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뒷동산(44m)장아산(71m)범배산(61m)매봉재산(86m)망재산(102m)안살미산(71m)골바닥산(81m)학미산(95m)/인천남동,시흥시포동

배창랑 2025. 1. 30. 12:43

뒷동산(44m)장아산(71m)범배산(61m)매봉재산(86m)망재산(102m)안살미산(71m)골바닥산(81m)학미산(95m)/인천남동,시흥시포동

산행일자;2025년 01월 29일(수). 날씨; 맑음. 산행거리;11.4km. 산행시간; 5시간 40분(결빙된 눈조심스러운 산행)(10;00~16;40)

교통편 및 비용;<갈 때> 가양역~[9호선]~김포공항~[공항선]~검암역~[인천 2호선]~운연역

                         <올 때> 신현역~[서해선]~김포공항~[9호선]~가양역

산행코스;인천 2호선 운연역~뒷동산 44~장아산 71~범배산 61~매봉재산 86~망재산 102~안살미산 71~골바닥산 81~학미산 95~서해선신현역.

 

■장아산(71m)은 인천시 남동구 서창동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산이다. 특히 데크로드(무장애나눔길)를 잘 설치하여 누구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산이다. 높지 않아서, 남녀노소 누구나 산책하기 좋다. 왕복 1시간 정도면 완주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 주민들을 포함해 많은 분들이 찾는 숨은 명소다. 숲 속에 나무 데크길을 조성해 장애인, 임산부, 노약자 등 보행약자가 안전하게 숲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인천 장아산 무장애 나눔길이다. 경사가 높지 않아서 걷기에도 좋고, 휠체어나 유아차도구동이 가능할 정도로 데크로드가 잘 조성되어 있다. 입구 근처에는 주차장이 있으니 자차로 방문하는 사람들 은장아산 무장애 나눔길 입구 근처에 주차하면  된다.

 

[장아산의 유래];월성박 씨(月城朴氏)는 신라 제54대 경명왕(景明王)의 제8왕자인 월성대군(月城大君)의 자손으로 고려 후기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조선 전기와 중기에 크게 융성하였다. 중시조인 박구(朴龜,1337∼1404)는 고려 중군사정부령(中軍司正副令)을 역임하였는데, 고려가 망하자 이곳에 칩거하면서 자신을 감춘다하여 호를 ‘장아(藏我)’라 하고 뒷산을 장아산이라 하였다. 

장아산 서쪽 구릉에 위치한 월성박씨 종중 묘역에는 현재 박구와 그의 후손인 박간(朴幹), 박휘(朴徽), 박신 겸(朴信謙), 박호겸(朴好謙), 박홍중(朴弘中) 등 11기의 묘가 남아 있다. 그중 통훈대부 추산(秋山) 박홍중은 조선중기의 문인으로 문장과 서예에 능하였고 관직을 물러난 후 장아산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이 묘역에 있는 봉분과 묘표, 문인석, 망주석, 등은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유교적인 묘제로서 특히 박휘와 박신 겸, 박호 겸의 묘표는 재작년대가 분명하여 조선 중기의 묘제와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금석문 자료이다. [출처/ 인터넷]

 

■망재산(102m) 방골 뒷산이 망재산이며, 정상에는 정자가 있다.

 

 학미산(鶴眉山94m)은 시흥시의 중심에 있는  작은 산이다. 학(鶴)이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형상 혹은 학의 눈썹처럼 생겼다는 이유로 학미산이라 불린다. 학미산은 산을 중심으로 기슭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신촌·새우개·걸뚝이란 마을들이 띄엄띄엄 형성되었는데, 그 이름의 유래처럼 은은한 맛과 적조한 느낌이 조화된 아름다운 산이다. 산 중턱에는 아카시아 숲이 있어 초여름이면 짙은 향기가 감돌며,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시흥 시가지는 그 안에서 걷고 있을 때와는 또 다른 정취를 자아낸다. 학미산 정상에서 내려다보는 조망은 포동 옛 염전으로 드넓게 펼쳐진 염전터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들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도시의 빠른 변화 속에서 그나마 더딘 속도로 옛 정취를 지닌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제1봉으로 향하는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정자가 세워져 있고 옆으로 조명 시설을 갖춘 배드민턴장이 넓게 자리해 있다.

 

 

긴 설 연휴 중  1월 2일(화) 은  전국적으로 폭설이 내린 탓 먼 곳 기차표 예매 했다가 취소합니다. 설날이지만 특별히  더 올 사람도 없어  최권사표 떡국을 먹고  , 인천 2호선 종점 운연역에서  서해선 시흥  신현역으로 여결되는  코스를 잡고 산행길에 나섭니다.

아이젠은 준비했는데  하기가 애매하여 메고만 다닌 산행 길이라  산행시간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도로는 결빙되어 미끄러운 곳이 자주 나타나고, 산은 그런대로 진행하였지만  아이젠 안 하고 진행하다 보니 조심스러워  산행이 속도가 나질 않았습니다.(11.4km/5시간 40분). 그러다 보니 신현역 주변 산 3개와 염전쪽산 3개 합 6개를 다음으로 미루고 왔습니다.

 

처음  뒷동산(44m)은  이름처럼 쉬웠고 장아산 까지 는 고속도로와  고속화 도로 건너는데  인도 보호울타리를 넘기도 하고  우회하기도 하여 장아산공원에 도착하니  장아산(71m)은  등로가 잘 정비된 기분 좋은 산행 길었습니다. 범배산(61m)까지 이동하는데  도로가 불편하였고 청룡저수지에서 급경사 오름길이 미끄러웠고  힘들고  조심스러웠으며 잡목의 저항도 심했습니다

매봉재(86m)는 국궁장(소래정) 뒤쪽산으로 국궁장을 피해 거이 개척 수준으로 치고 오르는데 잡목의 저항이 심하였습니다. 매봉재(86m) 하산길이  더지저 분하고 개척길로 힘들었지만 특히 110번 고속화도로를  건널 수가 없어 지하차도를 찾아  예상보다도 많이  우회하였습니다.  안살미산(71m)은 사유지가 등로를 막고 있어 피해서  오르느라 고생을 조금 하였습니다. 골바닥산(81m) 은 하산길이 개척으로 잡목의 저항을 뚫어야 했습니다. 학미산(95m)은  등로가 좋았습니다.

 

 

 

0km 0분[인천 2호선 운연역](10;00)

1번 출구 나와 산행시작한다.

 

(10;00) 인천 인천 2호선 종점 운연역입니다.

(10;01) 길이 빙판진곳이 많아 조심스럽다

0.8km   [뒷동산](44m)(10;20)

이름대로  동네 뒷동산이다.

 

(10;20) 뒷동산(44m) 정상 동네분들이 청소하는지 제 표지기가 처음 걸립니다

(10;20) 뒷동산(44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추워서  쓴 마스크를 벗는다는 것이 한쪽귀에 걸었군요~~ㅎ

(10;20) 뒷동산(44m) 정상 용도를 알 수 없는 움집(?) 2채입니다

(10;38) 동네로 하산   두꺼운  장갑이 스틱과 맞질 안아 원두막에서   약 5분 동안 스틱 손잡이를 늘리는 작업을 하나  실패하고 장갑을 바꾸어 해결합니다.ㅎ

(10;38) 뒷동산을 담아봅니다.

(11;00) 어렵게(?) 장아산공원에 도착합니다.

(11;01) 장아산 오름길입니다

(11;06) 무장애길 이정표(장아산 정상 290m)입니다

(11;10) 장아산 전망대입니다

2.9km [장아산](71m)(11;13)

장아산 정상이다. 정상석도 선답자님들의 그 흔한 표지기도 공원관리사무소에서 청소하는지  한 장도 없다.

 

(11;13) 장아산(71m) 정상입니다.

(11;13) 장아산(7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1;13) 장아산을 떠나면서  전망대를 뒤돌아 봅니다

(11;14) 망경대 표지석입니다. 유래는 알지 못합니다

(11;26) 장아산 공원으로 하산합니다.

(11;34) 서창 6교를 건넙니다

4.8km 125분  [범배산](61m)(12;05)

故문정남 선생님. 김신원 님. 안평님 표지기 옆 다른 가지에 "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표직기 건다.

 

(12;05) 범배산(61m)  정상입니다. 61m 급 산이 급경사라 아이젠 없이 오르기가 힘들었습니다. 메고만 다니지 말고 신을 걸~~

(12;05) 범배산(6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28) 소래정(활 쏘는 곳) 오름길 따라 오릅니다

5.6km  165분 [매봉재산](86m) (12;45)

만산 동호회 (매봉재산), 김신원 님. 김포 신상호 님 표지기 옆에  "배창랑과 그 일행= 山君들" 표지기 건다.

 

(12;45) 매봉재산(86m) 정상입니다.

(12;45) 매봉재산(86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2;56) 매봉재산과 망재산 사이로 엄청난 절개지 만들면서 서해안로가 지나갑니다. 동물이동통로를 만들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매봉재산 하산길은  절개지 따라 잡목구간을 통과하여 서해안로에 내려서는데  우측진행 망재산 왕복이 좋을 듯싶습니다. 좌측으로 진행 하여쓴데 통과구간이 없어지고  한참을 더가서 목책계단타고 내려서 서해안로 아래 도로를 통과 하여  망재산을 올랐습니다.

7.0km   202분 [망재산](102m)(13;22)

대구 이종태 님.일중산악회 표지기2장이 걸린 정상이다.대구 이종태님 표지기 옆에 " 망재산 102m/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표지기 건다.

 

(13;22) 망재산(102m) 정상입니다.

(13;22) 망재산(102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8.2km   235분 [안살미산](71m)(13;55)

 많은 선답자님들의 표지기 걸린 정상이다. 망재산에서 하산하여 도로 따르다가 안살미산 초입이 사유지라 조금아래 공장 건물로 들어가 개척으로 치고  올랐다.

 

(13;55) 안살미산(71m) 정상입니다

(13;55) 안살미산(7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8.9km  264분  [골바다닥산](81m)(14;24)

 선답자님들 표지기 걸린  정상이다.  오래전(9,000 산 때)에 다녀간 신상호 님 표지기 옆에  " 골바닥산 81m/배창랑과 그 일행=山君들" 표지기 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염전 쪽 3 산은 다음으로 미루고 학미산으로 향한다.

 

(14;24) 골바다닥산(81m) 정상입니다.

(14;24) 골바다닥산(81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4;51) 서편 장승배기 쉼터입니다

(14;51) 시흥 방산동 가마터길 안내판입니다

10.4km  318분 [학미산](95m)(15;18)

배하사님 정상표지판이 따로 걸려있어 그 줄에  표지기 건다. 바람이 많이 불어 춥다.

 

(15;18) 학미산(95m) 정상입니다

(15;18) 학미산(95m)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5;35) 포동 서강아파트입니다. 서해선 신현역이 가깝습니다.

11.4km   343분 [서해선 신현역](15;40)

신현역에서 산행종료 한다.한손에 막거리병. 한손에 스틱 들고 있어  승강장 의자에서 네비를 약3분 늦게 Off.

 

(15;43) 서해선 승강장 모습입니다.(네비를 약3분 늦게 Off.)

(15;43~15;52)[9분] 학미산 날머리에서 신현역이 가깝고 마트가 있어 막걸리 1병(월매, 1,900원)을 사서 신현역 역사에서  혼술 병나발 목마름 달랬습니다.(15;52) 서해선 신현역을 출발  (16;17) 서해선 김포공항역에 도착합니다. 김포공항역에서 9호선 환승 (16;17~16;23)[6분]하여    9호선 급행으로 (16;29) 가양역 도착 귀가 합니다.

 

로커스 트랙지도

오룩스맵 korea 트랙지도

산행기록표 (네비를 약3분 늦게 Off.)

실트랙

인천2호선 운현역~서해선 신현역025-01-29 100039__20250129_1000.gpx
0.2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