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

접도(接島)남망산(南望山164m)과 진도 여귀산(女貴山457m)연계산행/전남 진도

배창랑 2018. 12. 24. 15:33

접도(接島)남망산(南望山164m)과 진도 여귀산(女貴山457m)연계산행/전남 진도
산행일자;2018년12월23일(일).  날씨;맑음. 산행거리;10.3km(남망산6.3km+여귀산4.0km) 산행시간;약3시간 40분(남망산2시간10분+여귀산1시간30분).


cf.남망산 날머리(여미주차장)에서 여귀산 들머리(상만리 오층석탑 입간판)까지 차량이동;약15km/약20분


교통편;온라인산악회
(cf. 1.남망산 대중교통; 진도행 버스를 타고 진도공용터미널에서는 금갑·접도행 군내버스가 1일 8회(첫차 06:50, 막차 18:50) 운행한다. 문의 진도여객 061-544-2062
2.여귀산 대중교통편; 진도행 버스를 타고 진도공용터미널에서는 봉암을 지나는 용산리행 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내린다.)  


비용; 27,300 원


남망산 산행코스:쥐바위입구(간이 2코스주차장)->삼거리->남망산(164m, 왕복)->쥐바위->병풍바위->솔바위->촬영장->갈림길->맨발체험장->여미주차장(제일수산)

 
남망산 날머리 여미주차장(제일수산)에서 여귀산산행 들머리 상만리오층석탑 입간판까지  차량이동15km/20분


여귀산 산행코스:상만리 오층석탑 입간판->비자나무->구암사(5층석탑)->여귀산->밀재실재->작은여귀산->밀재실재Back->여귀산 주차장





■접도(接島)는 전남 진도의 동남쪽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교량으로 연륙되어 차량으로도 쉽게 찾을 수 있다.조선시대에 많은 이들이 유배 생활을 보낸 섬으로, 전남 지방의 30개 국가지정 어항 가운데 하나인 수품항이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본 섬인 진도(珍島)에 접해 있어 접도라 불리며, 실제로 진도군 금갑리 해변에서 남쪽으로 500m 밖에 떨어지지 않은 가까운 섬이다. 섬의 모양은 북, 남, 동쪽 세방향으로 반도가 돌출한 형태로,산줄기는 돌출된 반도를 따라 형성되어있는데, 특히 서쪽 산자락 해안에 발달한 2km에 이르는 해식애(海蝕崖)가 장관을 이룬다.


특히 접도(接島)남망산(南望山164m)은  진도쪽에서 보면 그저 그런 야산에  불과할 정도로 볼품이 없다.그래서 접도(接島)남망산(南望山164m)은 겉에서 볼 때 등산애호가에게 매력을 주기 어려운 모양새를 지녔다.산이  높지도 않고 산세가 크게 도드라진 것도 아니다.


■남망산(南望山164m)은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진도 접도<接島>섬은 현재 연륙교로 연결됨)에 소재한 산이다. 멀리서는 크게 특징이 없는 바닷가 야산에 불과해 보이지만 막상 섬 안으로 들어서면 동백나무, 후박나무 등 상록수림이 울창해 수목원을 방불케 한다. 수백 년 된 거목은 경이로움마저 느끼게 한다. 바닷가 쪽으로는 쥐바위, 병풍바위, 아홉봉, 낭기미, 말똥바위, 솔섬바위 등 기암절벽이 즐비하다. 돌출된 봉우리마다 빤한 풍경이 아니다. 특히 서쪽 솔섬 해안에 발달한 2km에 이르는 해식애는 장관 중의 장관이다. 조망 또한 으뜸이다. 날씨가 좋을 때는 제주도와 보길도, 조도군도까지 보인다.


남망산(南望山164m)은 그동안 진도의 최고봉 점찰산(485.2m)과 두 번째 높은 여귀산(457m), 그리고 1.5km의암릉코스로 유명한 동석산(240m)의 그늘에 가려 알려지지 않았던 산이다. 하지만 진도군에서 접도에 있는 남망산 주변을 '웰빙등산로'로 개발해 놓은 뒤부터 입소문으로 탐방객이 몰려들고 있다. 월빙등산로의 1코스는 산책코스에 불과해서, 남망산과 1.2코스를 산행해야 한다. 겉보기와 달리 산에 올라 보는 풍광이 보통 뛰어난 것이 아니다. 한마디로 남망산 산행의 묘미는 사시사철 푸른 동백 숲과 다도해의 조망이 뛰어난 해안절벽이다.


남망산의 장점은 다양한 등산코스가 있다는 것이다. 수품항에서 출발하는 1코스와 여미주차장에서 출발하는 2코스가 있고, 산중턱까지 차량으로 이동한다면 쥐바위로 곧장 가는 방법도 있다. 어느 구간이든 길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체력에 맞게 적당한 지점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여귀산(女貴山457m) 은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죽림리에 있는 산이다. 여귀산(女貴山)은 계집 여(女)와 귀할 귀(貴)자를 쓰고 있으니 쉽게 말해 '귀한 여자'라는 뜻으로 해석이 되는 흥미로운 산이다. 여귀산은 여러 개의 바위 봉우리로 이어진 암산(巖山)인데 특히 봉수대가 있었던 정상부는 온통 바위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에서는 진도 남쪽 해안의 거의 모든 지역이 관찰된다


여귀산(女貴山, 457m)은 두 얼굴을 가진 산이라고 한다. 정상은 제법 오르기가 험한 바위지대로 이뤄진 반면, 정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흘러내린 지능선은 부드러운 산세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정상에 서면 남서쪽 아래로 시원하게 터지는 다도해상 국립공원을 비롯한 바다풍경이 정상은 오르기에 험한 바위지대를 이루지만 정상을 중심으로 양쪽의 지능선은 부드러운 산세를 띤다. 여귀산(女貴山, 457m)과 자근여귀산(370m)은 소이 진도지맥의산이다.


2018년12월23일(일) 6시40분 지하철 3호선 신사역(강남구) 8번출구에서  온라인산악회 45인승 버스에 탑승합니다. 6시50분 양재역 1번출구 수협앞 , 7시05분 죽전간이정류장, 7시10분 신갈IC 임시정류장에서 대원들 탑승하니 45인승 만차입니다. 


멀고먼 남쪽 전라남도 진도 거기다 연륙교로 연결된 접도(接島)는 차로 이동하는 가장 남쪽땅 장거리 이동 길 입니다. 왕복 10시간을 차안에서 보내야하고 산행은 고작 4시간이 안되어 투성비(投成費)가 맞지 않지만 여귀산이던 남망산이던 통상 무박코스인데 무박코스 2개 산(남망산과 여귀산)을 연계산행으로 하여 당일코스 상품으로 나오니 산님들에게는  일찍 자리가 동이 났습니다. 그런 탓에 오랜만에 반가운 여러 산님들을 만나 뵙게되어 기뻣습니다.


중간 군산휴게소에서 약15분 휴게 시간 갖고 목포를 거쳐 해남을 지나 진도를 관통하여 접도 연륙교에 들어서 좁은 도로를 곡예하듯 이동하여 산행들머리 쥐바위 입구 간이 주차장에 (11;40) 도착 바로 산행 시작합니다.


접도 남망산은  등산을 하다 보니 참 신기한 등산로가  다있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산을 오르다가 바닷가를 걷고 바닷가를 걷다가 산에 오르고, 그것도 산에 올라 멀리 다도해를 구경하다 실제로 바닷가에 내려가서  수평선이며 몽돌이며 해식애까지 구경하며 걷는 신기한 산행길입니다.
보통 등산로 와는 달리 이 등산로는 높이가 고작 164m밖에 되지 않아 정상에 금방 오릅니다. 그러나 섬산행이 그러 하듯 애발 0에서 오르느내리는 코스이기에 결코 만만하지는 않습니다. 더구나 2시간10여분에 끝내야하는 촉박한 일정 탓에~


 남망산 정상을 왕복한후  쥐바위로 오르고 능선을 따라 걷고 병풍계곡으로 하산하는 듯 내려 섰다가 병풍바위라는 산을  힘들게 오릅니다. 능선을 따라 걷습니다. 여성목 남성목도 구경하고 12간지 나무도 구경합니다. 암릉을 지나 솔섬바위 전망대에 섭니다. 그러다가 다시 바닷가로 내려갑니다. 이번엔 갯바위를 걸어갑니다. 한참 동안걷다 보면 다시 백사장이 나타나게 되고, 백사장에서는 신발을 벗어들고 맨발로 등산을 해도 좋습니다. 그러다가 동백나무 숲을 지나 다시 산에 올라  다시 맨발체험장을 지나 바닷가를 걸어 여미주차장에 도착 산행을 종료합다.

 

접도는 섬이라고 해도 진도군 옆에 붙어 있는 아주 조그마한 섬입니다. 접섬, 금갑도,갑도, 접배도라고 불리어왔습니다. 조선시대 많은 죄인들이 이곳으로 유배된 곳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풍광은 아름다워서 곳곳에 기암 절경과 상록 활엽수림, 낙엽수림 자생하고 있는 섬입니다.
주변 바다에는 온통 양식장들이 하얗게 깔려 있으며, 여미라는 곳에는 광어를 양식하는 큰 시설이 있습니다. 사계절 멸치, 새우, 김, 미역, 다시마, 전복, 광어, 굴 등 많은 수산자원이 생산되는 곳입니다.


짧은 일정 때문에 수품항은 차로 지나 갔지만  일출 전망대와 아홉봉을 연계하는 산책코스인  1코스를 답사하지 못해 아쉬움이 남기도 한 여정이었지만 당일에 여귀산. 작은 여귀산 까지  무난하게 답사할수있던  뜻깊은 여정이었 습니다. 


 끝으로 오가는 장거리 이동시간내 적절히  실내  소등하고 부족한 잠을 자도록 배려하고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운영해 준  온라인 산악회 놀부 대장님. 그린나래 대장님등 운영진에 감사드립니다.


<남망산 산행>쥐바위(2코스주차장)->삼거리->남망산(164m, 왕복)->삼거리Back->쥐바위->병풍바위->솔바위->촬영장->갈림길->맨발체험장->여미주차장


0km 0분[주바위입구 2코스 간이주차장](11;40)
산중턱에 있는  쥐바위 입구 2코스 간이 주자창이다. (11;40) '체력은 정력' 표지석이 있다. 넓은 등로 따라 오르니 (11;44)이정표(쥐바위 입구180m/등산은 즐겁게.하산은 청결히)서있다. 쥐바위를 오르지 않고 우측으로 웰빙등산로를 따른다. (11;46) 안부 건너편에 가야할 남망산이 바라보인다. 조망 바위지대에서 잠시 진도 앞 바다를 조망하고  안부로 내서  오름길 오른다. (11;58)  오름길 극복하니 남망산 정상이다.[1.0km][18분]
 
1.0km 18분 [남망산](11;58)
펑퍼짐 바위에 작은 돌탑이 있고 돌탑위에 남망산 정상표지판이 부착되어있다. 남망산 정상에서는 수품항 전경과 여귀산이 조망된다. 잠시 조망 즐기고 인증사진 남기고 Back 한다. 돌아오는 길에 쥐바위를 조망한다.


(12;09)이정표(등산로 입구/웰빙우회로)에서  쥐바위를 오르지 않고 쥐바위 올려다 보고 웰빙 우회길 따른다. (12;11)이정표(병풍바위/쥐바위)에서 쥐바위를 올라 진행하고 올 것을 잠시 후회하면서(12;12) 쥐바위 모습을 뒤돌아 본다.

쥐바위(159m)는 대여섯 개의 바위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고 나무다리와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남망산에서 두 번째로 높지만 정상과 다름없는 최고의 조망을 자랑한다. 동쪽으로 해남 두륜산이 보이고, 남쪽으로 완도 보길도와 추자도가 조망된다. 서쪽으로 조도군도, 북쪽으로 신안의 자은도 두봉산까지 사방으로 막힘이 없다. 남망산에서 유일하게 전체 능선을 바라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12;13 )거북바위에서 다시 한 번 시원하게 조망이 터지고 나면 오솔길 같은 숲길로 들어선다. 아홉봉 방향 조망을 즐기면서 능선길 이어간다. (12;15) 다지나무를 만나 12간지 나무인가? 의심하면서 지나고 (12;18)가지마다 12간지를 붙힌 12간지 나무를 만난다.이 나무는 일명 ‘12간지나무’라고도 부른다. 한 몸통에서 나온 12개의 가지에 12마리의 동물을 뜻하는 글자를 붙여 십이간지를 표기해 놓았다.


(12;20)이정표(병풍바위/분재난 채취금지/쥐바위) 에서 좌향 이정표(병풍바위)방향 급경사 내림길을 내려선다. 병풍바위 계곡(골짜기)길이다.(cf.직진길이  금방 진행이 가능한 병풍바위인데 갈수있는지는 미확인. 병풍바위에 계단이 설치된 것을 볼때 길이 있을 듯 ) 하산길 같다. 픽스로프가 설치되어 안전하다. (12;27) 이정표겸 안내판(나무꾼 사랑굴)을 지나 오름길 오른다.


(12;28)탈출로 이정표(병풍바위/2코스연결.선달봉3거리.말똥바위.솔섬바위./맨발체험로.여미주차장/병풍바위 골짜기)를만나 이정표(병풍바위) 방향 힘든 오름길을 오른다.병풍바위 조망 계단길이다.[1.7km][37분]


2.7km 60분[병풍바위](154m)(12;35)
어느 바위를 보고 병풍바위라 하는 지~? 정상은 정상인데 성터 흔적만 남아 있다. 국립지리원 지도에는 170m로 남망산보다 더 높다. 동백 동굴 같은 길을  지나면 (12;38)특이한 모양의 연리지나무를 만난다. 여성목과 남성목이 특이하다.


(12;55)이정표(솔섬바위끝/솔섬골짜기해안/선달봉3거리)를 만난다. 선달봉 삼거리에서부터 시야가 다시 열리며 솔섬까지 800m를 가리킨다. 언덕을 차고 오른다는 느낌이 들 때 만나는 커다란 암봉이 고래바위다. 인증사진 남긴다. 좌우로 깎아지른 절벽에서 자라는 소나무와 들쭉날쭉한 리아시스식 해변 모습이 장관이다.[1.2km][25분]


3.9km 85분 [솔섬바위](13;00)
(12;59)이정표(작은여미해변/솔섬바위/선달봉삼거리)에서 더 나아갈 길이 없어 보이지만 안전로프를 잡고 해안 암벽으로 내려가는 길로 내려 선다. 해변의 바위들은 용암이 바다로 흘러가다 순식간에 식은 모습이다. 


 (13;05)이정표(여미4거리.작은여미동백골짜기/말똥바위자갈길 걷고/솔섬바위정상)를 만나고  자갈길 방향 조망을 하면서 해변을 걷는다. (13;09)이정표(작은여미해안 대도전 촬영지/솔섬바위/말똥골짜기)에서 지름길인 좌측 목책계단길을 올라선다. 작은 여미 동백골짜기길을 걸어 오르니 (13;20)이정표(말똥바위/여미사가리/작은여미해안/대도전촬영지)에서 잠시 말똥바위 방향으로 가서 (13;22)말똥바위 전망대를 일별하고 되돌아 온다. (13;25)이정표(말똥바위/여미사가리/작은여미해안/대도전촬영지)에서 이정표(여미사거리)방향으로 능선길 이어간다.


(13;32)이정표(여미1140m.등산로입구주차장/말똥바위/작은여미병풍바위)를 만나고 맨발로 걷는 숲길을을 지나 (13;38)이정표(주차장.제일수산/솔섬바위/말똥바위.해안가는길)에서 동백숲을 지나 해안길을 밟고간다.  파도소리를 들으며 걷는 낭만이 있다 (13;49)광수물산 영어조합법인 표지석 앞 (13;50) 주차장에 대기주인 산악회 버스에서 산행종료한다.[2.4km][50분]


6.3km 130분[여미주차장.제일수산](13;50)
간신히 산악회 허용시간(2시간10분)에 맞추어 도착 남방산 산행을 종료 합니다. 선두그룹 포함 지름길을 택해온 대부분의 대원들이 도착되어 있습니다. 후미들 기다리면서 차안에서 후반부 여귀산 산행을 위한 영양보충 간식을 합니다.


(14;05)약15분 정도 휴게 시간 가질 즈음  후미들 도착되어 여귀산 산행들머리로 이동 합니다. 약15km /약20분 이동하여 (14;25)상만리 오층석탑 입간판앞 도로에 도착 바로 산행시작합니다.



<여귀산>산행코스:상만리 오층석탑 입간판->비자나무->구암사(5층석탑)->여귀산->밀재실재->작은여귀산->밀재실재Back->여귀산 주차장


0km 0분[상만마을입구](14;25)
산행들머리는 임회면 상만리 상만마을 입구다. 상만오층석탑을 알리는 입간판과 상만리 마을표석이 세워져 있다. 안으로 들어서면 큰 비자나무가  있고 (14;30)진짜 큰 비자나무는 바로 골목 안쪽에 자리잡고 있다. 천년기념물로 지정된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는 줄기의 둘레가 약 6m에 이르는 거목으로 수령은 약 600년인데, 비자나무의 열매가 약재로 쓰여 주민들은 이 나무를 귀하게 여겨 잘 보호해 왔다.

(14;31) 오층석탑이 있는 구암사다. 오층석탑은 고려시대의 탑인데도 보물이 아니라 전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구암사 대웅전등 경내를 일별하면서 구암사 경내를 지나니 (14;33)이정표(여귀산 2.4km)가 서있다.


등산로는 북동쪽으로 이어지며 서서히 고도를 높인다. 꾸준한 오름 길을 올라 (15;02)383봉에 선다. 나무가지에 진도지맥 383봉 표지판이 걸려있다. 고도를 낮추었다가 다시 오른다. (15;04)가야할 여귀산의 정상이 멀리 보이고  능선 우측으로 (15;05)진도 앞 바다가  조망된다. 여귀산 정상 오름 길이 그리 만만하지 않다. 정상의 해발고도는 500m 미만이지만 바닷가에서 시작하는 산은 대체로 힘이 든다. 적당한 바위암릉을 타고 넘으면서 고도를 높힌다.
정상을 오르며 뒤돌아보니 지나온 능선이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다. 남쪽으로 국립남도국악원이 살짝 보인다. 급경사 오름길을 지그재그 올라 푸른 산죽 밭을 뚫고 (15;25) 너럭바위 바위암봉을 지나  여귀산 정상에 선다.[2.7km][60분]


2.7km 60분[여귀산](457m)(15;25~15;27) [2분]
통신 중계탑이 있으며 철망 울타리 뒤편에 '여귀산 458m'라 적힌 정상석이 있다.
정상의 조망은 사방팔방으로 막힘이 없다. 북동쪽으로는 가야할 '작은 여귀산'이 암골미를 드러내고 있고 동남쪽으로는 바닷가에 솟은 오봉산(201m)이 조망된다. 

    
인증사진 남기고 조망즐긴후 너럭바위 옆으로 여귀산 암봉을 내려선다. 


 (15;28)체인형 쇠줄과 철제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안전한 하산을 도와준다. (15;29)국립국악원 갈림 이정표(국립국악원 1,500m/  밀매실재 400m/여귀봉 70m)서있다. 국립국악원으로 바로 이어지는 등산로다. 완만한 능선길 이어가니(15;34)이정표(밀매실재140m/임도1430m/국립국악원1790m/여귀산정상360m)를 만난다. '작은 여귀산 왕복후) 우측 여귀산 주차장 하산 갈림길이다.


(15;34) 이정표(밀매실재 140m)방향을 따라 간다. 밀매실재를 가늠할만한  지형지물(재)가 보이질 않는다. 여귀산 정상에서 보았을 때는 상당히 낮게 보이던 '작은 여귀산'이 능선을 지나가면서 올려다보니 그 높이가  까마득하다. 어딘지도 확실히 모르는 밀매실재를 지나 서서히 고도를 높이다 급경사 철제계단 오르니 작은 여귀산(370m)정상이다. [0.9km][10분]


3.3km 72분[작은여귀산](370m)(15;37~15;39)[2분]
작은 여귀산을  '벌바위'라고도 한다. 정상표지판도 정상석도 아무것도 없다.  암릉 위에서 동남쪽으로 터지는 진도 앞 바다의 조망이 시원하다. 다도해의 섬들과 어우러진 바다풍경이 감흥을 준다. 기념으로 인증사진 남기고  하산길에 든다.


직진으로 능선길 이어가 이정표 갈림길에서 하산하여도 시간상 충분하겠으나 산악회가 정한 빠른 하산길(밀매실재로 Back)을 택한다. 급경사 계단길 내려서고 밀매실재를 지나 이정표(밀매실재140m/임도1430m/국립국악원1790m/여귀산정상360m) 좌향(cf.처음 진행방향 우향) 급경사 돌계단길을 서둘러 내려선다. 경사가 누그러지고 (임도와 등산로 안내판이 서잇는 곳에서 도로 건너니 여귀산 주차장이다.[0.7km][16분]


4.0km 90분[여귀산 주차장](15;55)
 여귀산 입간판이 있고 4각정자와 화장실이 갖추어진  여귀산주차장에서 산행 종료합니다. 기다리는 차안에서 대충 짐정리하고 옷 보따리들고 화장실로 들어가 보니  세사람이 씻고 옷 갈아 입기가 비좁아 화장실 뒷편 공터 노천에서 생수한통으로 수건에 물 묻여 머리감고 몸닦고 새옷 갈아입으니 날아갈 것 같습니다.


후미들이 언제 도착되어 출발할지 예상이 않되어 백곰님이 준비해 온 성능이 좋은 보온 밥통 찰밥에  엄나무 순 나물 반찬으로 맛난 식사를 즐깁니다. 디저트로 믹스 커피도 한잔하고 과일도 먹으면서 시간 죽입니다.


산악회가 허용한 시간에 늦지않게 후미들 도착되어 (16;40) 여귀산 주차장을 출발 해남 도착 되기전 (17;20)중간 길가 부페 식당에서 약30분간 식사시간이 주어 집니다. 준비해 온  버너 켜고 떡국과 라면 끓여 백곰님과 따근한 떡라면으로 만찬을 즐깁니다.


(17;50) 뷔페식당을 출발 목포를 지나 서해안 고속도로 달려 (19;40부)경 고인돌 휴게소에서 약10분간 휴게시간 갖고 (22;00) 양재역 도착 합니다. 3/9호선 완행으로 (22;55) 가양역도착 (23;10) 귀가 합니다.


11;40 남망산 등산로입구 '정력은 체력' 표지석 입니다.

(11;44)이정표(쥐바위 입구180m/등산은 즐겁게.하산은 청결히)입니다.

(11;46) 안부 건너편에 가야할 남망산이 바라보입니다.

11;46 조망 바위지대에서 잠시 진도 앞 바다를 조망합니다.

11;46 조망 바위지대에서 잠시 진도 앞 바다를 조망합니다.

(11;58)펑퍼짐 바위에 작은 돌탑이 있고 돌탑위에 남망산 정상표지판이 부착되어있습니다.

11;58 남망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2;09)이정표(등산로 입구/웰빙우회로)로 돌아 옵니다.

12;09 쥐바위를 올려다봅니다.

(12;11)이정표(병풍바위/쥐바위)입니다.

12;12 쥐바위를 뒤돌아 봅니다.

(12;13 )거북바위에서 조망입니다.


(12;15) 다지나무 입니다.

(12;18)가지마다 12간지를 붙힌 다지 나무입니다..이 나무는 일명 ‘12간지나무’라고도 합니다.

(12;20)이정표(병풍바위/분재난 채취금지/쥐바위)입니다. 직진길이 병풍바위가 가까운데 엄청 우회 합니다.

(12;27) 이정표겸 안내판(나무꾼 사랑굴)입니다.

(12;28)탈출로 이정표(병풍바위/2코스연결.선달봉3거리.말똥바위.솔섬바위./맨발체험로.여미주차장/병풍바위 골짜기)입니다.

(12;38)특이한 모양의 연리지나무 여성목 입니다.

(12;38)특이한 모양의 연리지나무 남성목 입니다.

12;54 조망 여귀산과 작은 여귀산 입니다.

(12;55)이정표(솔섬바위끝/솔섬골짜기해안/선달봉3거리)입니다.

12;55 조망

12;57 솔섬바위 표지판 입니다.

12;57솔섬바위 조망

12;58 솔섬바위(고래바위?) 인증사진 입니다.

12;58 바위 풍광

12;58 솔섬바위(고래바위) 인증사진 입니다.

(12;59)이정표(작은여미해변/솔섬바위/선달봉삼거리)입니다.

(13;05)이정표(여미4거리.작은여미동백골짜기/말똥바위자갈길 걷고/솔섬바위정상)입니다.

13;05 말똥바위  자갈길 방향 조망입니다.

13;05 말똥바위  자갈길 방향 조망입니다.

(13;09)이정표(작은여미해안. 대도전 촬영지/솔섬바위/말똥골짜기)입니다.

13;09 솔섬바위를 뒤돌아 봅니다.

13;09 목책계단으로 오릅니다.

 (13;20)이정표(말똥바위/여미사가리/작은여미해안/대도전촬영지)입니다.

(13;22) 말똥바위 전망대를 일별합니다.

(13;22) 말똥바위 전망대를 일별합니다.

(13;32)여미4거리 이정표(여미1140m.등산로입구주차장/말똥바위/작은여미/병풍바위)입니다.

(13;38)이정표(주차장.제일수산/솔섬바위/말똥바위.해안가는길)입니다.

13;38 동백숲 입니다.

(13;49)광수물산 영어조합법인 표지석 입니다.

(13;50) 주차장에 대기주인 산악회 버스에서 산행종료 합니다.

14;25 상만오층석탑 입간판 입니다.

(14;30) 큰 비자나무 입니다.

(14;31) 오층석탑이 있는 구암사 입니다.

14;32 구암사경내 입니다.

(14;33)이정표(여귀산 2.4km)입니다.

(15;02)383봉입니다. 나무가지에 진도지맥 383봉 표지판이 걸려있습니다. 진도지맥을 한 산도깨비님 표지기도 있습니다.

(15;04)가야할 여귀산의 정상이 멀리 보입니다.

(15;04)가야할 여귀산의 정상이 멀리 보입니다.

(15;05)진도 앞 바다가  조망됩니다.

(15;25~15;27) [2분]여귀산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5;25~15;27) [2분]여귀산 정상석 입니다.

(15;25~15;27) [2분]여귀산정상에서 조망입니다. 작은여귀산 방향입니다.

 (15;28)체인형 쇠줄과 철제계단 입니다.

 (15;28)체인형 쇠줄과 철제계단 입니다.

(15;29)국립국악원 갈림 이정표(국립국악원 1,500m/  밀매실재 400m/여귀봉 70m)입니다.

(15;34)이정표(밀매실재140m/임도1430m/국립국악원1790m/여귀산정상360m)입니다.

(15;37~15;39)[2분]작은여귀산(370m)에서 조망입니다.

(15;37~15;39)[2분]작은여귀산(370m) 정상 모습입니다.

(15;37~15;39)[2분]작은여귀산(370m) 정상  인증사진 입니다.


15;54 산불조심 안내판과 등산로 안내판 입니다.

(15;55) 여귀산 P 입간판 입니다.

(15;55)  4각정자 휴게시설이  갖추어진  여귀산 주차장 입니다.

남망산 산행지도1


남망산 산행지도2

여귀산 산행지도

e-동아 남망산지도


e-동아 여귀산지도

오록스맵 남망산지도

오록스맵 여귀산 지도


오록스맵  남망산 트랙 입니다.


오록스맵 여귀산 작은 여귀산 트랙입니다.



여귀산.작은여귀산2018-12-23 1426__20181223_1426.gpx
0.04MB
남망산.전남진도접도2018-12-23 1139__20181223_1139.gpx
0.06MB