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각흘산(角屹山838m).태화산(796m).악희봉(728m)/강원 철원

배창랑 2019. 1. 7. 14:31

각흘산(角屹山838m).태화산(796m).악희봉(728m)/강원 철원

산행일자;2019년1월6일(일). 날씨;맑음. 산행거리;약 11.2㎞. 산행시간;약4시간10분

교통편;뉴서울마운틴 클럽

(cf.대중교통편은 동서울 터미널에서 와수리에 도착, 와수리에서 출발하는 농어촌버스를 <06:30, 07:30,10:05>에 와수리<서면>에서 승차해 종점인 자등6리에서 하차한 후 약 2km 남짓을 걸어 이동하는 방법이 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비용;30,000원(하산후 현지식당 식사제공 비용 포함)

<!--[if !supportEmptyParas]--> <!--[endif]-->

산행코스;자등현-서능선-이정표 헬기장봉-각흘산(왕복)-북능선-삼각점봉(712m)-794봉-태화산(왕복)-악희봉-굴뚝 벙커-목련공원-씨리골 2차선 아스팔트 고개-능선-463번 지방도로상 고개






■각흘산(角屹山838m)은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과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의 경계를 잇는 산이다. 경기도와 강원도의 경계선으로 이어져 있다. 동쪽으로 철원군 서면에, 남쪽으로 포천시 이동면, 서쪽으로 철원군 갈말읍에 접한다. 북동쪽으로는 명성지맥이 명성산으로 능선이 뻗쳐 있다


등산로는 험하지 않으며, 산 아래에 암반지대가 있다. 등산로의 초입에 있는 각흘계곡은 수량이 많고 주변의 숲이 울창하다. 와폭이 많아 아름답고 조용한 경관을 이룬다. 바위로 이루어진 능선상에 서면 철원 일대가 한눈에 보이고, 왼쪽으로 광덕산(廣德山:1,046m), 백운산(904m), 국망봉(國望峰:1,168m), 명성산이, 서쪽으로 용화저수지가 보이며 명성산, 안덕재, 자등현, 박달봉으로 산세가 이어진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태화산(796m)이나 악희봉(728m)은 지형도에 표시되지 않은 무명봉인데 어떤 이유로 그 이름을 얻얻는지 연유는 알지 못한다. 다만 정상에 태화산 묘지목과 악희봉 정상석이 세워져 있다. 대득지맥 상의 산이다.

 


<!--[if !supportEmptyParas]-->

■대득지맥은 한북정맥 광덕산에서 분기한 명성지맥이 자등현을 지나 각흘산에서 북쪽으로 분기해 태화산, 악희봉, 대득봉, 태봉을 거쳐 남대천과 한탄강과 합류되는 하토동에서 맥을 다하는 약 33km의 산줄기를 말한다. <!--[endif]--> 

 





 

2019.01.06(일)(07;15) 신논현역 6번출구에서 뉴서울마운틴 클럽 대원고속버스에 탑승합니다. 뉴서울마운틴 클럽 2019년 새해 첫 산행지가 가까운 경기도 포천과 강원도 철원의 경계상의 소이 대득지맥 산들 각흘산, 태화산, 악희봉 입니다. 참여율이 조금 저조 하여 40인승 버스에 대원들 여유롭게 앉아 가는 10여석중에 한사람이 됩니다.

중간 휴게소에서 약30분간 휴게시간 갖고 산행들머리 자등현에 (09;35)도착 바로 산행 시작 합니다. 10여년만에 다시 찾는 자등현 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0km0분[자등현](09;30)

자등현 들머리에는 곰상 조각물과 도평3리 마을 표지석이 서있다. 승용차 주차장을 지나 각흘산 등산로 입구다. 목책게단을 밟고 능선에 붙어 우측으로 넓은 등로 따라오른다.

(09;40)이정표(각흘산2.1km/진입금지/등산로입구550m)를 만난다. 거리표시만 다른 같은 내용의 이정표를 몇 번 만난다. 능선길은 잠시 안부로 내려서고 군부대 초소가 자리하는 안부부터 각흘산까지 고도를 서서히 높여가며 오른다. (09;55)나무가지 사이로 능선 조망하고 능선 우측에 있는 (10;17)작은 공터봉에 선다. 다시 완만하게 내려선 후 다시 오른다. (10;18)경고판(이곳에서 300m 앞에 포탄 낙하지점이므로 절대 출입을 금함)을 만나고 오름길 오르니 (10;22) 바위틈에 자란 소나무를 만나고 오르다보니 (10;25)대득지맥이 우측으로 분기되는 고도 826m 헬기장봉이다.

대득지맥 분기봉 헬기장에 이정표(각홀산300m/진입금지/등산로입구2.4km)서있다. 최고의 조망터다. 잠시 조망 즐기고 각흘산을 왕복한다. 좌측으로 3분여 이동해 각흘산에 도착한다.[2.7km][57분]

<!--[if !supportEmptyParas]--> <!--[endif]-->

2.7km 57분[각흘산](10;27~10;30)[3분]

각흘산 정상 표지목과 오래된 스텐레스 각흘산 정상 표지판이 조금 간격을 두고 서있다. 최고의 조망터다. 한북정맥과 명성지맥이 조망되고 강야할 대득지맥도 조망된다. 조망 즐긴후 인증사진 남기고 Back 하여 (10;33) 826m의 분기봉, 헬기장봉으로 돌아온다.

태화산과 학의봉을 하기위해 대득지맥으로 들어서면서 조망은 우측으로 광덕산이 보이고, 전방의 가야할 지맥 능선은 풀 한포기 없이 대머리 총각머리처럼 깨끗하기만 하다.

능선길 따라 10여분 진행하니 방화선은 좌측의 안부로 흘러내려 직진의 능선으로 올라서니 암릉의 내리막길이다. 픽스로프 설치된 바위 내리막길이 위험해 로프에 의지하여 잡고서 조심스럽게 내려선다.

(cf. 암릉지대를 내려서 뒤돌아보니 사면으로 이어졌던 방화선은 급경사의 내리막으로 암릉지대 보다도 더 힘들어 보인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10;46) 암릉지대를 무사히 내려선 후 능선길을 이어가니 (10;51)능선 좌측으로 커다란 바위 몇 개가 차곡차곡 쌓여있는 떡바위다. 다시 끊어진 밧줄이 회수된 바위지대의 내리막길을 내려서다 올라 뒤돌아보니(10;52) 물개바위 모습이다. 우측 아래쪽으로는 왕관바위인양 커다란 입석바위가 세워져있다. UFO바위라 명명해본다.

능선길 이어가면서 (11;00)B코스팀 하산지점 용화저수지를 내려다본다. 능선길 이어가면서 민둥산 능선에 (11;13) 3그루 소나무가 독야 청청한 봉을 올라 좌측으로 내려 선후 (11;20) 삼각점이 있는 763.7m봉에 선다.[2.5km][50분]

<!--[if !supportEmptyParas]--> <!--[endif]-->

<!--[if !supportEmptyParas]--> <!--[endif]-->

5.2km 110분[삼각점봉](11;20)

삼각점(갈말433/ 2007재설)이 있는 763.7m봉이다. 중요지점이다.

마루금은 직진의 방화선 능선(cf.B코스팀 용화저수지 하산길)을 버리고서 우측으로 급하게 꺾어 내려선다. 급경사길 내려서면 잡목 숲길로 들어서 능선길 이어간다. 능선길은 부드럽게 이어진다.

(11;37)안부다. (cf. 좌측으로 용화저수지로 탈출로가 보인다.)서서히 고도를 높힌다.낙엽이 미끄러운 급경사구간을 극복하여 695m봉에 오른다. 힘든 오름을 극복하고 좌측으로 절벽인 능선따라 695m봉 부터 바위지대능선을 짧게나마 오르락 내리락 하며 진행, 710m정도의 봉에 오르고 다시 오르면(12;16) [태화산 갈림봉780m봉]이다. 300여m 떨어져 있는 태화산을 왕복한다 .780m봉에서 좌측으로 꺾어 3분 남짓 더 진행하니 796m봉 태화산이다.[2.0km][60분]

<!--[if !supportEmptyParas]--> <!--[endif]-->

7.2km 170분 [태화산](796m)(12;20)

태화산에는 오래된 3각점과 태화산이라 표시된 정상표시목이 세워져 있다. 인증사진 남기고 Back하여 780m봉 갈림봉으로 돌아와 내려서고, 참나무 숲의 내리막길을 따라서 편안하게 진행하여 커다란 바위가 하나 자리하는 728m봉 악희봉에 오른다.(cf 앞에 있는 734.3m봉 무명봉으로 연결된 길상태가 좋은 허리길을 따라가면 알바 길이고 악희봉을 놓친다.) [1.5km][25분]

<!--[if !supportEmptyParas]--> <!--[endif]-->

8.7km 195분[악희봉](728m)(12;45)

커다란 바위 앞에 악희봉 정상석 있다. 정상석을 배경으로 인증를 한다. 악희봉 정상석 직전 표지기 많이 부착된 우측으로 내려서니 가파른 암릉 내리막에 픽스로프도 매어있다.

가파른 바위지대의 내리막길을 내려서  계속된 내리막길을 내려서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니 (12;57)벽돌로 쌓은 환기통이 있는 벙커봉에 내려서고 삼거리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완만하게 능선길 이어가니 (13;07)우측으로 목련공원 공원묘지가 가깝게 내려다 보인다. 안부에서 능선길 약간 오르니(13;12)조그만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를 만나고 우측으로 능선길 이어가 (13;15) 싸리골재 2차선 아스팔트도로(좌;군부대건물/우;목련공원입구)에 내려선다. 맥하는 산악회도 아니어서 이곳에서 산행종료 할줄 알았는데 트랙과 표지기가 우측으로 도로따라 2~3m 진행후 다시 능선에 붙는다. 능선길 이어가니 (13;24)좌측으로 벌목되어 조망이 터지는 조망능선을 지나 대득지맥길은 좌측으로 다시 우측으로 변곡되어 급경사 철계단 밟고 내려 463번 도로상 고개 마루에서 산행 종료 한다.[2.5km][55분]

<!--[if !supportEmptyParas]--> <!--[endif]-->

11.2km 250분 [463번 도로상 고개 마루](13;40)

2차선 아스팔트 도로가 지나가는 463번 지방도로상 고개마루에 도착해 있어야할 산악회버스가 없습니다. 먼저 도착한 이종명님과 강삼재 님은 추위에 떨고 있습니다. 6명 B코스팀중에서 3명인지 2명인지가 각흘산에서 직진으로 넘어가 도착되지 못한상태입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허참! 갈아입을 옷이 차안에 잇으니 땀에 젖은 상태로 약 1시간을 대책없이 떨어야 했습니다. A코스팀중 악희봉에서 직진으로 잘못 하산한 1분을 제외 하고 전 대원이 도착 40분에서 1시간20분을 추위에 떨어야 하는 서고입니다. 민경* 사장님한테 얻어 마시는 따끈한 물 한잔이 그리도 고마울수가 없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14;40)경 차 도착되고 하산 잘못한 1분 픽업하러 가는 차안에서 염치 불구하고 수건에 물 적시어 대충 닦고 새옷 갈아 입으니 살것 같습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15;00)경 동송읍 예약된 식당에서 서울마운틴 클럽 산악회가 제공하는 돼지고기 쌈밥정식에 최세무사님의 오미자 원액에 데킬라 1잔 석어 테이블메이트 건배 합니다. 홍사장님이 가져온 김장김치와 이름을 잘모르는 사장님이 가져온 홍어회로 푸짐한 밥상을 즐깁니다. 음식물을 제공해주신 고마운 분들게 감사인사드립니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16;10)경 동송 출발(18;30)경 신논현역 도착 9호선 급행으로 (19;00) 가양역도 착 귀가 합니다.


09;35 자등현 고개마루 곰상입니다.

09;35 도평3리마을 표지석 입니다.

(09;40)이정표(각흘산2.1km/진입금지/등산로입구550m)입니다.

09;55 조망

10;17 조망

10;17 조망

(10;18)경고판(이곳에서300m 앞에 포탄낙하지점이므로 절대 출입을 금함)입니다. 이후 2번 더 만납니다.

(10;22) 바위틈에 자란 소나무 입니다.

(10;25)대득지맥이 우측으로 분기되는 고도 826m 헬기장봉에서 조망입니다.

(10;25)대득지맥이 우측으로 분기되는 고도 826m 헬기장봉에서 조망입니다.

(10;25)대득지맥이 우측으로 분기되는 고도 826m 헬기장봉에서 조망입니다.

10;25 대득지맥 분기봉 헬기장에 이정표(각홀산300m/진입금지/등산로입구2.4km)입니다. 각흘산 왕복후 진입금지 방향입니다.


(10;27~10;30)[3분]각흘산 정상 에서 조망입니다.

(10;27~10;30)[3분]각흘산 정상 표지목 입니다.

(10;27~10;30)[3분]각흘산 정상 표지목 배경 인증사진 입니다.

(10;27~10;30)[3분]각흘산 정상 에서 조망입니다.

(10;27~10;30)[3분]각흘산 정상 에서 조망입니다.

(10;27~10;30)[3분]각흘산 정상  오래된 스텐레스 정상표지판 입니다. 옛 추억이 떠오릅니다.

10;33 헬기장봉으로 돌아 옵니다.

(10;33) 헬기장봉에서 조망입니다.

(10;46) 암릉지대를 무사히 내려선 후 뒤돌아 봅니다.

(10;50) 물개바위(?) 입니다.

(10;51 떡바위(?)입니다.

(10;51) 물개 바위(?) 입니다.

10;52 왕관바위(UFO)입니다.

10;52 암릉과 소나무가 조화롭습니다.

11;00 능선애서 바라본 용화저수지 입니다.

11;00 풍광

(11;13) 3그루 소나무가 독야 청청한 봉입니다.


(11;20)삼각점(갈말433/ 2007재설)이 있는 763.7m봉 입니다. 맥길은 몇발자욱 진행후  우향 급경사 내리막길 입니다.

(11;37)안부 입니다. 좌측으로 용화저수지로 탈출로가 보입니다.

(12;20)태화산 정상에는 오래된 3각점과 태화산이라 표시된 정상표시목이 있습니다.

12;20 태화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2;20 태화산 정상에서 조망입니다.

12;20 조망

12;20 조망

12;45 악희봉 정상석 입니다.

12;45 악희봉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2;57) 벽돌굴뚝 환기구 입니다.

13;07 목련공원 묘지입니다.

13;08 목련공원 묘지입니다.

13;12 이동통신 기지국 입니다.

13;15 싸리골재 구누대 철조망과 2차선 아스팔트도로 입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13;15 우측으로 10여m 이동하여 좌측으로 능선에 붙습니다.

13;24 능선길에서 좌측으로 조망이 터집니다.

13;40 463번도로에 내려와 뒤돌아본 철계단 모습입니다.

13;40 463번도로에서 산행종료 합니다.

산행지도

e-동아지도

오록스맵지도

오록스맵 트랙입니다.






각흘산.태화산.악희봉019-01-06 0935__20190106_0935.gpx
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