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강화도 상봉(254.6m).마니산(472.1m).초피산(252.6m) 종주산행 /인천 강화

배창랑 2019. 3. 13. 11:58

강화도 상봉(254.6m).마니산(472.1m).초피산(252.6m) 종주산행 /인천 강화

산행일자;2019년3월12일(화) . 날씨;흐림. 산행거리;12.2km. 산행시간;5시간20분.

교통편; 서울 염창-(88번과 3000번 시외버스)-(1시간30분/1,250원)- 강화터미널 도착 . 강화터미널(08;10)-(5번버스)-해안남로상의 장곶돈대 입구(08;50)

 

산행코스: 장곶돈대 입구-상봉 정상-하늘재-마니산 등산로 종점 삼거리-마니산 정상(참성단)-헬기장(마니산 정상표지목)-469.4m봉-정수사 삼거리-함허동천 능선로 /계곡로 삼거리(능선로향)-마니산 /함허동천 삼거리(표시없는 능선 진입)-사골 안부사거리(좌;덕포리/우;함허동천주차장)-초피산 정상왕복-사골 안부사거리Back(우; 신촌마을향)-신촌마을회관-덕포리마을회관- 덕포리입구버스정류장 





 

마니산(摩尼山472.1m ])은 인천 강화군 화도면에 소재한 산이다. 마리산(摩利山)·마루산·두악산(頭嶽山)이라고도 한다. 백두산과 한라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해발고도 469.4m의 산으로, 강화도에서 가장 높다. 정상에 오르면 경기만(京畿灣)과 영종도(永宗島) 주변의 섬들이 한눈에 들어온다. 산정에는 단군왕검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사적 136)이 있는데, 이 곳에서는 지금도 개천절이면 제례를 올리고, 전국체육대회의 성화(聖火)가 채화된다. 조선영조 때의 학자 이종휘(李種徽)가 지은 《수산집 修山集》에 "참성단의 높이가 5m가 넘으며, 상단이 사방 2m, 하단이 지름 4.5m인 상방하원형(上方下圓形)으로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으나, 여러 차례 개축되어 본래의 모습을 찾아보기가 힘들다.산 정상의 북동쪽 5㎞ 지점에 있는 정족산(鼎足山) 기슭에는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삼랑성(三郞城:사적 130)이 있고, 그 안에는 유명한 전등사(傳燈寺)가 있다. 북동쪽 기슭에는 정수사법당(淨水寺法堂:보물 161)이 있고, 북서쪽 해안에는 장곶돈대(長串敦臺:인천기념물 29) 1기(基)가 있다. 산세가 아기자기하고 주변에 문화유적지가 많아 봄부터 가을까지 많은 관광객과 등산객이 찾고 있다. 1977년 3월 산 일대가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참성단은 사적 제136호. 면적 5,603㎡. 단군 관련 문헌기록에 의하면 단군이 제단을 쌓고 하늘에 제사를 지낸 곳으로 전해지며, 실제로는 단군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서 고려·조선시대에는 국가제사가 행해지기도 하였다. 즉 단군이 366가지에 이르는 나라 다스린 공을 세우면서 아울러 제천의 대례를 행하고 보본(報本: 생겨나거나 자라난 근본을 잊지 아니하고 그 은혜를 갚음)의 뜻을 드높였던 곳으로 전해진다. 이 제천의식은 1955년 전국 체전의 성화 채화를 계기로 부활되어 개천대제라는 이름으로 지금까지 매년 양력 10월 3일 개천절에 거행되고 있다.

 

강화터미널(08;10)에서 첫버스 (5번버스)타고 해안남로상의 장곶돈대 입구(08;50) 에 도착 기사님의 배려로 산행들머리에 내려 간단한 산행준비후 바로 산행 진행합니다.  

 

    

0km 0분[해안남로상의 장곶돈대 입구](08;50)

해안남로상의 장곶돈대 입구 전  곡각지점에 하차한다. 도로 건너  제법규모가 큰 전원주택민가 진입로 우측 우측 산자락으로  등로 따라오른다. 그 집으로 들어가는 진입로를 따라 몇발짝 들어가 정원석으로 쌓은 우측 축대위 절개면으로 희미한 족적따라 올라 붙으며 오르니 묘지에서 길은 끝나고 묘지뒤로 낙옆쌓인 등로 따라 능선에 붙어 (09;05) 좌측으로  본격적인 상봉-마니산-초피산 종주산행에 들어간다. 능선길은 의외로 뚜렷하다. 완만한 능선길을 따라 진행 하니, (09;08)'신경수'님 표지기와 '김포산친구'라는 표지기가 반긴다. (11;11)새로 설치된 철망울타리가 길을 가로막고있어  울타리를 우측에 두고 개척으로 진행후 (09;19)"강화나들길 7코스" 이정목 서있는 안부임도에 내려서 임도 건너 맞은편으로 올라서서 계속해서 능선길을 이어간다.

 

(09;20) 관리가 잘되고 있는듯한 너른 묘역도 나오고 능선길은  운치있는 청정 숲길이다. 서서히 오르막 능선길을 따라 오르다 한차례 치고 올라 (09;32)  이정표(상봉정상/왕재/마을입구2)를 만나고  (09;33) 바위봉을  오른다. (09;35)이정표(마을입구1/마을입구2)에서 이정표(마을입구 1) 방향(우향)으로 진행하니   삼각점이 있는 지도상의 상봉 정상(254.6m)이다.[2.0km][45분]

 

2.0km 45분[상봉](254.6m)(09;35~09;37)[2분]

   

삼각점(강화316/1989복구)있고 선답자님들의 표지기에 상봉이 표시되어있다.좌측에  선수돈대에서 올라오는 바위봉(이를 상봉 오인한분들도 있다.)이 있다. 상봉 정상에서 남동릉을 따라 마니산 방향으로 능선길을 이어간다. (09;50)헬기장봉(238.4m) 이정표(마니산/마을입구1/상봉산)삼거리에 이르고, 좌측이정표(마니산)방향  능선길을 따르면 소나무와 바위들이 어우러진 아주 환상적인 능선길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10;20)1차선 아스팔트도로가 지나가는  하늘재에 내려선다.[1.8km] [43분]

 

3.8km 90분[하늘재=작은뫼넘이=성황당고개](10;20)

장화리에서 화도를 넘는 하늘재다. 도로 건너면 능선으로 이어지는 계단길이다.(cf.좌 전면으로는 아담한 절집이 내려다 보인다. 여름산행시 물보충 가능한 지역이다.)

맞은편  계단길을 따라 오른다. 잘 발달된 능선길을 따라 오르고 얼마 진행하지 않아(10;31) 로프가 걸린 짧은 암벽지대도 한차례 통과하고 잠시후 조망이 시원하게 터지는 조망처에 올라서서 뒤돌아보니 지나온 능선쪽으로는 상봉이 어느새 저만치 멀어져 있다. 

 

기암 그리고 소나무들이 어우러진 환상적인 암릉길을 오르 내린다. 오르는곳 마다 전망대다. 보이는것 마다 절경이다. 이제 마니산 정상이 완연한 모습을 드러내고, 좌측 아래로는 초피산도 보이며, 좌측 뒤로는 정족산도 아스라이 모습을 드러낸다.

(10;31)암릉길 픽스로프 잡고 내려서니 (10;45) 이정표(참성단1.5km/상방리3.6km/선수4.3km)가 길을 안내하는 좌 상방리 갈림길 삼거리를 지나 오르면 (10;53)참성단과 마니산(469봉)이 조망된다. (10;55) 능선상 삼각점(강화423/1989재설)이 설치된 바위 암봉 전망대다. 능선길 이어가 (11;07) 암릉을 지나고 굵은 로프로 차단줄을 쳐놓은 지점으로 들어선다.[2.0km][50분]

 

5.8km 140분 [마니산 관광지등산로 종점](11;10)

금줄 넘어서 반대편에서 보니 "마니산 관광지 등산로 종점"/“우측 매표소쪽으로 하산하세요“이라는 표시판이 부착되어 있다. 아마도 이 지점에서 하늘재 까지가 비지정탐방로 인 듯 싶다.

 

(11;11)이정표(마니산참성단1.3km/매표소1.9km)를 지나 우측 조망처에 서 조망 즐기고 바위틈에 자란 분재 같은 소나무를 지나 더 진행하니 (11;21)이정표(마니산 참성단0.8km/매표소단군로2.4km)가 서있는 능선길을 이어 가면 널따란 조망바위로 올라서며, 마니산 정상인 참성단이 이제 멀지 않은곳에 올려다 보인다.

마니산기도원으로 내려가는 좌 갈림길이 있는 능선 삼거리를 지나 조금 더 진행을 하면 "삼칠이계단" 이라는 팻말이 붙은 목책계단이 시작된다. 중간에 전망데크 쉼터도 있다. 길고도 긴 삼칠이계단을 올라선후, 다시 또 아기자기한 암릉길을 한동안 오르 내리다가 목책 계단길을 한차례 더 오르면 비로소 참성단 바로 턱및 데크로드 삼거리로 올라서고 우측 철책문을 통과해서 마니산 정상에 우뚝 서있는 참성단으로 오른다.[1.3km] [30분].

 

7.1km 170분[참성단](11;40~11;47)[7분]

참성단에 선다. 조망즐기고 강화소사나무도 구경하고 참성단 배경으로 인증사진 남긴후   목책계단 내려와 목책계단 3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 (11;34) 산불감시초소와 정상표지목이 있는 헬기장봉에 선다. 그 뒤로 대다수 지도와 개념도에 마니산 정상으로 표시된 469.4m봉이 뾰족하게 솟아있다.

 

(11;52)헬기장에 올라서고 마니산 정상표지목 옆에 선다. 헬기장을 지나 내림길 내려 바위암릉을 내려서니(12;11) 참성단 중수비 안내판앞을 지난다. 목책 데크로드에 이어 아기자기한 암릉길이  한동안 이어지는데, 오밀조밀한 기암들이 포개어져 칼날능선으로 길게 이어지는데, 안전을 위해서 목책 난간이 설치되어 진행에 도움이 된다.

(12;25)칠선녀계단을 오르고 바위타는 짜릿함도 맛보며 한동안 암릉길을 오르 내린다. (12;35)대부분의 지도에 마니산 정상으로 표시된 469.4m봉에 올라선다.[1.5km][48분]

 

 

8.6km 225분[469.4m봉](12;35)

조망도가 설치된 정상부에서 다시한번 주변 조망을 즐긴다. (12;36)좌측으로 목책 계단(114계단)을 따라 내려서며 초피산으로 이어간다. (12;38) 이정표(함허동천1.8km/정수사0.7km/마니산 참성단1.0km)를 지나 내림능선길 이어간다. 잠시 내려가면 나오는 이정표(능선로/계곡로/참성단)에서 이정표(능선로)방향 능선을 따른다. 함허동천으로 내려가려면 어느쪽으로 가도 상관이 없으나, 초피산으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좌측 능선길을 따라야 된다. (12;55) 발톱바위를 지나고 "함허동천으로 가는길과 초피산으로 가는길이 갈라지는 안부 삼거리로 내려선다.[1.0km][25분]

 

 

9.6km 250분[안부3거리](13;00)

함허동천으로 가는길과 초피산으로 가는길이 갈라지는 안부 삼거리다. 이정표(함허동천매표소0.8km/마니산참성단1.9km) 서있는 곳이다.

아무런 이정표지판이 없는 직진 능선길을 따라 진행한다. 길은 분명하고 뚜렷하다. 잠시후 능선상으로 올라서며 조망이 열리는데, 초피산이 멀지 않은곳에 우뚝 솟아 있는게 보이고, 그 멀리로 정족산과 길상산도 조망이 된다.

직전 함허동천 안부삼거리에서 (13;10) 초피산 직전 안부 사거리다.[0.2km][10분]

 

9.8km 260분[안부4거리](13;10)

좌측길은 희미하나 우측  작은 사골쪽으로 내려가는 길은 비교적 뚜렷하다. 지척에 있는 초피산 정상에 오른후 Back 하여 좌측으로 내려가야할 지점이다. 맞은편 능선길을 따르면 몇발짝 안가서 전면으로 암봉으로 이루어진 초피산이 떡 막아서고 암봉 좌측 아래로 이어지는 된비알 바윗길을 한차례 힘들게 에돌아 오르면 안부 사거리에서 10 여분만에 돌탑1기와 작은 탁자 하나가 놓여있는 초피산(252.6m) 정상에 올라선다.[0.2km][15분]

 

10.0km 275분[초피산](13;25)

돌탑1기와 작은 탁자 하나가 놓여있다. 선답자님들의 표지기몇장이 걸려있다. 인증샷한후 올라 왔던길을 되짚어 직전 안부 사거리로 내려선뒤, 우측 완만한 길을 따라 하산길로 접어든다. 희미한 길 따라 건계곡을 끼고 내려서 (13;56)마을길을 만나 따라 내려서니 (13;58)신촌마을회관을 지나고(14;05)덕포리마을회관을 지나 (14;10) 덕포리 입구 버스정류소에서 산행종료한다.[2.2km][45분]

      

12.2km 320분[덕포리입구 버스정류소](14;10)

 

강화터미널로 가지 않고 초지진을 거쳐 양곡을 지나 구례 (솔터)환승센터로 이동 합니다. 아파트 상가 냉면집에서 소고기전골 안주에 양회장이 준비해온 발렌타인 작은 것 1병에 맥주로 칵테일 만들어 건배 이어갑니다. 부족하여 소맥으로 뒷풀이 하고 혜어져 직행버스를 타고(18;20)당산역. 9호선 환승 가양역으로 이동 (18;30)귀가 합니다.

      

 

 08;50 장곶돈대 입구 직전 들머리 모습입니다.

08;50 장곶돈대 입구 직전 들머리 모습입니다.

08;50 장곶돈대 입구 직전 들머리 모습입니다. 정원석 우측 산길로 진입합니다.

(09;05) 능선 모습입니다.

(09;08) 신경수님 표지기 만납니다. 무지 반갑습니다.

09;11 철조망 울타리가 새로 생겼습니다.

(09;19)강화둘레길 표지목 임도에 내려섭니다.

09;20 우측으로 묘지대 입니다.

(09;32)  이정표(상봉정상/왕재/마을입구2)입니다.

(09;33) 바위가 처음으로 나타납니다.

(09;35)이정표(마을입구1/마을입구2)에서 이정표(마을입구 1) 방향(우향)으로 진행합니다.

09;35 상봉 정상 선답자님의 표지기 입니다.

09;35 상봉 정상 삼각점(강화311/1989복구) 입니다.

09;39 능선 풍광

09;43 능선에서 조망

(09;50)헬기장봉(238.4m) 이정표(마니산/마을입구1/상봉산)삼거리입니다.

(09;50)헬기장봉(238.4m) 이정표(마니산/마을입구1/상봉산)삼거리입니다.

09;59 조망

10;01 풍광

10;01 조망

10;14 묘지

(10;20)장화리에서 화도를 넘는 하늘재입니다.

(10;20)장화리에서 화도를 넘는 하늘재입니다.

10;31 암릉 로프구간 입니다.

10;42 암릉 정상입니다.

10;44 조망 가야핳 마니산입니다.

(10;45) 이정표(참성단1.5km/상방리3.6km/선수4.3km) 입니다.

10;55 마니산 조망입니다.

10;55 삼각점(강화423/1989재설) 입니다.

11;07 풍광

(11;10)금줄넘어서 반대편에서 보니 "마니산 관광지 등산로 종점"/“우측 매표소쪽으로 하산하세요“이라는 표시판이 부착되어있습니다.

(11;11)이정표(마니산참성단1.3km/매표소1.9km)입니다.

11;17 조망

11;17 조망

11;17 조망

11;18  넓은 바위틈에 자란 분재 같은 소나무 입니다.

11;20 암릉

(11;21)이정표(마니산 참성단0.8km/매표소단군로2.4km) 입니다.

11;21 암릉

11;27 삼칠이(372) 계단 시작입니다.

11;34 이정표(참성단 가는길) 입니다.

11;39 참성단 모습이 보입니다.

(11;40~11;47)[7분]참성단 입니다.

11;40~11;47 [7분] 참성단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1;40~11;47 [7분]참성단 정상 소사나무 입니다.

11;52 마니산 표지목입니다.

12;11 마니산 중수비 설명판입니다.


12;15 암릉 능선 입니다.

12;15 암릉능선

12;15 조망

12;15 조망

12;25 칠선녀계단 입니다.

12;35 469봉(마니산 정상 이라고도 함)에서 조망입니다.

12;35 469봉(마니산 정상 이라고도 함)에서 조망입니다.

12;35 469봉(마니산 정상 이라고도 함)에서 조망입니다.

12;36  114계단입니다.

(12;38) 이정표(함허동천1.8km/정수사0.7km/마니산 참성단1.0km?)입니다.

12;45 능선

12;46 계단과 능선길입니다.

12;46 능선길 입니다.

12;49 이정표(능선로/계곡로/참성단)에서 이정표(능선로)방향 능선을 따릅니다.

12;55 발가락바위(?) 입니다.

(13;00)함허동천으로 가는길과 초피산으로 가는길이 갈라지는 안부 삼거리이정표(함허동천매표소0.8km/마니산참성단1.9km) 입니다. 아무런 표시없는 능선길이 초피산 향입니다.


13;04 조망

13;04 조망

13;04 조망

13;15 안부4거리 입니다. 초피산 다녀와서 좌측으로 내려갈 예정입니다.

(13;25)돌탑1기와 작은 탁자 하나가 놓여있는 초피산 정상입니다.

13;25 초피산 정상 선답자 표지기입니다.

13;25 초피산 정상 인증사진입니다.

13;40 하산길 모습입니다.

13;55 뒤돌아본 초피산 입니다.

13;56 마을길로 내려섭니다.

13;57 공가도 보입니다.

13;58 초피산 전경

13;58 신촌마을회관 입니다.

14;02 포토존 입니다.

14;05 덕포리 마을회관입니다.

14;10 덕포리입구 버스정류소 입니다.




산행지도

e-동아지도

오록스맵지도

오록스맵 트랙입니다.

상봉.마니산.초피산019-03-12 0851__20190312_0851.gpx


상봉.마니산.초피산019-03-12 0851__20190312_0851.gpx
0.1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