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덕봉산(德鳳山474m)과 용굴봉(435m)그리고 용굴산(414m)/충남 예산

배창랑 2025. 2. 4. 13:11

덕봉산(德鳳山474m)과 용굴봉(435m)그리고 용굴산(414m)/충남 예산

산행일자; 2025년 02월 3일(월). 날씨; 맑음. 산행거리;16.2km (차량이동 약 3km/5분 포함거리임). 산행시간; 4 시산 45분(09;27~14;11)

[개인산행] 교통편 및 비용;(10,600원)

<갈 때> 영등포역(07;36)~ [무궁화호/5,300원(경로우대 30%  )] ~신례원역 (09;13)

<올 때> 신례원역(14;54)~ [무궁화호/5,300원(경로우대 30% )]~영등포역(16;30)

산행코스;신례원역~굴다리~무인텔~ 수철리 향 도로~예지원 입간판 근처 좌측임도~개인농장민가~묘소길~이정표(간양리/덕봉산) 능선~ 덕봉산(정상석/이정표 <수철리 수철교 2.2km /도고산정상 3.5km/신례원리 2km)>~수철리 수철교~용굴봉(435) 왕복~수철리수철교~에지원 입간판~신례원역

■덕봉산(德鳳山474m)은 충남 예산군 예산읍 수철리와 신례원리 및 간량리에 걸쳐 소재한  산이다. 조선지형도(예산)에는 예산읍치 북동쪽에서 덕봉산이 확인되는데  옛날 난리가 났을 때, 이 산에 피한 사람만 무사해서 덕을 많이 봤다는 뜻으로 ‘덕본산’이라 부른 데서 유래한다. 정상 아래 산제당에서 매년 성대한 제를 올린다고 한다.
덕봉산 산길에 들면 깊이 있는 적막함이 주는 편안한 기류가 피부를 감싸고 단순한 숨결만 남아 능선의 흐름과 하나가 된다. 바위도, 전망데크도 없는, 가난한 덕봉이네 시골집 같은 산길이 덕봉산이다. 통상 덕봉산-도고산 9㎞  5시간 코스를 이용한다.

 

■용굴봉(435m)은 충남 예산군 예산읍 수철리에 소재한 산이다. 용굴봉은 용트림이나 회룡고조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용굴은 용틀임 또는 용트림 상태를 의미하고, 용트림은 용이 처음 움직이면서 천지가 진동을 하고 큰소리가 나는 상태를 말하며, 회룡고조는 산의 지맥이 휘돌아서 본산과 마주 대하는 지세를 말한다고 한다. 남쪽 정면으로 안락산(424m)이 보이고 그 우측으로 토성봉과 용굴봉(415m)이 차례로 도열한다. 용굴봉 가까이에 자리 잡은 탈해사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그 아래 계곡 안자락에 수철저수지가 내려다보인다. 용굴봉은 금오산~관모산~용굴봉~토성산~안락산코스 9.2km/ 4 시간을 이용한다

 

■용굴산(414m)은 네이버지도와 다음 지도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해탈사에서 용굴봉 가는 중간 무명봉에 어느 산님이 작명하여 얻은 산이름에서   연유된 듯하다. 용굴산(414m) "산"보다 "봉"이   용굴봉(435m) 더 높아 어색하지만  덕봉산 하산  수철리저수지길에서 바라볼 때 그 이름을 얻을만한 산세다.

 

 탈해 사는 용굴봉 아래에 있는 사찰로  향전사의 부속암자다. 향천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이다.  탈해사는 의자왕 때 의각 스님이 창건했다는 설과 고려 초에 후백제의 한 장군이 창건했다는 설이 있다. 후백제의 한 장군이 고려군에 패한 후, 이곳으로 피신하여 갑옷을 벗고 수도를 했다고 하는데, 갑옷을 벗었다는 의미에서 탈의사라는 이름도 갖고 있었다 한다.
1975년에 이종학 스님이 주지를 맡으면서 새롭게 중창했다고 하며, 탈해사의 탈해는 속박이나 번뇌의 굴레에서 벗어나 편안한 경지에 도달하게 된다는 해탈의 의미를 갖고 있다 한다. 경내에는 극락전, 산신각, 요사체, 미륵석불, 장수턱걸이바위 등이 있다. 장수턱걸이바위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옛날 탈해사에 도승이 살고 있었는데, 인근의 한 주민이 딸을 절의 공양주로 보내 스님의 수도를 돕게 했다. 그런데 이때, 이 산에서 무술을 연마하고 있던 한 장수가 공양주 처자의 미모를 보고는 탐을 내어 주지에게 혼인 허락을 요청했다고 한다. 그러자 주지는 손가락처럼 생긴 바위에서 턱걸이 백 개를 하면 혼인을 허락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장수가 턱걸이를 시작했는데, 백 번에서 한 번이 모자란 99번을 하고는 힘이 빠져 그만 오십 길 벼랑 아래로 떨어져 죽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 바위를 장수턱걸이바위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장수턱걸이바위는 용바위, 작대기바위, 손가락바위, 오십 질 바위, 소혀바위, 가새바위 등의 이름으로도 부른다. 


■덕봉산과 용굴봉이 소재한  수철리는 무쇠가 많이 나와 무쇠골이란 이름으로 불렀던 곳이다.

 

2025년 02월 03일 (월요일) (06;30) 집출발 (07;36) 영등포역에서 무궁화(5,300원) 편으로 (09;13) 신례원 역에 도착합니다. 예산군 예산읍 신례원역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여  예산읍 수철리에 소재한 덕봉산(德鳳山474m)과 용굴봉(435m)을 연계산행을  합니다.

"덕봉산(474m)과 용굴봉(435m)"은  별첨 산행기처럼   약 12년 전 (2013.12.05) 고교친구  양정화  학형과   "예산역~금오산~관모산~토성산~안락산~도고산~도고온천역. 16.1km/6시간 10분   종주산행" 때 등로에서 많이 벗어난 산이라  왕복이  불가능하여  언제 시간 내어  두산(덕봉산과 용굴봉)만을 별도로 답사하기로   약속한 산인데  이 두 산은 다른 산에 밀리고 밀리다가 최근에  생각이나  어제 함께 하자고 하니  꽃피는 춘 3월에 하자고 하여  거절로 알고 몹시 춥고 결빙된 눈길이 위험하지만 하고 싶은 것은  미룰 수 없는  노년의 절박함(?)에 홀산길에 나섭니다.

 "신례원역~수철 리~덕봉산(474)~수철저수지~수철 1교~해탈사~용굴산(414)~용굴봉(435)~신례원역" 원점 회귀 16.5km/4시간 45분  마무리하고 신례원역에서  씻고 환복 후  마트도  없는 역사라 막걸리 한잔도 못하고 남은 빵과 과일로 허기 채우고,,, 2시 54분 신례원역  출발 4시 30분 영등포역 도착 5시 10분 귀가합니다.

 

0km 0분[신례원역](09;25)

 신례원역 (충남  예산읍 신례원리 612)    나와   좌측 (cf 역사를  쳐다보고는   우측)으로  산행시작한다. 줄 서 기다리는 택시도 있지만 산이 2개여서 도로 따라 걸어 덕봉산 먼저 오르고 수철리저수지로 내려와 저수지길 수철교에서 해탈사 구경하고 용굴봉 왕복한 후 다시 신례원역 원점 회귀하는 코스다.

 

(09;25) 신례원역입니다

(09;34) 도로 따라 걸어 나와 굴다리 통과 한 후  3거리에서 신호 받아 우측으로 진행합니다.

(09;40) 농로길 우측으로 용굴산(414)과 용굴봉(435)이 조망됩니다.

() 9;41) 좌측으로 덕봉산(474m)이 조망됩니다, 우측은 용굴산(414m) 과용굴봉(435m)이 위압스럽습니다

2.2km    35분 [예지원입간판](10;00)

예지원 입간판  직전 좌측 포장 임도길이 실질적  덕봉산 산행 들머리다.

 

(10;00) 실질적 덕봉산 산행 들머리 예지원 입간판 10m 전 좌측 포장임도길입니다

(10;00) 개인 농장 가는 길이라(?)  열려있는 철대문이 있습니다. 개인농장 이 보이는 곳에서 좌측으로 산소길로 들어서서 능선길에 붙어야 합니다.

3.1km   53분  [이정표 4거리](10;18)

이정표(덕봉산정상 1.9km/간양리 0.5km) 서있는 4거리 능선이다.

 

(10;18) 올라온 방향은 사유지(?) 탓으로 이정표에 방향 표시가 없습니다

(10;26) 수철리 민속가든 갈림 이정표(덕봉산정산 1.35km/수철리민속가든 0.5km/간양리 0.85km)입니다

(10;33) 바위능선은 우측으로 우회하게 등로가 되어 있습니다

(10;56) 건너편 도고산~관모산 능선입니다

(11;06) 덕봉산 정상이 가까울수록 눈이 얼어 있습니다

(11;12) 적상직전 경고판입니다

(11;13) 덕봉산 정상 직전입니다

4.9km  98분  [덕봉산](474m)(11;13~11;16)[3분]

 정상석, 삼각점(예산 22/1991 복구)과 그 설명판, 이정표(수철리/도고산정상 3.05km/신례원리 2km) 있다.

 

(11;13) 덕봉산(474m) 정상석입니다

(11;14) 덕봉산(474m) 정상석  인증사진입니다

(11;15) 덕봉산(474m) 정상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표지기입니다

(11;16) 덕봉산(474m) 정상 이정표(수철리/도고산정상 3.05km/신례원리 2km)입니다. 수철리방향 하산길에 듭니다

(11;35) 하산길 바위봉은 우측으로 우회하여 내려섭니다

(11;43) 우측으로 수철저수지가 내려다 보입니다

(11;55) 박 씨와 그 부인 묘지입니다

(12;01) 수철리 도로에 내려섭니다. 우측으로 수철리 방향으로 내려섭니다.

(12;01) 수철리 마을 뒤 안락산 방향입니다

(12;01) 용굴봉과 용굴산입니다

(12;03) 수철저수지입니다.

(12;06) 가야 할 탈해사를 줌인합니다

7.1km   170분   [수철교](12;15)

탈해사. 용굴산, 용굴봉 왕복길에 든다.

 

(12;15) 수철교 다리를 건넙니다

(12;16) 탈해체육공원입니다

(12;43) 18 구비길을  굽이굽이 돌고 돌아 만난 석탑입니다.

 

8.7km 200분  [탈해사](325m) (12;45~12;48)[3분]

털해사는 해발 325m  용굴산과용굴봉을 오르기 좋은 절이다.

 

(12;45) 탈해사 사천왕문입니다.

(12;47) 탈해사 경내입니다

(12;47) 탈해사경내

(12;48) 장수턱걸이바위 설명판과 탈해서 연혁판  뒤로 용굴산과용굴봉 등로가 열립니다.

(12;49) 이정표(용굴봉 0.7km)입니다.

(12;53) 전망대에서 조망 1

(12;53) 전망대에서 조망 2

(12;53) 전망대에서 조망 3

(12;59) 이정표(용굴봉 0.5km/금오산 3.8km/탈해사 0.4km)입니다

(13;01) 눈얼음판 묘지입니다

9.3km  220분 [용굴산](414m)(13;05~13;06))

 다음 지도와 네이버지도에 그 이름이 나오는 산이다.

 

(13;05) 용굴산(414m) 정상입니다.

(13;05)용굴산(414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10) 가이드 로프 설치된 용굴봉 오르는 침목계단입니다.

(13;12) 바위봉은 직등하여도 되고 우측으로 우회하여도 됩니다

9.5km  233분 [용굴봉](435m)(13;18~13;19)[1분]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표지기 건다. 정상 2m 아래 용굴봉 정상 표지목과 운동시설 장의자 가 있다.

 

(13;18) 용굴봉(435m) 정상입니다.

(13;18) 용굴봉(435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19)용 굴봉(435m) 정상 표지목입니다

(13;19)용굴봉(435m) 정상 표지목 인증사진입니다

(13;19)용 굴봉 정상에서 관모산 방향 조망입니다.

(13;29) 용굴산(414)으로 Back 합니다

(13;39) 탈해서 능선으로 돌아와  탈해사 전경입니다

(13;41) 탈해사로 Back 합니다

(13;32) 탈해사 하산길 조망입니다

(13;44) 탈해사 하산길에 탈해사 축대와 석불을 담아 봅니다

11.8km  272분[수철교] (13;57) 

 탈해사 입구  수철교로 Back 합니다.(용굴봉 왕복 4.7km/102분 소요)

 

(13;57) 수철교로 Back 합니다

(13;57) 탈해사 입구표지석입니다. 신례원역 기차 예매한 시간이 (14;54)분 57분(3분 모자란 1시간) 남았습니다. 신례원역까지 내리막길 도로지만 도로 따라 빠른 걸음으로  뛰다싶히  4.4km 신례원역을 향합니다.   중간 운 좋게도 약 13km 지점에서 고마운 분 차 얻어 타고(약 3.2km/5분) (14;11) 신례원역에   여유롭게 도착합니다.

16.2km  286분  [신례원역](14;11)

산행종료한다.

 

(14;11) 신례원역입니다

(14;11) 신례원역 인증사진 입니다.

(14;11~14;54)[43분] 신례원역 화장실에서 대충 씻고 환복 합니다. 신례원역 주변에는 공주역처럼 식당도, 마트도, 어떤 상가도 없습니다. 막걸리를 1병 사고 싶은데~~ㅠ.ㅠ. 참고 대합실 의자에서 메고 다닌 빵과 과일. 그리고 포카리스웨트 이온 음료로 허기진 배를 채웁니다. 2시 54분 신례원역  출발 4시 30분 영등포역 도착 5시 10분 귀가합니다. 12년 전 오겠다고 한 약속을 지킵니다.ㅎ.

 

로커스트랙지도

오룩스맵 Korea 트랙지도

산행기록표 1

e-동아트랙지도

산행기록표 2

실트랙

신례원역.덕봉산.용굴산.용굴봉 신례원역2025-02-03 092750__20250203_0927.gpx
0.2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