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상아재봉(51m)모우재산(73m)무리재산(34m)마산(31m)뱀산(29m)오염산(19m)쪽박산(16m)/경기시흥7산

배창랑 2025. 2. 9. 16:13

상아재봉(51m)모우재산(73m)무리재산(34m)마산(31m)뱀산(29m)오염산(19m)쪽박산(16m)/경기시흥7산

산행일자;2025년 2월 8일(토요일). 날씨; 맑음(몹시 춥다가 온화해짐). 산행거리; 약 12.0km.  산행시간; 약 4시간 13분(10;10~14;23)

 

교통편 및  비용(시니어무료). [개인산행]

<갈 때> 가양역~[9호선]~김포공항역~[서해선]~신현역(경기 시흥시 신현동)

<올 때> LH12단지( 인천 남동구 서창동 )~[택시/8,200원)~남동구청역~[인천 2호선]~검암역~[공항선]~김포공항역~[9호선]~가양역

 

산행코스; 서해선 신현역 1번 출구(산행시작)→ 횡단보도(시흥대로) →  상아재봉 →  횡단보도(시흥대로) →  SK주유소 →  사유지 밭울타리→  모우재산 →  구수미 1길 →  무리재산 →  구수미 3길 → 신현역 2번 출구 → 신현로 → 마산 → 농로 → 뱀산 → 서해안로 → 조경농장 → 오염산 → 신천다리 → 쪽박산 → 신천 둑길(청룡저수지길) → 다리 → 인천 서창 LH12단지 아파트(산행종료)

 

■ 상아재봉(51m) 모우재산(73m) 무리재산(34m)은 경기 시흥시 신현동에 소재한 이고 "마산(31m) 뱀산(29m) 오염산(19m) 쪽박산(16m)"은 경기시흥시 방산동에 소재한 산이다. 국립지리원 지도에는 그 이름이 나오지 않지만 오룩스맵 Korea지도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바닷가 언덕 수준의 산이다. 폐염전 지대 사유지 산도 있어 이런 산도 산이라고 답사해야 하는가 하는 자괴감이 들기도 하는 산이다.

 

■방산동(芳山洞)은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이다. 방산동은 시흥시 중서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신현동에서 관할한다.
방산동은 방곡리(芳谷里)의 ‘방’ 자와 산정리(山井里)의 ‘산’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방산동의 마을인 방곡리는 ‘밤송이를 닮은 마을’이라는 의미이고, 산정리는 ‘대동우물이 있는 마을’이라는 각각의 지명 유래가 합쳐진 것이다.
방산동은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신현면 방곡리, 산정리, 죽원이었다. 1914년 4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인천부 일부와 부평군이 합쳐져 부천군이 신설되면서 신현면, 전반면, 황등천면이 소래면으로 통합되자 부천군 소래면 방산리가 되었다. 1973년 7월 1일 소래면이 시흥군에 편입되면서 시흥군 소래면 방산리가 되었고, 1980년 12월 l일 소래면은 소래읍으로 승격하였다. 1988년 12월 31일 시흥군이 해체되고 1989년 1월 1일 소래읍, 수암면, 군자면이 합쳐져 시흥시로 승격되자 시흥시 방산동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방산동은 시흥시 중심에서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남동구와 접하며 시흥갯골생태공원이 인접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포동과 미산동이 인접해 있다. 북쪽으로는 제2경인고속도로가 지난다. 청룡저수지와 쪽박산이 있으며, 특산물로는 포도가 많이 생산된다.
방산동은 2017년 12월 현재 면적은 5.86㎢이며 297세대에 총 579명[남자 350명, 여자 229명]이다. 행정동인 신현동이 관할하는 법정동이다. 문화재로는 사적 제413호로 지정된 ‘시흥 방산동 청자와 백자 요지’가 있고, 주요 시설로는 극동방송 송신소가 있다. 개발이 덜 되어 아파트 단지나 상업 시설이 크게 눈에 띄지는 않으며 농촌 마을에 더 가깝다.
방산동에는 방골, 황골, 마루미, 다니, 다지골, 산우물, 고잔, 황사지 등의 자연 마을이 있다. 가장 큰 마을은 방골과 고잔이다. 방골이 언제 형성됐는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아랫말 이상진 댁이 9~10세기 초에 청자·백자를 생산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마을의 역사는 1천 년은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이며 물맛이 좋아 장수촌으로도 알려져 있다. 광복 무렵 방골의 가구 수는 40호가량 되었다. 마을에 공장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호수가 많이 줄었다.
고잔은 포동 신촌 서쪽의 서해 연안에 있는 마을이다. 고지[곶]의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고잔도 광복 무렵에는 40호가량 되었으나, 1980년대 인근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마을 사람들이 이주하게 되어 가구 수가 줄었다. 고잔, 산우물, 다지굴에는 염전에 다니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는 비가 오지 않으면 모를 심기 어려운 환경 때문이었다고 한다.

 신현동(新峴洞)은 경기도 시흥시에 속하는 방산동 ·포동·미산동을 관할하는 행정동이다. 신현동은 본래 인천부 신현면에 속했던 지역이다. 관할 법정동인 포동 새우개가 신현(新峴)의 순한글 표현이므로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에 지역의 전통을 계승하자는 의미에서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인천부 신현면이라는 명칭이 사용된 때는 18세기 중반 이후이다. 1759년(영조 35)에 발간된『여지도서』 「인천도호부」 방리조(坊里條)에 신현면은 “인천부에서 동남으로 30리[약 11.8㎞]에 자리하고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1789년(정조 13)에 발간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신고개면으로 기재되어 있고, 당시 방리에는 일리, 이리, 삼리, 사리, 포촐리 등 5개 리로 편제된 상태였다. 1861년(철종 12)에 제작된 『대동여지도』에는 다시 신현면이 등장하지만, 1871년(고종 8)에 발간된 『인천부 읍지』에는 또다시 신고개면이 나타난다. 이후 1890년대부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부천군 소래면에 속할 때까지 신현면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1973년 부천군에서 시흥군으로 편입되고 1980년 소래읍으로 승격하면서 신현이란 지명은 포리 새우개의 자연 마을 이름 한자 표현으로만 남게 되었다.
1989년 1월 1일 시흥시 출범 당시에 미산동, 포동, 방산동, 하중동을 관할하는 신관동으로 개청 하였다. 새우개[신고개]의 ‘신’ 자와 관곡마을의 ‘관’ 자를 따서 만들어진 명칭이었다. 1991년 1월 15일 ‘시흥시 출장소 설치 조례’ 제230호에 따라 하중동이 연성출장소로 분소 하게 된 후에도 신관동 명칭을 사용하다가 1992년 1월 1일에 ‘시흥시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에 관한 조례’ 제282호에 따라 신현동으로 명칭을 변경하게 되었다. 신현동 주민센터는 시흥시 신현로 46에 있다.
신현동은 학미산과 망재산을 비롯하여 낮은 산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포동 새우개 남쪽으로는 폐렴전이 드넓게 남아 있다. 방산동과 미산동에는 포도밭을 비롯하여 농경지가 많이 남아 있다.
신현동은 2017년 12월 현재 면적은 12.64㎢, 인구는 4,490세대에 총 1만 1294명[남자 5,903명, 여자 5,391명]이다. 시흥시의 중심부에서 서쪽에 자리하며 동쪽으로는 은행동과 매화동, 서쪽으로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쪽으로는 장곡동과 월곶동, 북쪽으로는 신천동과 경계를 이룬다. 청룡저수지가 있으며 사적 제413호 시흥 방산동 청자와 백자 요지가 있다. 포리초등학교, 신현행복건강센터, 시흥교통 버스 차고지, 솔숲공원, 포동시민운동장 등이 소재한다. 신현동 주민센터 건물을 신축하면서 이전의 건물은 도서관과 주민들의 다목적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어업과 농업이 전반적이었던 신현동의 방산동, 포동, 미산동은 시흥 특산물인 호조벌의 햇토미와 시흥 포도를 생산하는 농가를 제외하면 대부분 주거지에 자리를 잡은 임대형 공장들에 의한 임대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신현동의 자연 마을로는 방산동에는 다니, 다지골, 뒷그늘, 마루미, 밤뒤, 방골, 사탄말, 산우물, 황골 등이 있다. 포동에는 새우개, 신촌, 걸뚝 등이 있으며 미산동에는 구시미, 양우재, 고기동, 월촌, 창동 등이 있다.

 

2025년 2월 8일(토요일)(08;15)  느지막하게 집을 나섭니다. 당초 아리솔 산악회로 전북임실 소뿔산등이 예정되었지만 입춘이 지났는데 때아닌  한파와 폭설, 고속도로 사고 뉴스, 산행지 폭설 뉴스가 원인이 되어 전날 산행이 취소 결정됩니다.

날씨도 춥고 (영하 13도) 하루 쉴까 하다가 몇 주 전"뒷동산(44m) 장아산(71m) 범배산(61m) 매봉재산(86m) 망재산(102m) 안살미산(71m) 골바닥산(81m) 학미산(95m)/인천남동, 시흥시포동/산행일자;2025년산행)(10;00~16;40) 교통편 및 비용;<갈 때> 가양역~[9호선]~김포공항~[공항선]~검암역~[인천 2호선]~운연역 <올 때> 신현역~[서해선]~김포공항~[9호선]~가양역산행코스;인천 2호선 운연역~뒷동산 44~장아산 71~범배산 61~매봉재산 86~망재산 102~안살미산 71~골바닥산 81~학미산 95~서해선신현역"때  결빙된 도로 사정 때문에 

 부득이 미답으로 남긴 산 "상아재봉(51m) 모우재산(73m) 무리재산(34m) 마산(31m) 뱀산(29m) 오염산(19m) 쪽박산(16m)/ 경기시흥 7 산"을 목표로 합니다.

일기 예보상 10;00 이후는 영하의 날씨라도 많이 온화해지는 듯합니다. 누리님과  김포공항역 서해선 탑승장에서 만나 (09;16) 서해선 타고 약 25분 후 (09;41) 신현역에 도착합니다. 신현역에 내려 역사 내 의자에서 과일도 깎아 먹고 빵도 먹고  커피도 한잔하하고 약 30분 느긋하게  추위대비 산행준비 후 (10;10) 신현역 1번 출구를 나와  바로 산행시작합니다. 칼바람이 불고 몹시 춥습니다.

 

0km 0분[서해선 신현역 1번 출구](10;10)

산행시작한다.

 

 

(10;10) 서해선 신현역 1번 출구입니다.

(10;24) 능선에 올라 좌측으로 개인농장을 진행합니다. 농장이 끝나는 지점에 나무를 꺾어 울타리를 쌓아 놓아 좌측으로 우회혀 통과 합니다

(12;31) 능선에 등로가 열립니다.

(10; 32) 정상이 가깝습니다.

1.0km  24분  [상아재봉](51m)(10;34)

故문정남 선생님, 신상호 님.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만산동회표지기 걸려있고 배하사님 상아재봉 비닐코팅 표지탄 매여있다. 故문정남 선생님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10;34) 상아재봉(51m) 정상입니다.

(10;34) 상아재봉(5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0;40) 도로에 내려섭니다

 

(10;47) 도로따릅니다

(10;53) 가야할 모우재산을 조망합니다

(10;53) 선답자 트랙을 무시하고 도로따릅니다

(10;53)도로끝지점에서 오르면 쉬울거라 생각합니다

(10;57)도로는 철대문으로 잠겨있습니다. 되 돌아서 나옵니다

(11;02) 우측 그물망 울타리를 넘습니다

(11;03) 개척으로 치고 오릅니다

 

(11;05) 모후재산 으로 오르는 좋은 등로가나타납니다.

(11;06) 좋은 등로 따라 능선길 오릅니다.좋은 등로는 묘지에서 끝나고 정상은 조금더 올라야 합니다

2.6km   62분  [모우재산](73m)(11;12~11;14)[2분]

故문정남선생님. 맑음님.신상호님 표지기걸린 모우재산 정상이다.

 

(11;12) 모우재산 (73m)정상입니다.

(11;12) 모우재산 (73m)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1;12) 모우재산 (73m)정상 인증사진(2) 입니다.

(11;24)  창령성씨 인현제 표지석입니다

3.6km   84분 [무리재산](34m)(11;34)

많은 선답자님들 표지기 걸린 정상이다.

 

(11;34) 무리재산(34m) 정상입니다.

(11;34) 무리재산(34m)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1;34) 무리재산(34m) 정상  배하사님 표지판 입니다.

(11;38) 하산길 조망입니다

 

(11;49) 신현역 2번 출구가 보입니다. 원점 회귀산행(  약 4.5km /1시간 40분 소요)입니다.

(11;52)신현역 유료 주차장입니다

(11;56)신현동 주민자치센터도 지납니다.

(11;59) 포동 생활체육공원을 지납니다

(12;02)신현로 따라 마산(31m)으로 갑니다. 폐염전 너머 군자봉 상양봉등이 조망됩니다

(12;26) 마산이 가까워 집니다

(12;27) 마산 조망입니다.

(12;31) 신현로 버리고 좌측으로 산밑 농로따릅니다.

(12;34) 모퉁이에서 희미한 족적따라 개척으로 치고 오릅니다

(12;37) 능선에 오르니 등로가  나쁘지 않습니다

(12;38) 마산 정상을 오릅니다

7.4km 150분  [마산](34m)(12;40)

사네로 보아 청소 되었을리는 없는 산인데 선답자님들 표지기 한장이없고 서울마운틴 클럽 분홍색 표지기1장이 걸려있다.   트랙을 확대해야 나타나는 산인 탓 선답자님들이 그냥 지나친  것인가~?. 

 

(12;40) 마산(34m) 정상 서울마운틴 클럽 표지기 닮은(서울마운틴클럽 고은석 대장이 이런산에 올리가 없음) 분홍색 표지기1장 옆에 표지기(마산31m/배창랑과 그일행=山君들) 겁니다.

(12;40) 마산(34m)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2;41) 마산(31m)정상 인증사진 (2) 입니다

(12;42) 도로에 내려섭니다

(12;46) 농로따라 도로로갑니다

(12;46)산밑 도로로 가기는 어렵겠습니다

(12;55) 메인도로에 접속 도로따릅니다

(13;10)  뱀산을 오릅니다

(13;10) 뱀산 오름길입니다

9.1km  186분  [뱀산](29m)(13;16)

 신상호님, 김신원님등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린 정상이다.지형으로 봐 폐염전후 민물이  되어 뱀들이 홍수때 떠내려 가다가  이산에 많이 올랐을 듯싶다.

 

(13;16) 뱀산(29m) 정상입니다.

(13;16) 뱀산(29m)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3;16) 뱀산(29m) 정상 배하사님 표지판 옆에 표지기 1장을 더 겁니다. 1월 준비하고 못한산인 것을 잊고 어제 새로 표지기준비하다보니 2벌씩이 되어 버리기도 아깝고 청소도 되어 2장씩 걸게 됩니다.ㅎ

(13;17) 뱀산 인증사진 2 입니다

(13;23) 뱀산을 내려섭니다

(13;24)내려온 뱀산입니다

(13;24) 좌측횡단 보도를 건넙니다.

(13;36) 오염산 정상은 조경수재배단지로 변하였습니다

9.8km  207분 [오염산](19m)(13;37)

 정상까지 조경수가 심어져있다. 선답자님들 표지기가 없는 것을 보니 ,조경사업 하시는 분이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청소해버린 탓인가 보다. 조경수 밭 조금 벋어난 곳에 준비해간 표지기 2장을 걸어둔다.

 

(13;37) 오염산(19m)정상입니다.

(13;37) 오염산(19m)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3;45) 쪽박산이 조망됩니다

(13;47) 수로 건너 쪽박산 입니다

(13;48) 수로위 다리를 건넙니다

(13;52) 쪽박산을 오를  초입 찾아 왔다 갔다 합니다

10.6km   226분 [쪽박산](16m)(13;56)

정상은 가족묘지(평장)가 차지 하고 있다.쪽박산 정상 아래 낭떨어지쪽 가지에 산아일여님 표지기 1장이 살아있는 정상이다. 하산때 대문(가족묘지오르는 )을 열고 나왔다.대문을 열고 오르면 편하겠다. 대문을 여는 방법은 대문상단 빗장을 철사줄로 고정한것을 잡아당기면 열린다.

 

(13;56) 쪽박산(16m) 정상입니다.

(13;56) 쪽박산(16m)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생애 해발 16m 산도 올라 봅니다.ㅎ

(13;56)쪽박산 (16m)정상 모습입니다

(13;57) 오늘 산행 마지막산 쪽박산(16m)을 떠납니다.

(14;05)하산하여 올려다본 쪽박산 모습입니다

(14;06) 신천 우측제방길(청룡저수지길) 을 따라 LH12단지를 향합니다

(14;17) 12단지입구 다리에서 바라본 신천과  비류대로입니다

12.0km  253분 [ 인천 남동구 서창동 LH12단지 아파트 상가](14;23)

단지 내 쉼터의자에서 산행종료한다.

 

[14;25~16;25)[120분] (14;23) 스틱 접으면서 Kako택시콜하니 1분 거리 택시 도착됩니다. 차 안에서 스틱 챙겨 배낭에 넣고 기사님과 대화 나누다 보니 (14;40) 인천 남동 구청역입니다. 남동구청역 화장실에서 대충 씻고 새 옷 환복합니다. 그리고 근처 중국집을 찾습니다.

신동해원 중국집에서 칸소새우(35,000원) 안주에 연태고량주 (20,000원) 그리고 짜장면 2그릇(14,000원) 약 1시간(15;10~16;10) 뒤풀이 즐겁고 행복한 시간 갖습니다. (16;25) 인천 2호선 전철로 검암역에서 공항철도 김포공항역에서  누리님과 혜어지고  9호선 환승 (17;40) 가양역 도착 (17;50) 귀가합니다. 누리님  추운날 산 같지도 않은 산 찾아 다니느라 고생 많았습니다.조심히 들어가세요~!!^^

 

 로커스 트랙지도

오룩스맵 Korea트랙지도

산행기록표 1

산행기록표 2

e-동아트랙지도

실트랙

서해선.신현역~LH12단지~남동구청역2025-02-08 101110__20250208_1011.gpx
0.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