덕(德) 자의 큰 덕(德) 자와 오로 천의 “내(川)”자를 따 덕천(德川)이라 고쳐 불렀다고 하나, 그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이를테면, 덕천1리는 앞에서와 같이 처음 망덕(望德), 즉 덕을 바란다는 유가적 의미가 있었으나, 그 발음이 여의하지 않음으로 바랄 망(望) 자는 없애고, 큰 덕(德) 자는 살려 앞의 오로 천(烏鷺川)을 상징화하여 큰 덕(德)이 냇물처럼 흘러 모이는 마을이란 지명 유래가 덧붙여졌다는 것이다.
용성면 덕천1리 경주김 씨 집성촌 용성면 덕천1리 동구(좌측 이 마을 당산목)용 성인의 상징인 거대한 용산(龍山)이 동북으로 아스라이 다가서는 이 마을은 경산시 최 동극(東極)인 구룡산(九龍山)에서 발원하는 오로 천(烏鷺川)이 풍덕산(豊德山)과 우덕산(牛德山, 또는 有德山), 덕곡산(德谷山)을 포근히 감싸 안은 용성면 덕천1리이다.
2025년 04.19(토)(07;05) 신논현역 8번 출구 나와서 (07;00) 논현역 출발 신논현역 8번 출구 앞에 대기 중인 아리솔마운틴 클럽 대원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강남, 양재, 복정을 거친 후 죽전 , 신갈간이정류장에서 대원들 탑승하니 약 18명입니다.
차는 중간 화서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 10분 (09;37~09;47) 갖고 (10;44) 신녕 TG 빠져나와 28번 도로를 달리다가 용성로에 접어들어 (11;16) 산행들머리로 잡은 금박산 이정표 서있는 외촌고개에 도착 도로 건너 이정표 앞에서 산행 시작합니다.
0km 0분[외촌고개 이정표](11;16~11;17))[1분]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외촌리 1366번지"금박산 이정표(부동목장/용성면/금박산) 서있는고에서 금박산반대편 임도길로 들어가면서 산행시작한다.
(11;17) 외촌고개 타 고온산악회버스에서 하차 산행시작하는 대원들입니다
(11;17) 도로교통표지판(경산시/어서 오십시오/용성면) 서있다.
(11;17) 금박산 이정표(부동목장/용성면/금박산 1.9km)에서 이정표 (금박산) 반대방향 임도길로 들어섭니다
(11;17) 묘지에서 좌측으로 오릅니다
(11;19) 묘지상단부에서 능선을 향해 오릅니다
(11;22) 능선길을 천천히 오릅니다
(11;29) 픽스로프 깔린 급경사 오름길 오릅니다
(11;35) 무명봉에 힘들게 올라 우측부드워진 능선길 완만하게 진행합니다
(11;38) 등로는 양호합니다
1.0km 24분 [조봉](372m)(11;40)
대전 올산 아님 표지기 정상으로 옮겨(정상초입에 있어) 표지기"조봉 372m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과 함께 나란히 부착한다. 부착하고 보니 한편 조금 높은 나 누가지에 대구김명근 님과 이종태 님 표지기도 보인다.
(11;40) 조봉(372m) 정상입니다.
(11;40) 조봉(372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42) 임도길에 내려서 임도길 따릅니다
(11;44) 임도길에서 조망 1
(11;44) 임도길에서 조망 2
(11;45) 임도길로 편안하게 진행합니다. 힘든 조봉 오름길에서 빠진 원기를 보충합니다.
(11;52) 보록거울 있는 임도 3거리에서 이정표 무시하고 (cf우회하지 않고 짧게 능선 붙기 위해) 외촌리 방향에서 신길 진입합니다.
(11;52) 산길진입 후 볼록거울 3거리를 되돌아봅니다
(11;52) 오름길이 힘듭니다.
(12;14) 마지막 오름길입니다
(12;36) 능선길이 편안 합니다
(12;43) 조망입니다
(12;43) 조망 2
(12;43) 편안한 임도길입니다
(12;49) 편안한 오지산길에서 여유를 부려 봅니다
(12;50) 내곡산을 향한 오름길이시작됩니다.
4.4km 103분 [내곡산](455m)(12;59~13;00)[1분]
삼각점(판독어려움) 있고 대구 뫼들님 표지기 옆에 표지기"내곡산 455m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건다.
(12;59) 내곡산(455m) 정상입니다.
(12;59) 내곡산(455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00) 내곡산(455m) 정상 삼각점(영천 460?/1982 재설?)입니다
(13;17) 한전 철탑을 통과합니다.
(13;18) 용성산 오름길 잡목구간을 통과합니다.
5.4km 124분[용성산](408m)(13;20)
선답자님들 표지기 사이에 표지기"용 성산 408m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건다.
(13;20) 용성산(408m) 정상입니다.
(13;20) 용성산(408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28) 용성산 하산길 엄청 급경사입니다
(13;28) 급경사길 조심스럽게 내려섭니다
(13;32) 급경사는 아직도 멀었습니다
(13;38) 조망입니다
(13;51) 덕곡재 이후 편안한 등로 이어갑니다.
(13;57) 덕곡산 오름길입니다. 정상이 머지않았습니다
7.3km 164분 [덕곡산](265m)(14;00)
덕곡산(265m) 정상 표지기"덕곡산 265m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건다.
(14;00) 덕곡산(265m) 정상입니다.
(14;00) 덕곡산(265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06) 새터봉 가는 도중 만나는 220봉은 오르지 않고 허리길로 진행합니다.
(14;24) 새터봉 가는 길입니다
(14;25) 등로는 편안합니다
(14;34) 새터봉 위치 확인 합니다
8.7km 199분 [새터봉](231m)(14;35)
대구 김명근 님과 이종태 님 표지기 옆에 표지기 "새터봉 231m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건다.
(14;35) 새터봉(231m) 정상입니다.
(14;35) 새터봉(23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35) 새터봉(231m) 정상 삼각점(영천 491/1982 재설)입니다.
(14;43) 부드러운 하산길이 지루하게 이어집니다
(14;57) 마지막 산뿌리가 조금은 위험합니다. 도로에 내려서 뒤돌아본 모습입니다
(14;57) 무사히 도로에 내려 서 우향 도로 따라갑니다.
10.0km 223분 [용성면사무소](14;59)
산행종료한다.
(14;59) 용성면사무소 마당에 주차된 산악회버스입니다. 산행종료합니다.
(14;59~ 16;30)[91분] 아리솔 마운틴 클럽 제공 막걸리 1병 꺼내 함께한 누리님과 건배 목마름 달랩니다.여성대원들은 면사무소 화장실 로가서 씻고 환복하고 남자 대원들은 버스안에서 대충 수건에 물젹시어 닦고 새옷 환복합니다. 환복후 막걸리1병 더 꺼내 여유롭게 마시면서 시간 즐깁니다. 면사무소 앞 용성 반점에서 배하사님 1 만산봉 등정 기념과 아리솔 101차 산행 기념으로 아리솔마운틴 클럽 배하사님이 쏜 탕수육과 짜장면으로 맛난 식사 즐깁니다. 후미들 식사 끝난 (16;30) 용성면사무소 출발하면서 고향 근처산에 온 기념으로 채약산님이 구론산 제공해 주시어 후식으로 잘 먹습니다. 배하사님. 과 채약사님께 감사드립니다.
차는 중간 청남대 휴게소에서 휴게시간 약 10분(18;45~18;55) 갖고 (20;10) 양재역 도착합니다. 빗길에 운전하시느라 수고하신 손재권 기사님께도 감사드립니다. 3/9호선으로 (20;58) 가양역도착 (21;08) 귀가합니다.
447봉 이후 용성산 까지 두릅이 많은 구간을 통과하면서 먹을 만큼 두릅을 채취 할수있었습니다.선두에서 장대장님이 어렵게 딴 두릎을 주시어 누리님과 함께 나눌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 먹겠습니다.
로커스트랙지도
오룩스맵 korea지도
산행기록표
e-동아트랙지도
산행기록표 2
실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