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골산(262m).고산(140m).명덕산(208m).가래산(177m).대묘산(216m).깃대봉(204m△충북37)/충북괴산
산행일자;2025년 02월 11일(화). 날씨; 맑음. 산행거리; 약 10.9km 산행시간 ;4시간 50분(09;10~14;00)
교통편 및 비용;(38,200원=왕복 고속버스비 27,000원+택시비(11,200원)
<갈 때> 센트럴시티(호남)(06;45)~(13,500원/고속버스일반/2시간)~괴산터미널(08;45) ~택시 11,200원~ 괴산읍 검승리 늘 푸른 주유소(폐업)(09;04) 산행준비 후 (09;10) 산행시작
<올 때> 괴산터미널(14;00~14;10)[티켓팅 및 배낭정리]~(13,500/고속버스/2시간 10분 )~센트럴시티 호남(16;20)
산행코스;괴산. 검승리 푸른 솔주유소(폐업). → 성골산 262. → 이탄교 → 고산 140 → 제월대유원지 → 제월 1리 버스정류장 → 제월 2리 마을회관 → 명덕마을 → 명덕산 208 → 오천자전거길 제월 1리 버스정류장 → 제월 2리 마을회관 → 괴강로 →기지국도로 우측산길 → 가래산 177 →. 대묘산 216. → 깃대봉(204 충북 37) → 보훈공원 → 괴산터미널
■ "성골산(262m). 고산(140m). 명덕산(208m). 가래산(177m). 대묘산(216m). 깃대봉(204m△충북 37)"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검승리, 제월리, 대덕리, 동부리에 소재한 산이다. 국립지리원 지도상 무명봉 이아 오룩스맵 Korea지도, 다음 지도 네이버지동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고산(140m)은 유명한 고산정이 있어 고산이란 이름을 얻은 듯싶다.
■고산정 및 제월대(槐山孤山亭-霽月臺)
고산정(孤山亭)은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면에 있는 조선후기 충청도관찰사 유근이 건립한 누정. 정자. 시도기념물이다. 괴강(槐江)이 내려다보이는 제월대 옆에 있는데, 조선 선조 때의 명현(名賢) 서경(西坰) 유근(柳根)이 충청도관찰사(忠淸道觀察使)로 있을 때 이곳의 풍광을 사랑하여 선조 29년(1596) 만송정(萬松亭)과 고산정사(孤山精舍)를 짓고 광해군 때 낙향하여 이곳에 은거하였다.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건물. 1978년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596년(선조 29) 충청도관찰사로 있던 유근(柳根)이 이곳의 풍광을 사랑하여 별서(別墅)를 꾸며 만송정(萬松亭)이라 부르다가 광해조에 이르러 어려운 정치를 피하여 이곳으로 하향, 고산정이라 개칭하였다. 인조 때 명나라 사신 웅화(熊化)가 올 때 유근이 원접사(遠接使)로 나가 시문(詩文)의 교류가 두터워 태화가 「고산정사기(孤山精舍記)」를 지어 보내니 지금까지 명문(名文)으로 전해오고 있으며, 현판에 새겨 정자 안에 걸어놓았다.
그 밖에도 사부사(謝副使)가 지어 보낸 「만송정팔경시(萬松亭八景詩)」가 있는데, 만송정팔경은 일명 고산팔경(孤山八景)이라고도 하며, 만송정을 비롯하여 영객령(迎客嶺)·제월대·관어대(觀魚臺)·영화담(映花潭)·황니파(黃泥坡)·창벽(蒼壁)·은병령(隱屛嶺)의 여덟 가지 경관을 일컫는다. 정호현판(亭號懸板)은 이원(李元)의 글씨이고, 「호산승집(湖山勝集)」의 현판은 명나라의 사신 주지번(朱之蕃)의 글씨이다. 숙종조에 편찬된 괴산군읍지(槐山郡邑誌)에 "孤山精舍 在郡東八里 乙亥年 爲火燒盡"이라 하여 고산정사가 숙종 21년(1695)에 화재로 전소되었다고 했으며, 이후의 기록에 고산정사의 재건과 관련된 언급이 없어 지금 ‘고산정’이라 부르는 건물은 만송정을 개칭한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단층 목조기와집으로 사면 모두를 개방하고 평난간을 둘렀다. 정자에는 이원(李元)이 쓴 ‘孤山亭’이란 현판과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선조 39년(1606)에 쓴 ‘湖山勝集’이라는 편액, 그리고 명나라 사신 웅화(熊化)가 광해군 1년(1609)에 쓴 ‘孤山精舍記’가 있으며 고산정사기는 명문으로 이름이 높다.
맑은 냇물이 발아래로 굽어 보이는 벼랑 위에 세워져 있다. 정자 동남에는 제월대(霽月臺)라 이름한 암반이 있어서 정자 남쪽에 전개된 야산의 수려한 경관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2025년 02월 11일(화).(06;45) 센트럴시티(호남)에서 고속버스를 타고 (08;50) 괴산 터미널에 도착합니다. 오후 서울 센트럴시티(호남)행 시간표 카메라에 담아두고 줄 서 기다리는 택시(11,200원/약 10분)로 (09;05) 산행들머리 괴산읍 검승리 131-6 "S-Oil 푸른 주유소 (폐업/공가)"에 도착 약 5분 산행준비 후 (09;10) 도로 건너 바로 산행시작합니다.
괴산은 최근 전국적인 폭설 후 영하 20도까지 내려간 적이 있어 아직 폭설로 쌓인 눈이 녹지 않아 눈산행이 됩니다. 아이젠을 "신 얻다 버섰다" 하니 귀찮고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온도가 올라간 낮시간부터는 아이젠에 눈이 덕지덕지 붙어 더 불편하기도 한 산행 길였습니다.
성골산(262m)은 성불산. 도덕산 답사 때(2018.1.11. 목요일.)는 무명봉이었는데 최근 이름이 생긴 산이어서 찾은 산입니다. 초입 등로만 찾으면 (cf폐주유소에서 도로 건너 웅덩이 쪽 에서 능선에 붙음) 정상까지 등로는 좋습니다. 계속 가면 성불산으로 이어 지지지만 성불산은 기답 사한 산이라 부드러운 능선 타고 하산 이탄교를 건너 고산으로 향합니다.
고산(140m)은 고산정과 제월대 때문에 등로가 정비된 산책길 같은 아름다운 산입니다. 명덕산은 명덕마을에서 마을뒤 소로 따라 왕복산행을 하고, 가래산(177m)은 이동통신을 오르는 도로가 문이 닫혀있고 관리동이 있어 출입이 금지되어 길 우측으로 임도 따르다가 사유지 팻말이 있는 곳에서 희미한 등로 따라 능선에 붙어 정상에 오릅니다. 정상은 외래종 넝쿨이 차지하고 있어 나무한구루가 없어 정상아래 나무에 표지기를 부착했습니다. 대묘산은 괴산 보훈공원에서 오르면 쉬울 것인데 묘지길로 올라 넝쿨의 저항이 있었습니다. 깃대봉 삼각점( 충북 37)은 눈 때문인지 없어진 것인지 찾질 못해 아쉬웠습니다. 깃대봉에서 안부로 Back보훈공원길 따라 괴산대교 건너 괴산 터미널에 도착 무인 판매기에서 승차권 티켓팅하여 고속버스에 승차 귀경합니다
0km 0 분[ 검승리 131-6 검승리131-6 "S-Oil 푸른 주유소 " ] (폐주유소/공가)(09;10)
괴산읍 검승리 131-6 "S-Oil푸른주유소 (폐주유소/공가)"에서 도로 건너 산행시작한다.
(09;10) 괴산읍 검승리 131-6 "S-Oil 푸른 주유소 (폐주유소/공가)입니다
(09;20) 눈 쌓인 능선길입니다
0.6km 35분 [성골산](262m)(09;45~09;47)[2분]
신상호 님, 산마루님, 김명근 님 표지기가 반긴다. 아이젠 하기가 귀찮아 신지 않은 럿셀 산행이 되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하산 때는 아이젠 착용한다.
(09;45) 성골산(262m) 정상입니다.
(09;45) 성골산(262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0;06) 하산길 조망입니다
(10;19) 이탄교를 건너 뒤돌아 봅니다. 달천이 강이라 명명해도 좋을 만큼 넓습니다.
(10;20) 달천 제방길입니다
(10;26) 고산 풍광입니다
(10;30) 고산입구 이정표(제월대유원지 620m/이탄교 860m)입니다.
(10;31) 잘 정비된 목책계단을 오릅니다
2.9km 89분 [고산](140m)(10;39)
높은 나뭇가지에 유일하게 매달린 신상호 님 표지기 옆에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표지기 건다.
(10;39) 고산(140m) 정상입니다.
(10;39) 고산(140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고산정 정자입니다(퍼온 사진)
괴산고산정 및 제월대 설명판입니다.(퍼온 사진)
(10;39) 고산(140m) 정상 아름다운 풍광 1입니다.
(10;39) 고산(140m) 정상 아름다운 풍광 2입니다.
(10;45) 제월대 이정표(애한정 3.4km/고산정 110m)입니다
(10;50) 제월대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풍광입니다
(10;55) 제월 1리 버스정류장입니다
(11;02) 제월 2리 마을 표지석입니다
(11;06) 제월 2리 마을회관입니다
(11;13) 명덕산(208m) 오름길 등로입니다
5.1km 143분 [명덕산](208m)(11;33)
죽천님 표지기 만나니 반갑다. 청소될 곳이 아닌데 신상호 님 표지기 한참을 찾아보아도 안 보인다.
(11;33) 명덕산(208m) 정상입니다
(11;33) 명덕산(208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40) 되돌아오면서 내려다본 명덕마을모습입니다
(11;56) 제강로 종이류 체험관에서 바라본 명덕산(208m)입니다. 거의 절벽 수준입니다
(12;37) 가래산 능선에서 만난 평강전 씨 묘지입니다. 명덕산에서 가래산 들머리까지 쏘가리길 따르고 오천 자전거길 따르다가 괴강교 건너 이동통신 송신탑을 목표로 진행합니다. 중간 도로가 연결되지 않아 지하차도까지 모텔 쪽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12;37) 능선에 오르면 등로는 양호합니다
8.2km 219분 [가래산](177m)(12;49)
가래산 정상은 외래식물 넝쿨이 차지하고 있다. 정상아래 나무에 故 한현우 님 표지기 수선하여 부착하고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표지기부 착한다.
(12;49) 가래산(177m) 정상입니다
(12;49) 가래산(177m) 정상 인증사진 1입니다
(12;49) 가래산(177m) 정상 인증사진 2입니다
(12;58) 가래산 정상에서 임도길로 내려섭니다
(13;08) 대묘산 초입입니다
(13;11) 대묘산 등로 초입 큰 묘지입니다.
(13;11) 묘지에서 괴산 읍내를 바라본 전경입니다
9.1km 255분 [대묘산](216m)(13;25)
큰 묘지 덕분에 대묘산 이름을 얻은 듯싶다. 안 보이던 신상호 님 표지기 만나니 반갑다.
(13;25) 대묘산(216m) 정상입니다.
(13;25) 대묘산(216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33) 보훈공원 포토죤입니다
(13;34) 이정표(고시산보훈공원 640m/고추유통센터 530m)입니다.
9.5km 273분 [깃대봉](204m)(13;43~14;45)[2분]
눈 때문인지 없어진 것인지 삼각점(충북 37)은 찾지 못한다. 표지기 1장을 걸고 인증사진 남기고 안부로 Back 한다.
(13;43) 깃대봉(204m △충북 37) 정상입니다. 삼각점은 못 찾았습니다
(13;43) 깃대봉(204m △충북37) 정상입니다.
(13;43) 깃대봉(204m △충북37)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0.9km 290분 [괴산 시외버스터미널](14;00)
산행종료한다.
(14;00) 괴산 시외버스터미널입니다.
(14;00~14;10)[10분] 1시간 늦게 (15;10) 버스를 타고 가고 시장 근처 추어탕집에서 식사할까 잠시고민 하다가 , 빨리 집에 가서 씻고 싶어 터미널 무인 발권기(매표원은 퇴근한 건지 매표소 문은 닫힘)에서 발권하고 대충 짐정리 하고 (14;10) 출발하는 서울 센트럴시티(호남) 행 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몇 사람 안된 승객 (5명 탑승 이후 증평에서 10여 명 탑승) 탑승한 한적한 따뜻한 고속버스 안에서 메고만 다닌 빵과 과일 그리고 이온 음료로 점심식사 대용합니다. 그리고 증평 도착 전 뒷자리에서 상의만 새 옷으로 환복 합니다. 이후 앞자리로 자리 옮겨 한잠 자고 나니 (16;20) 센트럴 시티(호남) 터미널입니다. (16;30) 지하철 9호선 탑승장으로 이동 9호선 급행으로 (16;55) 가양역 도착 (17;05) 귀가합니다.
오룩스맵 Korea트랙지도
산행기록표 1
산행기록표 2
e-동아트랙지도
실트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